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전(崔澱, 1567-1588)


 

최전(崔澱, 1567-1588)                                            PDF Download

 

경포대에 세워진 최전의 시비
경포대에 세워진 최전의 시비

 

전(崔澱, 1567-1588)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젊어서 요절하여 관직에 오르지 못했다. 어려서 재주가 뛰어나 신동이라 불렸는데,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많은 시문과 그림을 남겼다. 그의 유집으로 ⌈양포유고(楊浦遺稿)⌋가 있으며, 그의 아들 최유해(崔有海)는 문과에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까지 올라 부친의 뜻을 이었다.

1567년(1세, 명종 22)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1868년 부친의 임지인 고성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언침(彦沈), 호는 양포(楊浦)다. 아버지는 군수 최여우(崔汝雨)이고, 어머니는 상주 이씨(尙州李氏)다.
선조시대의 청백리로 알려진 무신 최여림(崔汝林)은 아버지 최여우의 형이며, 최전에게는 큰아버지다. 최여림은 1583년(선조 16)에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직하던 중에 서계를 잘못 올린 일로 파직당한 바 있다. 선조실록을 기록한 사관(史官)은 최여림에 대해서 이렇게 적었다.

“최여림은 무인(武人)이었는데, 몸가짐에 근신하고 품행이 엄격하여 젊어서부터 늙어죽을 때까지 지키는 바가 한결같았다. 이는 문사(文士)도 미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그의 청절(淸節)은 더욱 칭찬받기에 충분하였다.”

1572년(6세, 선조 5), 6월에 부친상을 당했다. 이에 따라 큰형에게서 글을 배웠다.
1575년(9세, 선조 8)에 해주로 가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한문과 유학 공부를 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기 때문에 신동이라 불렸다. 배움의 진도가 빨라 스승 율곡으로부터도 총애를 받았다.
1578년(12세, 선조 11)에 「별해고수오음(別海皐倅梧陰)」를 지었다. 이 시는 율곡을 찾아가다가 황해도 연안에서 그 곳 수령 윤두수(尹斗壽)를 만나 지은 것이다. 이시는 이별의 마음을 격조 높게 표현하여 율곡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았다. 그의 시는 깊은 정회를 표현한 시가 많다.
그의 시비가 경포대에 세워져 있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시가 새겨져 있다.

蓬壺一入三千年 봉래산에 한번 들어가면 삼천년
銀海茫茫水淸淺 은빛 바다 망망한데 물은 맑고 얕구나.
驂鸞今日獨飛來 나는 듯이 말을 몰아 홀로 찾아오니
碧桃花下無人見 복숭아꽃 아래 보이는 사람 없구나.

그는 경포대에서 또 이러한 시를 지었다.

朝元何處去不歸 노자는 어디 가서 돌아오지 않을까?
玉洞杳杳桃千樹 신선의 동굴은 아득한데 복숭아나무 가득하네.
瑤壇明月閒無眠 신선이 사는 곳에 밝은 달이 한가로우니 잠은 오지 않고
萬里天風香滿浦 만리에 부는 바람, 향기만 나루에 가득하네.

그의 시는 이렇게 관동지방의 결치를 읊은 서경시가 많다. 이런 그의 시들은 이백(李白), 두보(杜甫), 왕유(王維), 맹호연(孟澔然) 등 당나라 시인들의 수준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고, 소리가 맑으며 가락이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장생은 “그의 시는 격조가 있으면서 법이 있으며 청아하면서도 빛나 세속의 바깥에서 휘날리는 듯하니, 참으로 ‘한 구절의 시구가 열 개의 옥으로도 값을 다 치를 수 없다.’는 것이었다.”(⌈양포유고․발문⌋)
1580년(14세, 선조 13)에 사마시의 초시에 응시하였다. 이때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회시(會試)에 참여하였을 때는 마침 스승인 율곡이 시험관으로 있었기 때문에 남의 오해를 살까 일부러 시험 답안지를 제출하지 않았다. 그 뒤 성균관에서 석존(釋奠)을 주관하던 좨주(祭酒, 정3품 벼슬) 윤근수(尹根壽)의 문하에서 매일같이 학업 지도를 받았다.
이즈음의 모습을 사계 김장생은 ⌈양포유고(楊浦遺稿)⌋ 발문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아, 슬프다. 나는 최군(崔君)을 총각 때 그 형의 상차(喪次, 상주가 머무는 방)에서 보았는데, 타고난 바탕이 순수하고 아름다우며 용모가 단정하고 온화하였다. 상례를 집행할 적에 예법대로 하여 멀리서 바라보니 의젓하기가 큰 그릇으로 성취할 인물임을 알았다.”

1585년(19세, 선조 18), 진사시에 합격하여 사람들의 기대를 크게 모았다. 그는 시문에 뛰어났으며 매화와 조류(鳥類)를 잘 그렸다. 글씨도 잘 써서 예서(隷書)와 초서에 능했다.

1588년(21세, 선조 21), 윤 6월 아들 최유해가 태어났다. 문경(聞慶)의 양산사(陽山寺)에 가서 ⌈주역(周易)⌋을 읽다 병이 들어 집으로 돌아왔다. 이해 12월 19일, 짧은 생을 마쳤다. 김장생은 최전이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고 요절하여 너무 이른 나이에 세상을 하직한 슬픔을 이렇게 적었다.

일찍이 율곡 선생의 문하에서 바른 도로써 뜻을 세워 학문이 날로 발전하여 문장과 재기에만 그치지 않았기 때문에 동문들도 모두가 원대한 인물이 되리라고 기약하였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일찍 죽었으니 애석한 일이다. 나는 그의 나아간 점만을 보았고 그가 멈춘 것을 보지 못하였다. 아, 슬프다. 하늘이 인재를 내릴 적에는 반드시 목적이 있는 것인데, 또 어찌하여 갑자기 그의 목숨을 빼앗아 갔단 말인가? 천리(天理)란 참으로 헤아릴 수가 없다.(⌈양포유고․발문⌋)

유집으로 ⌈양포유고(楊浦遺稿)⌋가 있다. 그의 시문유집(詩文遺集)은 명나라에서 간행되어 절찬을 받았다. 최전의 친구 이정귀(李廷龜)는 유고집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아, 슬프다. 이는 나의 죽은 친구 최언침(최전)의 유고다. 언침은 스물두 해를 살았으니 그 원고는 원래 적은데 세상을 떠난 지 이제 25년이 지나서 망실된 것도 또한 정녕 많으리라. 아! 그 수가 적은 것도 괜찮다. 어찌 구태여 많은 것을 바라겠는가? 그의 시는 맑고 운치가 있으며 타고난 자질이 본래 높기를, 새끼 봉황의 소리가 겨우 목에서 나오자마자 어느새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것과 같다. (중략) 곤산의 옥은 적으면 적을수록 더욱 진귀하다. 어찌 구태여 많을 필요가 있겠는가!”(⌈양포유고․서문⌋ )

최전의 아들 최유해(崔有海, 1588-1641)가 1625년에 부친의 문집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최유해는 김현성(金玄成), 조수륜(趙守倫), 최립(崔岦) 등의 문하에서 글을 배워 1613년(광해군 5)에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응교를 거쳐 훈련도감낭청이 되었으며, 그 뒤에 양주목사(楊州牧使), 홍문관교리를 거쳐 정주목사(定州牧使)·길주목사(吉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었다. 젊어서 요절한 부친이 남긴 뜻을 잘 이어받고 여러 지방에서 선정을 베풀어 칭송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