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즙(高用楫,1672-1735)


 

고용즙(高用楫,1672-1735)                                  PDF Download

 

1672년(현종 13)∼1735년(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관은 미상(未詳)이며, 자는 제경(濟卿), 호는 죽봉(竹峯)이다. 임피(臨陂) 술산(戌山)의 죽봉에서 출생하였으므로 호를 죽봉이라고 하였다. 할아버지 고이원(高而遠)과 아버지 고필(高佖)은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과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문하에 출입하였다.

고용즙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고 시를 잘 지어 신동으로 불렸으며 문장도 잘 했으나 과거에는 실패하였다. 이에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김집과 송시열의 문하에서 오직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으니 성리학에 침잠하고 경서(經書)에 몰두하였다. 북헌(北軒) 김춘택(金春澤)과 교의가 두터웠으며, 이관명(李觀命)․이휘지(李徽之)․민진원(閔鎭遠)․김진상(金鎭商) 등 당대의 명사들과도 교류하였다.

영조(英祖) 초에 상소를 올려 김일경(金一鏡)․목호룡(睦虎龍) 등의 죄와 탕평책의 부당성을 논하였다. 이것은 조선 후기 1721년부터 1722년에 걸쳐 세자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일어난 신임사화(辛任士禍)와 관련된 일을 말한다. ‘신임사화’는 신축(辛丑)․임인(壬寅) 두 해에 걸쳐 일어난 옥사이다. 1720년(숙종 46)에 숙종이 죽고 소론의 지지를 받은 경종(景宗)이 33세의 나이로 즉위했는데, 후사가 없었으며 병이 많았다.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은 하루 빨리 경종의 동생인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을 왕세자로 책봉하자고 주장했다. 당시의 노론 4대신은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좌의정 이건명(李健命), 영중추부사 이이명(李頤命), 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가 중심이 되었다. 물론 소론측의 반대가 있었지만, 경종은 1721년 8월에 대비 김씨의 동의를 얻어 이를 실현시켰다. 유봉휘 등 소론이 이에 반대했으나, 결국 노론세력의 주장이 관철되어 경종의 이복동생인 영조가 세자로 책봉되었다.

노론측은 더 나아가 10월에 조성복(趙聖復)의 상소를 통해 경종을 대신하여 세제의 대리 청정을 주장하였다. 이에 반발한 조태억, 이광좌, 유봉휘 등 소론 세력의 반대에 부딪친다. 그러던 중 사직(司直) 김일경(金一鏡) 등이 소를 올려 노론이 반역을 도모한다고 고발하여 세제 청정을 상소한 조성복과 이를 강행한 노론 4대신을 파직시켜 유배를 보냈다. 이외에도 다수의 노론측 인물들이 삭직되었고, 소론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용즙은 노론의 입장에서 소론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고향의 유림들과 협의하여 스승인 김집이 배양되어 있는 봉암서원(鳳巖書院)에 사액하고, 정읍에 송시열이 배양되어 있는 고암서원(考巖書院)을 창건할 것을 소청하였다. 유고로 죽봉집을 남겼다. 고용즙은 고동옥(高東沃)의 할아버지이다.

고용집의 시문집인 죽봉집은 3권 1책으로 석인본이다. 1938년 영모재(永慕齋)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민병승(閔丙承)․이중명(李重明)․최병심(崔秉心)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인 고동화(高東華)․고도상(高道相)․고경동(高京東)․고명환(高明煥) 등의 발문이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는 「상토역소환향시음(上討逆疏還鄕時吟)」․「반궁중정음(泮宮中丁吟)」․「서당즉사(書堂卽事)」․「서원회음(書院會吟)」․「취취당(就就堂)」 등 시 209수, 「팔덕선부(八德扇賦)」․「남정부(南征賦)」․「의기부(懿己賦)」․「민기부(悶己賦)」 등 부 4수가 들어있다. 「의기부」는 고용즙의 29세 때인 1700년 상중에 쓴 작품으로 장편이다. 또한 「민기부」에는 상제(喪制)가 된 고용즙의 심정을 그리고 있다. 저자는 탐라국(耽羅國) 을나(乙那)의 후예로 45대를 군주, 16대를 신하로 내려온 명문가문으로, 부친은 특히 용모․언행․문장이 뛰어났고 가족이나 사회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과거에는 실패하였으나 전원에 뜻을 두어 정자를 짓고 못을 파며 국화와 버들을 심어 은자답게 살아가다가 고용즙이 28세 때인 1699년 9월에 병석에 눕게 되고, 온갖 약에도 효과가 없어 다음 달 10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그 뒤에 슬픔이 극에 달하여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고 여러 풍수(風水)를 맞아 묘지를 정하여 다음 해 2월 14일에 안장하는 효자 고용즙의 심정을 그린 작품이다. 그 밖에 지은 년대를 알 수 없는 작품으로 부채의 팔덕(八德)을 읊은 「팔덕선부(八德扇賦)」가 있다.

권2에는 「흥학당서(興學堂序)」․「초당서(草堂序)」․「필묵계서(筆墨契書)」․「봉암서원서(鳳巖書院序)」 등 서 5편, 「취취당기(就就堂記)」의 기 1편, 「봉암서원개기제문(鳳巖書院開基祭文)」의 제문 1편, 「봉암서원중수상량문(鳳巖書院重修上樑文)」의 상량문 1편, 「사직축문(社稷祝文)」 등 축문 10편, 「포계조후경장(褒啓趙候景狀)」의 장 1편, 「토역소(討逆疏)」․「태학소(太學疏)」․「태학공재소회소(太學空齋所懷疏)」․「신독재선생봉암서원청액소(愼獨齋先生鳳巖書院請額疏)」 등 소 11편이 들어있다. 이 중에 「초당서」는 고용즙이 세상을 떠나기 3년 전에 쓴 말년의 작품인데, 여기서는 저자가 거처하는 초당의 주위환경을 그린 것이다. 이것은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와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이다. 그 밖에 봉암서원에 배향된 스승인 김집의 도학과 연원 등을 그린 「봉암서원개기제문」이 있다.

권3에 부록으로 행장․묘표․만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1887년(고종 24)에 경연관(經筵官)을 지낸 김락현(金洛鉉)이 행장을 지었다. 소는 스승인 송시열(宋時烈)과 김집(金集)을 사사한 노론의 입장에서 소론의 유봉휘(柳鳳輝)․이광좌(李光佐) 등이 주장한 세제책봉 및 대리청정의 반대에서부터 신임사화에 이르기까지의 사실을 담고 있다. 또 소론 일파가 일으켰던 반란행위를 엄벌에 처할 것을 건의하고 있어, 당쟁이 심화되었던 당시 노론․소론의 갈등과 대립상을 엿보는데 참고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