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상(李行祥: ?~1800)


이행상(李行祥: ?~1800)                                         PDF Download

 

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리(公履), 호는 왕림(旺林).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후손으로, 조부는 익위(翊衛) 신로(莘老)이며,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일찍이 사서삼경(四書三經)을 통달하였으며, 특히 스승인 도암의 임종할 당시에 홀로 향촉(香燭)을 밝히고 마치 친자식처럼 애통해하였다. 스승을 깊이 흠모하였으며 유문(遺文)을 정리하여 출간하기도 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은

“도암의 문하에 이처사(李處士)를 얻어서 사문(師門)이 더욱 높아졌다.”

라고 하였다.

그의 성품은 후덕하고, 강경하면서도 확고하여 한번 책을 잡으면 밤새도록 글을 읽었다. 특히 《소학(小學)》과 《논어(論語)》에 열중하여 늙을 때까지 공부를 쉬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당시 유자(儒者)들의 그릇된 행동을 비판하고 마침내 은둔하여 오로지 내수(內修)에만 정진하였다. 나아가 시골의 수재들을 모아 사우(社宇)를 세우고 이들을 교육하는 일에 종사하였는데, 학자들은 그를 일러 왕림선생(旺林先生)이라 부르며 존모(尊慕)하였다.

정조 때 왕세자(王世子)를 세우고 경술(經術)에 능한 선비를 구하자,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여 광릉참봉(光陵參奉)을 제수하였으나, 그는 나아가지 않았다.

1794년(정조18)에 나이가 많아 그를 경하하기 위한 배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제수하였으며, 1824년(순조24)에는 특별히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로 추증(追贈)하였다. 그는 송단(宋湍), 성덕명(成德明)과 함께 이재 문하의 3처사(三處士)로 불리운다.

<참고문헌>
–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
– 《영옹재속고(潁翁再續藁)》
– 《매산선생문집(梅山先生文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