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문무(神聖文武) 한 인조


신성문무(神聖文武) 한 인조

 

인조(1595-1649)는 조선의 제16대 왕(재위 1623~1649)이다.

자는 화백(和伯)이고, 호는 송창(松窓)이며 휘는 종(倧)이다. 선조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정원군(定遠君:元宗으로 追尊)이고 어머니는 인헌왕후(仁獻王后)이다. 비는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仁烈王后), 계비(繼妃)는 조창원(趙昌元)의 딸 장렬왕후(莊烈王后)이다.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왕이고 15대 왕은 광해군이다. 광해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잘 알려진 것처럼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다. 인조는 1623년 김류(金瑬)·김자점(金自點)·이귀(李貴)·이괄(李适) 등 서인(西人)의 반정(反正)으로 조선의 제16대 왕이 되었다.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는 그 후에도 병란을 겪었다. 1624년 이괄이 반란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하자 일시 공주(公州)로 피난하였다가 도원수 장만(張晩)이 이를 격파한 뒤 환도하였다.

왕위에 오른 인조는 광해군 때의 중립정책을 지양하고 반금친명(反金親明) 정책을 표방하면서 1627년 후금의 침입을 받고 형제의 의(義)를 맺었다. 바로 정묘호란이다. 정묘호란 이후에도 인조는 친명적(親明的) 태도를 취하는데, 1636년 국호(國號)를 청(淸)으로 고친 태종이 이를 이유로 10만 대군으로 침입한다.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항전하다가 패하여 청군(淸軍)에 항복하고 군신(君臣)의 의를 맺는다.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이 볼모로 잡혀가는 치욕을 당하였는데, 곧 병자호란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조선시대의 양대 전란이다. 임진왜란은 선조 때에 병자호란은 인조 때에 겪은 국난이다. 역대로 사가들이 선조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 것처럼 인조 또한 평이 좋지 않다.

애초에 반정을 도모하던 세력들은 광해군을 대신할 왕을 누구로 할 것인지 상당히 고심했을 것이다. 봉건왕조에서 반정의 최종적인 성공은 반정 후에 추대된 왕에 달렸기 때문이다. 반정 세력을 옹호하면서도 국론을 한데로 모을 수 있는 적임자.

 

반정을 의논할 적에 반정으로 모실 왕을 논하는 이야기들이 <연려실기술>에 나온다.

“신경진(申景禛)이 승평군(昇平君, 김류)과 반정을 의논하면서 먼저 추대할 분을 정하려 할 때에 공이 인조대왕을 두고 말하기를, ‘신성문무(神聖文武)가 실로 천명을 받을 만한 인물이다.’ 하였다.”

“처음에 여러 사람이 의거(義擧)를 의논하면서 말하기를, ‘능양군(綾陽君, 인조)은 용의 걸음과 범의 걸음 같으며, 해와 달 같은 의표(儀表)가 있으니 신인(神人)의 주인이 됨직하다.’ 하였다.”

“신경진이 평소 김류와 서로 마음이 맞았는데, 하루는 조용히 글 배우기를 청하고는 바로 사략(史略)을 내어놓았다. ‘이윤(伊尹)이 태갑(太甲)을 내치다. [伊尹放太甲 ]’는 대목에 이르러서 책을 덮으며 탄식하기를, ‘신하로서 임금을 내쫓는 일이 옳은가?’ 하니, 김류가 말하기를, ‘태갑이 탕(湯)의 법도를 뒤엎었으니 내쫓는 것이 또한 옳지 않은가?’ 하였다. 경진이 말하기를, ‘요즈음은 어떠한가?’ 하니, 김류는 ‘옛날과 지금이 무엇이 다르냐?’ 하였다. 경진이 울며 말하기를, ‘천하에 어찌 어미 없는 나라가 있는가? 나는 나라가 망하게 되는 것을 그냥 앉아서 볼 수가 없다.’ 하니, 김류가 말하기를, ‘그것이 내 뜻이다.’ 하였다. 이내 묻기를, ‘마음 가는 데가 어디 있는가?’ 하니, 경진이 말하기를, ‘능양군(綾陽君, 인조)은 바로 선조의 친손인데 총명하고 무용(武勇)이 뛰어나니 하늘이 주신 바이다.’ 하여 마침내 의논이 결정되었다.”

 

이 기록들은 반정이 성공하여 왕위에 오른 주상 인조에 대한 평임을 감안하더라도 인조의 풍모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준다. 조선의 왕으로 추대될 만한 인물로서의 인조의 모습 말이다.

 

<연려실기술>에는 이외에도 인조의 풍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록들이 다수 나온다.

“임금은 성품이 매우 공손하고 검소하여 항상 사치를 경계하고 음악과 여색, 진기한 오락을 아예 가까이하지 않으면서 하교하기를, ‘사치와 화려함은 말류의 폐습이니, 이 어찌 다스려진 세상에서 숭상할 일이겠는가. 우리 조종 때부터 절약과 검소를 몸소 행하여 윗사람이 표본이 됨으로써 뭇백성이 감화되었으니, 순박한 풍속이 수백 년 동안 흘러 내려왔다. 그동안 나라의 운수가 불행하여 어지러운 조정의 군신들이 조종(祖宗)의 훌륭한 법과 아름다운 뜻을 저버리고 화려함을 숭상하여 의복과 거마와 궁실 등을 사치스럽게 하지 않음이 없으니 염치(廉恥)가 이로 인하여 무너져 없어지고 백성이 이로 인하여 도탄에 빠지게 되었다. 어찌 마음 아프지 않겠는가. 내가 외람되이 대업을 이어받아 밤낮으로 삼가고 두려워하여 먼저 이러한 풍습을 없애려고 생각하였으나, 물들어 더러워진 지 이미 오래이므로 갑자기 개혁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예부터 백성을 바꾸어 다스리는 법은 없으며, 위에서 좋아하는 것은 아래서 반드시 더 좋아하는 것이다. 오늘날 사치한 풍습이 변하지 않는 것은 위에서 모범을 보이는 도리를 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무릇 우리 종실과 공, 경, 대부들은 모두 나의 뜻을 체득하여 혼인 잔치와 손님 대접하는 것이나 거마, 의복의 제도에 검소와 절약을 힘써서 나쁜 풍습을 크게 고쳐야 할 것이다.’ 하였다.”

 

인조가 검소한 덕이 있다는 설명은 선조가 검소한 덕이 있었다고 밝힌 <연려실기술> 선조 조목의 내용을 연상시킨다. 두 임금이 공히 존귀한 왕좌에 있었음에도 검약한 생활을 했다는 점은 대서특필할 만하다. 이는 두 임금이 천성으로 검약한 덕을 숭상한 바도 있었겠지만 국란을 겪은 후 산업과 물자가 궁핍한 시기를 보내면서 자연스레 더욱 검소한 덕을 실천했을 수도 있겠다.

“임금이 상벌을 삼가고 벼슬을 아꼈으며 찡그리고 웃는 것을 함부로 하지 않았다. 이형익(李馨益)과 박군(朴頵)은 의술로 사랑을 받았으나 박군은 육품(六品)에 지나지 않았고, 형익은 삼품산질(三品散秩)이었다. 매우 무겁고 말이 없어 가까이 모시는 궁녀도 임금의 말을 자주 듣지 못하였으며, 여러 신하는 임금의 뜻이 어떠한가를 측량하지 못하였고, 임금의 한 마디 칭찬과 꾸짖음이 곧 평생의 판정이 되었다. 궁중에서 쓰는 상(床)과 자리는 아예 붉은 칠을 하지 않았으니, 그 검소한 덕이 이와 같았다.”

“임금은 문장이 매우 뛰어났으나 아예 한 구의 시도 짓지 않았고, 비답하는 문자도 또한 내시(內侍)에게 베껴서 쓰게 하고, 손수 초(草)한 것은 물 항아리에 담가 찢어버렸으므로 종친과 왕자의 집에는 몇 줄의 필적도 없었다.”

 

인조가 말이 무겁고 감정 표현을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성격임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자신의 필적도 남기지 않으려고 한 인조의 행위를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천성으로 ‘신성문무(神聖文武)’ 하거나 ‘해와 달 같은 의표(儀表)’가 있기도 하겠지만 신하들이 임금의 뜻이 어떠한가를 측량하지 못하도록 하고, 몇 줄의 필적도 남기지 않으려는 데에는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의 고심이 배여 있다고도 볼 수 있겠다.

“임금의 체모가 준엄하고 무거우며 덕량이 깊고 넓어 몸가짐 하나하나가 규범에 어긋나지 않았다. 보위에 있은 지 27년 동안에 효를 다하고 윤리를 돈독히 하며, 학문을 닦고 어진 이를 가까이 두며,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의 일에 마음과 힘을 다하며, 교화를 두텁게 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궁중을 엄하게 다스리고 벼슬을 아끼며, 절약과 검소한 것을 숭상하고 간언을 용납하며, 형옥을 보살피고 나쁜 당파를 없애는 것이 한결같이 지성에서 나와 조금도 중단이 없었다.”

 

위의 글은 <연려실기술>에 인용된 인조 지문(誌文)의 일부이다. 이는 <연려실기술>의 저자 이긍익이 인조에 대한 총평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반정이라는 비정상적 수단을 통해 왕위에 오르기는 했지만 조선의 왕으로 국부의 체통을 가지고 있다는 평이다. 물론 위대한 업적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항복, 반정의 정신적 지주


이항복, 반정의 정신적 지주

 

<연려실기술>에는 계해정사(癸亥靖社) 조목을 두고 인조반정을 비교적 소상하게 소개한다.

인조는 1623년 곧 계해년에 김류(金瑬)·김자점(金自點)·이귀(李貴)·이괄(李适) 등 서인(西人)이 중심이 되어 광해군(光海君)을 내쫓고 인조(仁祖)를 옹립하는데, 이를 계해정사(癸亥靖社)라고 부르고 반정이 성공한 후에 계해정사공신(癸亥靖社功臣)을 책봉한다. 김류(金瑬)·이귀(李貴)·김자점(金自點) 등의 10명은 1등공신, 이괄(李适)·김경징(金慶徵) 등 15명은 2등공신, 박유명(朴維明)·한교(韓嶠) 등 28명은 3등공신이며, 이에 책록된 공신은 총 53명이다.

반정에 참가한 문신과 무신이 모두 이항복의 문인이었다고 <연려실기술>은 이성령(李星齡)이 지은 <일월록(日月錄)>을 인용한다. 이성령의 기록은 반정과 이항복이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는 투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항복이 귀양길에 오를 때에 작별하면서 김류에게 말하기를, ‘요사이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종묘사직을 평안하게 할 이는 관옥(冠玉, 김류의 자)뿐이다. 힘써주기를 바란다.’ 하니 김류가 묵묵히 있었으나 김류의 뜻은 이미 이때에 정해졌다고 한다. 이 말이 확실한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반정에 가담한 문신과 무신이 모두 항복의 문하에 있던 사람이므로 이러한 일이 있었으리라 생각하여 이런 말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 말이 확실한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라는 이성령의 말은 이항복이 반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 같지만 도리어 이항복이 반정을 적극적으로 도모했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하긴 이어서 나온 인용문은 이항복이 심지어 김류에게 광해군의 폐정을 지적하면서 흐느끼기까지 했다는 내용이다.

“광해주 10여 년 동안에 조정은 문란하여 상하가 마음이 이반되고, 대비를 감금하여 아침저녁으로 없앨 궁리를 하니 이항복이 김류(金瑬)에게 은밀히 말하기를, ‘요사이 임금의 정사가 말할 수 없이 어지러우니 우리 무리들 가운데 종묘사직을 평안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그대뿐이다.’ 하고 손으로 얼굴을 가리며 흐느껴 우니 김류가 그 뜻을 알았다.”

 

이쯤 되면 이항복이 반정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다고는 하지만 반정의 주역들에게 반정의 명분을 확실히 심어준 것으로 보인다.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서 박세채(朴世采)의 <남계집(南溪集)>을 인용하여 이항복이 반정에 끼친 영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힌다.

“이항복은 광해주 때 체찰사(體察使)로서 서북도(西北道)의 관리 임명을 전적으로 주관하였다. 또 김류를 종사관으로 삼고 무신 신경진(申景禛, 平城)을 비롯한 구굉(具宏, 綾城), 구인후(具仁垕, 綾川), 정충신(鄭忠信, 錦南) 이하와 문사로서 선배인 신흠(申欽)을 비롯한 이정귀(李廷龜), 김상헌(金尙憲)과 후배인 최명길(崔鳴吉, 完城)을 비롯한 장유(張維, 新豐), 조익(趙翼, 浦渚), 이시백(李時白, 延陽) 이하 그 문하에 출입하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 반정공신의 여러 사람들은 대체로 모두 항복이 평소 길러둔 사람들이었으니, 옛날에도 이만큼 사람을 많이 얻은 이가 없었다. 반정하던 날에 항복이 김류, 이귀 두 사람의 꿈에 나타나서 말하기를, ‘오늘 종묘사직을 위하여 이 거사가 있다. 그러나 다음에 이보다 더 큰 일이 있을 것인데, 내가 그것을 매우 걱정하니 여러분은 힘쓸지어다.’ 하였는데, 이는 대개 남한산성(南漢山城)의 일을 가리킨 것이었다.”

 

박세채의 기록은 이항복이 실제로 반정을 지휘하지는 않았다는 점만 빼면 반정의 총설계자라는 점을 부각한다.

이항복이 김류와 이귀의 꿈에 나타나 거사를 독려했다는 기록은 <백사행장(白沙行狀)〉에 기록된 내용과도 상호 연결된다.

“무오년 5월에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에 귀양 가 있었다. 하루는 꿈에 선조가 용상에 앉아 있고, 유성룡(柳成龍)ㆍ김명원(金命元)ㆍ이덕형(李德馨)이 함께 입시하고 있었다. 선조가 이르기를, ‘혼(琿 광해의 이름)이 무도하여 동기를 해치고 어머니를 가두어 두니 폐하지 않을 수 없다.’ 하니, 덕형이 아뢰기를, ‘이항복이 아니면 이 의논을 결정하지 못하겠으니 속히 부르소서.’ 하였다. 이에 항복이 깜짝 놀라 깨어서 자제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살아있을 날이 오래지 않을 것이다.’ 하더니 이틀 뒤에 죽었다.”

 

선조는 용상에 앉아있고 유성룡(柳成龍)ㆍ김명원(金命元)ㆍ이덕형(李德馨)이 입시하였는데, 선조가 이항복에게 광해군의 폐정을 중지시켜야 한다고 명한 꿈을 꾸었다. 그리고 며칠 뒤에 이항복이 죽고, 후일 반정 당일 반정의 주역인 김류와 이귀의 꿈에 이항복이 나타나 거사를 독려하였다는 이야기는 절묘하다.

이항복은 정사년에 폐모(廢母)가 부당함을 간하다가 북청(北靑)으로 귀양 가서 63세의 일기로 세상을 하직하는데, 귀양을 가기 전에 광해군의 실정을 해학으로 지적한 일화 한 토막이 <연려실기술>에 실려 있다.

“공은 농담을 즐겼다. 일찍이 비변사 회의가 있던 날 공이 유독 늦게 왔으므로 혹자가 말하기를, ‘어찌 늦었습니까?’ 하니 공이, ‘마침 여럿이 싸우는 것을 보다가 나도 모르게 늦었소.’ 하자, 혹자가 말하기를, ‘싸우는 자는 누구던가요?’ 하니, ‘환자(宦者)는 중[僧]의 머리털을 휘어잡고 중은 환자의 불알을 쥐고 큰 길 한복판에서 서로 싸우고 있었소.’ 하자 여러 정승이 배를 잡고 웃었다. 공의 이 말은 비록 익살에서 나왔으나, 대개 당시의 일이 대부분 허위를 숭상했기 때문에 풍자의 뜻을 붙인 것이다.”

“환자(宦者, 내시)는 중[僧]의 머리털을 휘어잡고 중은 환자의 불알을 쥐고 큰 길 한복판에서 서로 싸우고 있었소.” 라는 말은 말도 되지 않는 말인데, 말도 안 되는 당시의 국정을 말도 안 되는 말로 비난했으니 비수를 품은 해학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북경 청화대 학교 순회강연


2018년 11월5일 북경 청화대학교에서 율곡학 순회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