황준연과 송석구의 저술 비교1 – 저자 소개와 목차

#7. 황준연과 송석구의 저술 비교1 – 저자 소개와 목차

3. 황준연의 『율곡철학의 이해』와 송석구의 『율곡의 철학사상』

3.1 율곡 철학을 소개한 두 권의 책

황준연과 송석구는 모두 율곡 철학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학자들이다. 황준연은 1948년생이며 송석구는 그보다 8년 빠른 1940년생이다. 황준연은 1989년에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율곡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성학집요』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학위를 받았는데 송석구는 그보다 8년 먼저, 즉 1981년에 『율곡의 철학사상 연구 : 성의정심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동국대에서 학위를 받았다. 두 논문의 제목이 매우 유사한데, 부제목을 붙이는 방식까지 비슷하다. 다만 황준연은 『성학집요』라는 율곡의 저술을 중심으로 율곡의 철학사상을 연구했으며, 송석구는 ‘성의정심(誠意正心)’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율곡의 철학사상을 연구한 것이 다르다.
이 두 학자가 발표한 단행본 제목도 매우 유사하다. 황준연은 학위를 받고 나서 6년 뒤인 1995년에 『율곡철학의 이해』라는 단행본을 발표했으며, 송석구는 학위를 받고 3년 뒤인 1984년에 『율곡의 철학사상』이라는 저술을 발표했다. 이 두 책은 11년의 시간 차이로 두고 발표되었다. 송석구의 저술을 황준연이 얼마나 잘 수용하고 또 그것을 극복하였는지, 두 사람이 주장하는 바가 얼마나 서로 다른지 하는 점이 이 두 저술을 비교해보는 재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3.2 저자 소개

황준연(1948∽)은 전남 목포 출신으로,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철학 및 조선 성리학을 연구하여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중국, 미국 등지에서 방문학자 생활을 하였으며, 육군사관학교, 원광대학교, 전북대 등에서 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저서로는 여기에서 소개하는 『율곡 철학의 이해』(1995) 외에, 『한국사상의 이해』(1992), 『이율곡, 그 삶의 모습』(2000), 『한국사상과 종교 15강』(2007), 『신편 중국철학사』(2009), 『중국철학과 종교의 탐구』(2012), 『『한비자』 읽기』(2012), 『중국철학의 문제들』(2013) 등이 있다.
황준연이 발표한 율곡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1차 사칠논변자료의 판본에 관하여」, 『유교사상연구』18, 2003(이명수와 공동 집필)
2) 「율곡의 인성론 :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을 중심으로」, 『율곡사상연구』1, 1994
3)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에 관한 비교연구」, 『성곡논총』21, 1990
4) 「율곡사상에 나타난 “우환의식”; 『성학집요』와 상소문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25, 1985
5) 「율곡의 사회사상에 대한 연구」, 『동대논총』10, 1980
이러한 논문은 주로 1980년대와 90년대에 발표되었으며, 주로 사회사상에 대한 연구와 『성학집요』에 관한 연구가 있다.

한편 송석구(1940∽)는 충남 대전 출신으로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철학박사를 받았다. 국립대만대학교 철학연구소에 1년간 수학한 바 있으며, 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이후 동국대학교 의료원장, 총장, 동덕여자대학교 총장, 가천의과학대학 총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는 『송석구 교수의 율곡철학 강의』(2015), 『한국의 유불사상』(1997), 『율곡의 교육사상』(1993), 『불교와 유교』(1993), 『율곡의 철학사상연구: 성의정심을 중심으로』(1987), 『무상을 넘어서』(1985)등이 있다.
율곡과 관련된 연구논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율곡학의 지평 확장을 위한 탐색」, 『율곡사상연구』4, 2001
2) 「율곡의 시대와 생애」, 『율곡사상연구』1, 1994
3) 「율곡의 신군주론과 정치개혁」, 『율곡사상연구』1, 1994
4) 「율곡의 정치사상」, 『율곡사상연구』1, 1994
5) 「이이의 근대의식」, 『유학연구』1, 1993
6) 「율곡의 형이상학과 실천철학」, 『동국』19, 1983

주로 1880년대, 90년대에 발표된 것으로 율곡의 정치사상과 정치론에 관한 논문이 많은 편이다.

3.3 목차 소개

황준연 저 『율곡철학의 이해』는 크게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별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제1부 율곡 사상의 배경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율곡의 생애와 학문 태도
제3장 율곡 사상 형성의 사상사적 배경

제2부 율곡의 철학 사상
제4장 율곡 철학 사상의 본질
제5장 율곡 성학 사상의 구조와 내용
제6장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에 대한 비교 검토

제3부 율곡의 경세 사상
제7장 유교에 있어서 경세의 의미
제8장 율곡 경세 사상의 영역

제2부가 이 책의 핵심적인 내용, 즉 율곡의 철학에 관한 내용이다. 목차 구성을 이 책의 제목 ‘율곡 철학의 이해’에 비추어보면 저자는 율곡 철학을 그 배경에서 이해하고(제1부) 또 그것을 현실에 어떻게 적응시키려고 하였는지 하는 측면에서 이해하고자(제3부) 시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단지 율곡 철학 자체만이 아니라 율곡 철학을 둘러싼 배경과 영향의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 책의 끝 부분에는 참고문헌이 있으며 5편의 부록이 다음과 같이 첨부되어 있다.
부록 1 : 율곡의 <성학집요> 목록도
퇴계의 <성학십도> 제2 서명도
퇴계의 <성학십도> 제8 심학도
부록 2 : 중국 철학계의 율곡에 대한 관심
부록 3 : 율곡 선생 연보 (박서채 문집본)

참고로 이 책의 집필 바탕이 된 황준연의 박사학위 논문 『율곡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성학집요』를 중심으로』의 목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율곡철학사상의 본질
제1절 이기론
제2절 사단칠정론
제3절 심성론
제4절 격치성정론(格致誠正論)
제3장 율곡 성학(聖學)사상의 구조와 내용분석
제1절 중국철학의 성학
제2절 『성학집요』의 저술 동기
제3절 율곡 성학사상의 논리구조
제4절 ‘미상’
제5절 율곡 『성학집요』와 퇴계 『성학십도』의 비교검토
제4장 결론

이러한 학위 논문의 내용은 『율곡철학의 이해』 제2부 ‘율곡의 철학 사상’에 담겨 있다.

한편, 송석구 저 『율곡의 철학사상』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언(序言)
제1장 태극에 관한 이해
제2장 이기(理氣)에 관한 새로운 접근
제3장 심성정(心性情)의 전개
제4장 실천에 관한 이론
율곡의 연표

율곡의 철학사상을 태극론, 이기론, 심성론, 실천론 등 4가지로 나누어 목차를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제2장 이기론 부분에서는 1) 화담과 퇴계의 극복, 2) 독자적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 3) 이기지묘(理氣之妙)로 나누어 논하고 제3장 심성론 부분에서는 1)심성정의(心性情意)의 문제, 2)사단과 칠정설의 문제, 3)본연·기질성의 문제, 4) 인심도심의 이론으로 나누어 세밀하게 논하였다.
이렇듯 송석구는, 율곡 철학사상의 배경과 영향까지 다룬 황준연과는 달리 율곡의 철학사상 그 자체만을 다루었다. 송석구의 제1장, 제2장, 제3장의 내용은 황준연의 저술 제4장 ‘율곡 철학 사상의 본질’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황준연의 책 송석구의 책
2

4장 율곡 철학 사상의 본질

제1절 태극이란 무엇인가?

제1장 태극에 관한 이해
제2절 이기에 대한 율곡의 견해 제2장 이기에 관한 새로운 접근
제3절 율곡은 사단칠정의 문제를 어떻게 보았는가?

제4절 사람의 마음과 본성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제5절 ‘격치’와 ‘성정’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제3장 심성정(心性情)의 전개

아울러 송석구의 책 제4장 ‘실천에 관한 이론’부분은 황준연의 책 제2부 제5장, 제6장, 제3부 제7장, 제8장에 대응된다. 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황준연의 책 송석구의 책
2부 율곡의 철학 사상

제5장 율곡 성학 사상의 구조와 내용

제6장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에 대한 비교 검토

3부 율곡의 경세 사상

제7장 유교에 있어서 경세의 의미

제8장 율곡 경세 사상의 영역

제4장 실천에 관한 이론

그런데 송석구가 제4장에서 논하는 ‘실천’의 문제는 수양론이며 수기론(修己論)으로 자신의 내면을 향하는 도덕적 실천, 즉 수양의 문제를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제4장의 내용(각 절의 제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절 수기(修己)와 입지
제2절 성인에의 이상
제3절 실리·실심과 참(誠)
제4절 참(誠)과 중화
제5절 기질의 교정
제6절 성의정심의 독자적 전개
제7절 수기론의 특징

이것을 보면 송석구가 제4장에서 논의하는 율곡의 실천론은 ‘내성(內聖, 안으로 성인을 추구함)’의 문제이다. 반면에 황준연의 책 제5, 6, 7, 8장에서 논하는 문제는 치인(治人)의 문제이며 외왕(外王, 밖으로 임금의 덕을 갖춤)의 실천이다. 황준연의 책 제5, 6, 7, 8장의 세부 장절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5장 율곡 성학 사상의 구조와 내용
제1절 <성학집요> 저술의 시대적 배경
제2절 <성학집요>에 나타난 우환 의식이란 무엇인가?
제3절 중국 철학에서의 성학의 개념
제4절 성학 체계의 논리적 구조
제5절 <성학집요>의 내용
제6절 성학 사상의 이상 : 대동사회

제6장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에 대한 비교 검토
제1절 <성학십도>에 나타난 퇴계 철학의 이상
제2절 <성학십도>에 대한 율곡과 퇴계의 문답

제7장 유교에 있어서 경세의 의미
제1절 경세란 무엇인가?
제2절 경세의 주체는 누구인가? – 유자론

제8장 율곡 경세 사상의 영역
제1절 정치에 대한 율곡의 기대는 어떠했는가?
제2절 바람직한 사회는 어떠한 것인가?
제3절 국방에 대한 율곡의 견해는 어떠했는가?

여기에서 황준연이 논하는 내용은 율곡의 철학이 추구하는 ‘성학(聖學)’과 ‘대동사회’ 그리고 경세사상 등이다. 이러한 것들은 한마디로 ‘치인(治人)’, 즉 ‘외왕(外王)’의 사상이다. 황준연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율곡의 철학사상을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 책(『율곡 철학의 이해』)에도 그러한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
반면에 송석구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율곡의 철학사상을 ‘성의정심(誠意正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성의 정심’은 바로 ‘수기(修己)’, 수양의 문제이며, ‘내성(內聖)’의 사상이다. 송석구의 책은 바로 이러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송석구가 불교에 심취하였으며 동국대에서 학위를 받았다는 사실을 상기해보면 저자의 이러한 관심에 수긍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