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상무(田相武, 1851~1924)


 

전상무(田相武, 1851~1924)

character-img-3-s18_01

상무(田相武, 1851~1924)는 간재 전우의 제자로 1896년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905년 굴욕적인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외교권을 박탈당하자 산으로 들어가 은거하였다.  이후 한일합방으로 우리나라가 국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자,  일제가 제공한 은사금을 거부하고,  독립을 위해서 최후의 1인까지 혈전을 불사한다는 의친왕 이강의 33인 독립선언서에 이름을 올리고 국권회복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1851년(1세, 철종2년)에태어났다. 본관은 담양(潭陽) 전씨(田氏)이며, 자는순도(舜道)이고 호는우경(寓耕)혹은 율산(栗山)을 사용했다.

1895년(45세, 고종32년) 을미사변이일어났다. 명성황후가 일본군에의해서 잔인하게 살해되었다.  국제적으로 일본을 규탄하는 여론이크게 일어나고,  국내에서도 그 행위에 분노한 백성들이 전국에서 의을 일으켰다.  고종황제는 팔도에 비밀칙서를 보내,  의병을 일으키도록명을 내려,  각 고을 마다 의병이 봉기하였다.

1896년(46세, 고종33년)에 전상무도이청로(李淸魯)와  함께음력1월 17일 의령에서 항일의병을 일으켰다.  아울러 1월 부터 3월까지 영남지방에서 일어난 의병 봉기인 병신창의(丙申倡義)를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그의문집인『율산집』에 실린「적원일기(赤猿日記)」가 그 기록이다.  일기에는 병신창의가 일어나게 된 원인과 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 말기에 일어난 의병들의 활동 내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1905년(55세, 광무9년) 일본의 불법적이고도 강압적인 을사조약에 따라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었다.  전상무는 도굴산에 집을 짓고 은거하였다.

1910년(60세, 융희4년)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되어 국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제는 각 지역의 유지들과 지도자들을 회유하기 위해서 은사금(恩賜金)이라는 명목으로 수많은 돈을 뿌렸다. 전상무에게도 여러 차례 그런 제안이 있었다.  이에 그는 이렇게 사절하는 편지를 보냈다.

“나는 대한(大韓)의 유민(遺民)으로 나라가 망했는데도 따라 죽지 못하고 미련스럽게 이지경에 이르렀다.  어찌 나라 잃은 죄를 감히 피하려하겠는가? 그래서 궁벽한 산속으로 들어와 스스로 말라 죽을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며칠 전에 면장(面長)이 이른바 ‘일본은사금(日本恩賜金) ’이란 것을 들고와 병들어 있는 나를 깜짝 놀라게하였다.  이에 내가 강한 어조로 거절했는데 지금 또 주재소(駐在所)에서 그것을 보내왔다.  내 스스로 돌이켜 볼 때 일본이 주는 물건을 받을 이유가 전혀 없다.  이에 또 다시 되돌려 보내니 잘 헤아려 처리하오.”

일제 담당자는 이런 편지를 무시하고 또 은사금 명목의 돈을 보내왔다.  전상무는 다시 이런글을 써보냈다.

“주고 받는 도리는 언제나 의리(義理)에 비추어 보아야 하는데,  내가받지 않는것은 바로 그 의리에서 발현된 것이다. 오직 그 의리에 의한것이라 면형벌을 받고죽을지라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어떤 사람의 국가를 빼앗기는 쉬어도 그 사람의 뜻까지 빼앗는 것은 어려운 법이다.  비록 천 만번 보내오더라도 죽기를 맹세하고 받지 않을것이니, 다시는 번거롭게 하지말라.”

1913년(63세, 일제시대) 서행일록(西行日錄)을지었다.  계화도로 가서 간재전 우가 은거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난세를 살아가는 선비의 처신에 대해서 가르침을 받았다.  전상무는 천성이 효성스럽고,  키가 크며 위풍당당한 체격을 가지고있었다 . 전우는 수천명의 제자 중에서도 기절(氣節)과 충의(忠義)가 남다르다고 전상무를 칭찬하기도 하였다.

1914년(64세) 고종황제로부터 비밀칙서를 받았다. 황제는 나라가 다시 부흥할 수 있도록 힘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한양,  송경,  기성등지를 유람하고, 수찬 안효제,  정언 노상익,  참봉 이승희등을 청나라에서 만났다.

1915년(65세) 팔회시(八悔詩) 등을 지어 간재 전우에게 보냈다.  이해부터 간재를 스승으로 모셨다.  총독부가묘적(墓籍)을 만들도록 강제하자,“호적에 등록하지 않으면 무덤을 강제로 파내버리겠다고 한다. 백성을 보호한다는 행정이 진정 이런것인가?” 라고 항의 편지를 보냈다. 그의 판단으로 묘적을 만드는 문제는 일본의 호적제도에 편입되는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다음과 같은 결의를 나타냈다.

“비록 나 상무는 몸이 망가지고 뼈가가루가 되는 한이 있더라도 맹세코불 충(不忠)하고 불효(不孝)한 경우에 빠져들지 않을 것이다.(중략) 삼군(三軍)의 장수는 빼앗을 수 있어도 필부(匹夫)의 뜻은 빼앗을수 없는 법이다.  정의로운 마음이 끓어 오르고 있는데 어찌 법률을 위반 했다는 처벌 따위가 두려워서 머리를 숙이고 명령에 따르겠는가?  나 상무는 조상을 위하여 한번 죽을 뿐이니,  명교(名敎)의 죄인이 되는것을 원하지않는다.”

1916년(66세) 안중근의사를 애도하는 시를 지었다.

1918년(68세) 가을에, 임진왜란때 군대를 파견하여 도와주었던 명나라 황제 신종을 기리는 만동묘를 철폐되자, 여러 동료들과 복구운동을 하다체 포되었다.

1919년(69세) 대한제국광무황제(고종)의 둘째 아들 의친왕 이강(李堈)이 일본 경찰의 감시망을 뚫고 압록강을 건너다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이강은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로 향하던 길이었다.  11월에이강이 당시 들고 있던 33인의독립선언서가 독립신문에 발표되었다. 전상무도33인의 한 명으로 이름을 올린 선언서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반만년 역사의 권위와 2천만 민중의 충정에 의지하여 우리 국가가 독립국이며 우리 민족이 자유 민임을 천하만국에 선언하며 또 증언한다.  무궁화가 만발하며, 신선들이 모여 사 는이 동방의 푸른 언덕은 다른 민족의 식민지가 아니며, 단군의 자손이며 아름다운 우리 민족은 다른 민족의 노예  종족이 아니다.”

선언서는 계속해서 우리는 3월 1일에 독립을 선언하고 4월 10일에 정부를 세웠는데도 일본이 아직 우리 민중을 크게 압하고 있다고 항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이렇게 선언했다.

“일본이 만약에 끝내 잘못을 회개하지 않으면 우리 민족은 부득이 3월 1일 공약한 바와 같이 최후의 1인까지 최대한의 성의와  최대한의 노력으로 혈전을 불사한다.”

1922년(72세) 스승 간재가 별세하였다.
1924년(74세)에 사망하였다.  문집으로 ⌈율산집(栗山集) ⌋이있다.

<참고자료>
조동영,  栗山田相武의詩世界에대한一考察, 南冥學硏究 37, 2013.
김진봉, 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