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유선(趙有善:1731~1809)


조유선(趙有善:1731~1809)                                PDF Download

 

관은 직산(稷山), 자는 자순(子淳), 호는 나산(蘿山). 개성(開城) 출신으로, 할아버지는 첨중추부사(僉中樞府事) 조창유(趙昌愈)이며, 아버지는 조성제(趙聖躋)이다.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1771년(영조47)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성현(聖賢)의 학문에 뜻을 두어 개성(開城) 나산(蘿山)에 의숙(義塾)을 세우고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학(儒學)을 공부하였다.

1788년(정조12)에 57세 나이로 혜릉 참봉(惠陵參奉)이 된 뒤에 서부봉사(西部奉事), 청하현감(淸河縣監), 익산군수(益山郡守)를 역임하고, 1797년에 진산군수(珍山郡守) 등을 거치면서 학문을 장려하고 예의를 가르쳤으며 관리가 지켜야할 법도의 확립을 위해 힘썼다.

그는 스승인 김원행(金元行)의 학설을 이어받아, 명덕(明德)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대하여 낙론(洛論)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호론(湖論)을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서경(西京)의 수백년 이래 1인이다.’라는 칭송을 받았으며, 많은 학도들을 가르쳤다. 그의 사후 15년이 지난 1824년(순조24)에 영돈녕 김조순(金祖淳)의 상소에 의거하여 그를 승지(承旨)에 추증하였다.

저서에는 《나산집(蘿山集)》이 있고, 스승인 김원행의 명을 받아 지은 《고정유사(考亭遺事)》, 《사우연원록(師友淵源錄)》 등이 있다. 사시(賜諡)는 문간(文簡)이다. 그가 장원서 봉사(掌苑署奉事)로 있을 때, 조정에서 윤대(輪對)를 거행한 직후에 성삼문(成三問)의 옛집을 보상해주기를 청하기를,

“본서(本署)는 바로 고 충신 성삼문(成三問)의 옛집이니, 드러나게 표창하여 주는 방도가 있는 것이 합당합니다.”

라고 하자, 상이 이르기를,

“충정공(忠正公)의 집도, 위(魏)나라 정공(鄭公)의 옛집을 보상해 돌려준 고사에 따라 선조(先朝)에서 특명으로 해사(該司)에게 사서 주도록 하셨다. 하물며 충문공(忠文公)의 집이겠는가. 지난번에 이 일로 경연관에게 물었더니, 배상하여 돌려줄 만한 곳이 없다고 하여 아직 논의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대의 말은 자기가 맡은 직책을 가지고 간언(諫言)하는 원칙에서 나온 것이니, 물러가 제거(提擧)와 상의하여 우선 그 옛 사실을 기록해서 청사에다 현판으로 내걸도록 하라.”

하였다. 이는 《정조실록》의 15년 6월 11일의 기사내용이다. 이와 같이 충신을 기리는 그의 평소 생각을 진달한 것인데, 다행스럽게도 임금은 이를 직임을 다한 건의로 간주하여 수용하였다. 위에서도 언급하였거니와, 영돈녕 김조순(金祖淳)이 조유선 형제에게 포증(褒贈)해 줄 것을 아뢴 내용이 《순조실록(純祖實錄)》의 24년 9월7일조에 구체적으로 수록되어 있어 다시 그 전문을 살펴보기로 한다.

“연전에 송경(松京) 유생(儒生)의 무리들이 고 군수(郡守) 조유선(趙有善), 고 참봉(參奉) 조유헌(趙有憲) 형제가 학문에 독실하고 조행(操行)에 힘썼다는 것으로 포증(褒贈)해 주기를 우러러 청하였기에 묘당으로 하여금 품처하라는 명이 계셨으나 아직껏 회계(回啓)하지 않고 있습니다. 신이 서쪽에서 올라올 때에 본부의 인사들이 떼를 지어 와서 만나보고는 다시 전의 말을 거듭해 전해 아뢰기를 바랐었습니다. 대개 이 두 사람의 실상(實狀)은 과연 그 상소와 같았으니, 포미(褒美)하는 아름다운 은전(恩典)이 있어야 합당합니다. 특별히 즉시 회계(回啓)하기를 명하여 한 고장 인사들로 하여금 보고 흥기하도록 함이 좋을 듯하므로 감히 우러러 품달하오니, 이 모두를 대신에게 물으소서.”

이 글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그는 아우 조유헌과 함께 학문에 독실하고 조행(操行)이 남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생들이 적극적으로 그를 포증해 줄 것을 간청하고, 이를 영돈녕 김조순이 수용하여 임금에게 상소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이 일로 인하여, 조유선에게는 승지(承旨)를 증직하였고, 그의 아우 조유헌에게는 참의(參議)를 증직하였으니, 그의 행적에 관한 것은 확연히 입증된 셈이다. 실제로 그가 남긴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측면에서 그의 사람됨을 엿볼 수 있다. 그 중에 요즘을 사는 우리들에게 적잖은 교훈을 주는 글이 있어 소개하기로 한다.

“세간에 바보스럽고 무식한 이들이 처자를 사랑할 줄만 알고 부모는 잊고 지낸다. 입을 옷과 먹을 음식이 생기면 반드시 처자와 나누면서 집에 계신 부모는 추위와 굶주림을 면하지 못하여도 돌보아 염려하지 않는다. 이러고도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 까마귀는 미물이지만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성의가 있다. 지금 사람들은 부모의 은혜를 생각하지 않고 효도하고 봉양하는 도리에 힘쓰지 않는다. 심지어 부모의 뜻을 거역하고 패악한 말까지 하니, 이는 새만도 못한 것이다. 어찌 슬픈 일이 아닌가.
옛말에 이르기를,

“자식을 키워 봐야 비로소 부모의 은혜를 안다.”

하였다. 지금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자식을 사랑할 줄 모르는 자는 없다. 그런데, 이를 돌이켜 부모의 은혜를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저 처자만 먹일 줄 알고 부모는 춥고 굶주려도 내버려둔다.
대체로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는, 설령 먹고 입는 것을 넉넉하게 해 드리더라도 마음을 편하게 해 드리지 못하면 불효가 되는 법인데, 더구나 의복과 음식으로 봉양하는 것마저 정성을 다하지 않는 자의 경우이겠는가. 3천 가지 죄 가운데 불효가 가장 크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자식이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극명하게 전달해 주는 글이 아닐 수 없다. 이 몇 가지 사실로 조유선이 어떤 사람인가는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듯하다. 이 글을 계기로 삼아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다시 한 번 부모에 대한 효도를 어찌해야 되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특히 어린이의 인성교육 차원에서 이러한 부분이 심도 있게 논의되어 교육전반에 반영이 되어야 할 줄로 믿는다.

<참고문헌>
– 《나산집(蘿山集)》
– 《매산집(梅山集)》
– 《정조실록(正祖實錄)》
– 《순조실록(純祖實錄)》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