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李選:1632~1692)


이선(李選:1632~1692)                                           PDF Download

 

관은 전주(全州), 자는 택지(擇之), 호는 지호(芝湖) 또는 소백산인(小白山人)이며, 부친은 우의정 이후원(李厚源)이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기도한 그는 1657년(효종8)에 진사가 되고, 1664년(현종5)에 춘당대 문과(春塘臺文科)에서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올랐고, 예문관봉교(藝文館奉敎),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사간원교리(司諫院校理)를 거쳐 이조좌랑(吏曹佐郎) 등을 역임하였다. 사관(史官)으로 재직할 당시에 강화도(江華都)에 간직해 둔《열성실록(列聖實錄)》을 보수할 것을 청하였다가 우의정 허적(許積)의 비위를 거슬려 귀성(龜城)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에 1673년(인조15 )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로 재임할 당시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1674년에는 노산군 부인의 묘소에 수묘군(守墓軍) 및 제전(祭田)을 지급할 것을 요청하여 현종(顯宗)의 재가를 받았다.
1675년(숙종1)에는 형조참의(刑曹參議)로 재임할 때 송시열(宋時烈)이 실세하고 남인(南人)이 득세하자 사직하였다.  그 뒤에 다시 개성유수(開城留守)가 되어 정충신(鄭忠信) 등에게 시호(諡號)를 내리고 그의 자손을 관직에 등용할 것을 청하였다. 예조참판(禮曹參判)으로 재임할 당시에 사신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뒤 이어 이조참판(吏曹參判)이 되었다. 1679년에는 민유중(閔維重)과 이유(李濡) 등과  함께송시열을 섬기면서 군신의 의리를 저버렸다 하여 귀양을 보내자는 남인계 대사헌이 원정(李元禎) 등의 탄핵을 받았으나 무사했다.

1680년(숙종6) 경신대 출척(庚申大黜陟)으로 서인(西人)이 집권하자,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대사성(大司成), 대사간(大司諫) 등을 거쳤으며, 강화유수(江華留守)로 재직할 때 백골 징포(白骨徵布)와 아약충군(兒蒻充軍)의 폐해 및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피살당한 황보인(皇甫仁)과 김종서(金宗瑞) 등을 신원(伸寃)해 줄 것을 상소하였다.

1682년 이후 실록 청당상(實錄廳堂上), 도승지(都承旨), 경기감사(京畿監司), 공조참판(工曹參判), 개성유수(開城留守) 등을 거쳐1689년호군(護軍)으로 있을 때,  숙종(肅宗)이 후궁인 소의(昭儀) 장씨(張氏)가 낳은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려하자,  이를 반대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정권을 장악한 남인들에 의해 송시열 당(黨)으로 지목되어 정언(正言) 송유룡(宋儒龍)의 탄핵을 받고 기장(機張)으로 유배되었다.

이선은현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의 남평문씨(南平文氏) 상익(尙翼)의 집에 기거하면서 ‘집승정(集勝亭)’과 ‘유란헌(幽蘭軒)’을 오가며 소일하였다.  이때 <송강가사(松江歌辭)>를 비롯한 송강정철(鄭澈)의 문집 일부를 재정리하고 4년간의 유배 생활 끝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이런 연유로 ‘집승정’  “있는 곳”이라는 뜻의 ‘수리정(愁離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일부 다른 기록을 보면그 가

“이정자에 오르기만 하면 근심걱정이 멀리 떠난다.”

고 입버릇 처럼 되뇌였다하여 ‘집승정’을  ‘수리정’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가 유배지에서 죽은 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서인이 집권하자 관작(官爵)이 회복되었다.

그는 또 국조(國朝)의 고사를 많이 알아 국자감(國子監)으로 비유되기도 하였으며, 시호는 정간(正簡)이다.  저서로 노산군(魯山君)의 시제요청 등을 수록한《지호집(芝湖集)》이 있으며,  편서로는《황강실기(黃岡實記)》, 《시법총기(諡法摠記)》등이 있다.  끝으로 그 의문집인《지호집》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중 인구에 회자(膾炙)되는 글 한편을 감상해 보기로 한다.  제목은 <세 고을 학생들에게 고함[告諭三邑諸生文]>으로 되어 있다.

스승이 없다 말하지 말라     莫曰無師
책에서 찾으면                            求之方策
많은 스승이 있나니                有餘師矣
벗이 없다 말하지 말라          莫曰無友
조용히 책을 펼치면                靜對黃卷
그곳에 벗이 있나니                有其友矣

이 글은 이선이 제주도에 순무사(巡撫使)로 파견되었을 때에 그 고을학생들의 학업을 격려하기 위하여 적어 준 글이다.   당시의 여건을 고려할 때 제주의 학습 여건이 얼마나 열악했는가를 이 글을 통해 어느 정도는 짐작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환경을 탓하지 말고열심히 글 공부를 하도록 제생들을 다독이며 격려하려는 뜻이 한껏 담겨져 있는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물질 만능의 소용돌이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책이 없어서 공부를 못하는 세상이 아니건만 어쩐지 명구(名句)로 가슴에 와 닿는 듯한 여운이 남는 그런 작품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