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지당(任允摯堂)


임윤지당(任允摯堂)                                                    PDF Download

1721(경종 1)∼1793(정조 17) 조선후기의 여성 성리학자이다.

본관은 풍천(豊川)이고, 이름은 알려지지 않고 윤지당(允摯堂)이라는 호만 전한다. 강원도 원주 출신이다. 아버지는 함흥판관을 지낸 임적(任適, 1685∼1728)으로, 권상하의 문인이다.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호조정랑을 지내고 이조판서에 증직된 윤부(尹扶)의 딸이다. 조선의 6대 성리학자 중의 한 사람인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의 여동생이다. ‘윤지당’은 오빠 임성주가 지어 준 당호이다.
동생 임정주(任靖周, 1727∼1796)는 「윤지당유고」의 「유사(遺事)」에서 ‘윤지당’이라는 호를 쓰게 된 내력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윤지당은 어렸을 때에 우리 둘째 형인 임성주가 지어주신 것이다. 주자의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과 문왕의 부인인 태사를 존경한다’는 말에서 따오신 것이다. 그러나 그 뜻은 실제로 태임의 친정이었던 지중씨(摯仲氏, 임씨)의 ‘지’라는 글자를 취하신 것이다. 지임씨를 독실히 믿는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우리 이종형 한정당이 손수 도장을 새겨서 주니 이로부터 집안에서 윤지당이라고 불렀다.”

오빠 임성주가 유교에서 이상적인 여성상인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의 덕을 본받으라는 의미에서 윤지당이라는 호를 지어주었다는 것이다. 태임의 성씨가 임씨였기 때문에 임성주가 더욱 친근감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임정주는 윤지당이 어릴 때부터 학문을 할 수 있었던 집안 배경을 적고 있다.

“어릴 때부터 빠른 말이나 황급한 거동이 없었고, 천성이 총명하고 영리하셨다. 여러 오빠 형제들을 따라 경전과 역사 공부하는 것을 옆에서 배웠고, 때때로 토론을 제기하였는데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특히 둘째 형님(임성주)께서 기특히 여기시고 「효경」․「열녀전」․「소학」 등의 책을 가르치셨는데, 누님이 매우 좋아하셨다. 낮에는 종일토록 부녀자의 일을 다해내고 밤이 깊으면 소리를 낮추고 책을 읽으셨다. 뜻이 못소리를 따르는 듯하고 정신이 책장을 뚫을 듯하셨다. 그러나 학식을 감추어 비운 듯이 하셨기 때문에 친척들 중에서도 그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이 드물었다.”

대부분의 조선시대 사대부의 여성들이 그렇듯이 윤지당도 남자 형제들 곁에서 경전(經傳)과 사서(史書)를 읽는 것을 어깨너머로 보고 듣다가, 천성이 총명하고 영리하여 오빠 임성주로부터 「효경」․「열녀전」․「소학」 등을 배우게 되었다. 낮에는 부녀자의 일에 전념하고 공부하는 티를 내지 않았으므로 가족들도 그녀의 학문 진취를 알지 못하였다. 윤지당이 어릴 때부터 학문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자신의 총명함도 있었지만 오빠 임성주의 가르침과 같은 집안의 학문적 환경이 뒷받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정주가 쓴 「유사」에는 윤지당의 정숙한 모습을 기술하고 있다.

“7․8세 때 어떤 일 때문에 외가에 가서 몇 달을 머물게 되셨다. 매일 저녁 어른이 잠자리에 드시면 비로소 잠옷으로 갈아입고 저고리와 치마를 잘 정돈하여 시렁에 올려놓고 잠드셨다. 깨어날 때는 반드시 어른들보다 먼저 일어나 침구를 거두고, 세수하고 빗질하고 평상복을 갈아입으셨다. 종일토록 어른을 모시고 앉아 있으면서 발자취가 마루 아래로 내려가시는 일이 없었다. 돌아오실 때까지 이와 같이 하기를 한결같이 하시니 보는 사람들이 모두 기특하게 여겼다.”

8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9세 되던 해 청주근처 옥화(玉華)라는 곳으로 이사하였다. 17세 때 조상들의 선영이 있던 여주에 와서 살다가 19세(1739) 때 원주의 선비 신광유(申光裕, 1722∼1747)에게 시집갔다. 남편과의 사이에서 딸 하나를 낳았으나 일찍 죽었고, 27세 되던 1747년(영조 23)에는 남편과 사별하여 과부가 되었다.

이후 윤지당은 원주에서 시동생 형제들과 한 집안에서 같이 살았다. 시동생들은 윤지당을 공경하였으며, 섬기기를 어머니와 같이 하였다. 큰 시동생이었던 신광우(申光祐)는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대사간을 역임한 엘리트 관료였다. 시댁의 경제적 환경은 여유가 있었으며, 이로써 윤지당의 학문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독서와 저술에 힘쓰다가 1793년(정조 17) 음력 5월 14일 원주 자택에서 73세의 나이로 작고하였다. 윤지당이 작고한 지 3년 후인 1796년(정조 20)에 그녀의 문집이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라는 이름으로 친정 동생 임정주와 시동생 신광우에 의해 간행되었다.

 

윤지당은 자신의 저술 배경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나는 어려서부터 성리학을 알았고, 이미 자란 다음엔 더욱 좋아하기를 입이 고기를 좋아하는 것처럼 되어 그만둘 수 없었다. 이에 서적에 실려있는 성현의 가르침을 마음을 다해 탐구한지가 수십 년이 되었다.……어느 해에 죽을 날이 얼마 안되어 갑자기 초목처럼 썩어 버릴까봐 걱정이 되었다. 마침내 가정일 틈틈이 글을 써서 뜻밖에도 모두 40편이 되었다.”

윤지당이 남긴 40편의 유고를 남겼으나 동생과 시동생이 유고를 정리하면서 35편으로 산정하여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윤지당은 역대 유명 인물들에 대한 논평을 즐겼던 것 같다. 「윤지당유고」에는 여러 인물에 대한 평가가 들어있다. 「최홍이녀(崔洪二女)」의 전기는 경상도의 한 모녀가 억울하게 죽은 남편과 아버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고 원수를 갚은 사건을 기술한 것이다. 이 전기에서 두 여인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두 여인의 일은 정절과 효성이 지극할 뿐만 아니라 용기도 있다. 비록 남자라 하더라도 그들에 미치지 못할 것이다. 「시경」에서 ‘저 자식된 이여, 목숨을 바쳐도 뜻이 변치 않네’라고 하였으니 바로 이 두 여인을 두고 한 말이라 하겠다.”

윤지당은 최씨와 홍씨 두 여인의 용기를 남자라도 미칠 수 없는 경우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윤지당은 이들의 행위가 순수한 성품에서는 남녀의 차이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줌으로써 여성도 남자들과 같이 효와 의리를 실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윤지당은 11편의 논(論)에서 역사적 인물에 대해 평가하였는데, 특히 왕안석(王安石)을 통렬하게 비판하였다. 왕안석은 송나라의 재상으로 개혁정치를 추구한 인물이다. 도의와 명분을 숭상하던 윤지당은 왕안석이 인의(仁義)를 저버린 채 부국강병만을 취하는 행동은 잘못이라고 보았으며, 왕안석이 일찍 죽은 것은 송나라를 위해서는 불행 중 다행이라고까지 말하였다. 이렇게 볼 때, 윤지당은 실용과 공리보다는 성리학적인 명분에서 내면의 도덕성을 가진 사람을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윤지당은 사마광(司馬光)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함께 내리고 있다. 사마광을 사마온공이라 높이면서 “사마온공은 송나라의 어진 정승이다. 그가 평생에 행한 일에는 남에게 말 못할 것이 없었다고 하니, 그 어질고 현명했던 것을 알 수 있다”라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그의 역사 서술과 관련해서는 비판하였는데, 즉 사마광이 「자치통감(資治通鑑)」에서 유비의 촉한을 대신하여 조조를 정통으로 인정한 것이나, 또한 조조가 헌제(獻帝)를 협박해서 재위를 찬탈한 인물인데도 한나라의 헌제를 도왔다는 이유만으로 긍정적으로 서술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한 것이다.
윤지당의 학문적 내공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말해주는 일화가 있다.

“둘째 형님(임성주)께서 양근 군수로 계실 적에 <임성주의 아들> 협과 홉 형제가 별당에서 공부하고 있었다. 그때 누님께서 원주에서 오셔서 관사에 머물고 계셨는데, 조카들이 매일 아침저녁으로 문안인사를 드렸다. 하루는 누님께서 ‘오늘 공부는 어떠하냐?’라고 물으시니 조카는 ‘날이 더워 고통을 견딜 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면 부채질을 하느냐?’고 묻자,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누님께서는 ‘정신을 집중해서 책을 읽으면 가슴에서 자연히 서늘한 기운이 생기는데, 부채질할 이유가 있겠는가? 너희들이 아직도 헛된 독서를 면치 못했구나’라고 하셨다. 이 한 마디 말씀으로 미루어보면 누님의 존심양성(存心養性)하신 수양의 경지를 가히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윤지당유고」, 「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윤지당의 생애와 「윤지당유고」(최연미, 「서지학연구」17, 서지학회, 1999), 「<윤지당유고>를 통해 본 임윤지당의 생애와 사상」(전혜원, 전북대학교 석사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