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선(吳駿善, 1851-1931)


 

오준선(吳駿善, 1851-1931)                                 PDF Download

 

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오준선은 유년기에는 족숙 오태규(吳泰圭, 1843~?)에게 수학하였다. 오준선이 18세 되던 해에 당시 71세의 기정진(奇正鎭)을 찾아가 예법과 경전 등을 탐구하게 되었으며 기정진의 기대를 받았다. 이때 기우만, 고광순과 동문수학하였다.

스승 기정진은 19세기 호남유학의 마지막 거장으로 평가받는 유장으로서 정조 22년(1798) 6월 3일 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조동(槽洞)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금빛 얼굴을 가진 큰 사람이 남자아이를 안고 오는 꿈을 꾼 뒤 12개월 만에 그를 낳았다고 한다. 기정진은 어려서부터 영특함이 남달랐다. 네 살 때  「효경(孝經)」과  「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을 읽었고, 이때부터 5~6년 동안  「소학」, 「대학연의(大學衍義)」를 비롯한 경서와  「강목」,  「춘추」 등의 역사서를 두루 공부했는데, 기억력이 매우 좋아 보는 것은 모두 외웠다. 판단력과 행실도 올발라 네 살 때는 이웃집 과일이 자기 집 마당에 떨어지자 모두 주워 되돌려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다섯 살 때 천연두를 앓아 왼쪽 시력을 잃는 불행을 겪는다.

후일 학문이 대성하여 독창적이면서 탁월한 저작을 남긴다. 그의 주요 저작은 40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산출되어 노년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기정진의 성리설은 이(理)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이일원론(理一元論) 관점의 주리론이라고 요약된다. 특정한 사승(師承) 관계나 학맥에 의존하지 않고 성리학의 근원인 중국 송대의 학문을 직접 연구해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했다고 평가된다. 대표저작으로는 40대 중반에 저술한 「납량사의(納凉私議)」(1843, 46세 완성 이후 1874년 77세 수정)를 비롯해 50대 중반에 지은 「이통설(理通說)」(1853, 55세)과 81세의 노령에 발표한 「외필(猥筆)」(1878) 등이 꼽힌다.

오준선은 학문의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이후 기호학파의 전통을 이은 전재(全齋) 임헌희(任憲晦, 1811-1876)와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 1818-1903)를 찾아 가르침을 청했다. 임헌희는 이이와 송시열의 학통을 계승한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당대의 석학이고, 송근수는 은진 송씨로 송시열 – 권상하 – 한원진 – 송능상 – 송환기, 김정묵 – 송치규 – 송달수, 송근수 – 송병선, 송병순으로 이어지는 학맥의 전승자로서 1882년 좌의정 재임 시 정부의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사직소를 올려 정부의 개화정책에 반대하였다.

호는 후석(後石)이고 자는 덕행(德行)이며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그의 선대를 살펴보면, 고려 혜종(惠宗, 914~945)의 모친 장화왕후(莊和王后)는 나주오씨(羅州吳氏)의 역사 속에 크게 이름을 나타난 인물이다. 가장 오래된 오씨 족보(吳氏族譜)는 오희도(吳希道, 1583-1624)가 적은 필사본이 전하고 있다. 나주오씨는 고려 때 중랑장(中郞將) 오언(吳偃)을 1세로 하고, 5세손 오자치(吳自治)는 세조13년(1467)에게 영정을 하사 받은 인물이다. 오준선의 8대조 병조좌랑 오이익(吳以翼, 1618-1666)은 오희도(吳希道)의 아들이다. 부친은 오하규(吳夏圭, 1829-1872)로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나 백부 오항규(吳恒圭, 1824-1874)에게 입양되었다. 오준선은 평소 형제간의 깊은 우애가 깊었는데, 동생 오영선(吳泳善, 1854-1872)과 오유선(吳裕善, 1857-1886)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영선의 양아들 오동수(吳東洙, 1878-1945)와 유선의 아들 오남수(吳南洙, 1884-1933)를 친자식처럼 기르고 가르쳤다.

매천(梅泉) 황현(黃玹, 1855-1910)은 기정진이 지은 「납량사의(納凉私議)」를 두고 이 글은 당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모두 쓸어버릴 정도라고 격찬하였다. 이 글에서 기정진은 기를 중시하는 주기론과 기의 존재를 일정하게 인정하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부정하고 이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주리론을 주장하였다. 기정진의 이 학설은 기호 학맥의 원류인 이이의 학설을 비판하였다고 하여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전우(田愚, 1841-1922)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이때, 오준선은 기정진이 이이에게 심복하면서도 다만 이기설에서는 이견을 보인 것이며, 그것은 이이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후현이 선현의 이론을 변론(辯論)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기정진이 「외필(猥筆)」에서

‘이(理)는 인간을 포함한 우주만물을 생성하고 변화하게 하는 근원적 실재로서 기(氣)의 발동과 운행은 오직 이(理)의 명령에 의한 것이다.’

라고 했는데, 오준선은 스승의 학설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기호학파 중 이일원론을 전개한 스승 기정진의 주리론적 입장을 따른 오준선은, 기정진의 설을 전폭적으로 수용한 것이며 모든 행동의 근원은 명령을 내리는 자가 주인이고, 주인은 바로 이(理)요, 명령을 받은 자는 종이니 종은 바로 기(氣)다는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오준선은 망국의 현실을 통곡하며 오백년 예의의 나라가 하루아침에 금수의 오랑캐 나라가 되었으니 망국에서 살아남은 자가 몸을 던져 죽을 수 없다면, 뜻에 따르는 충의가 있어야 한다고 하면서 입산하였다. 처음 석문산에 은거했으나, 용진산으로 문도들이 거처를 축성하여 용진산으로 옮겼다. 용진산으로 들어간 오준선은 후일을 기약하며 의병들의 행적을 수집하여 「의병전」을 저술하였다. 그는 「의병장 기삼연전」, 「의병장 고녹천광순전」, 「의사 김준 전수용 합전」을 지었고 「의병장 심남일 행장」, 「의병장 고광순 행장」 등 5명의 의병장에 관한 기록을 남겼다.

문집으로 「後石遺稿」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