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스토리텔링

명나라 사신과 ⌈시경⌋


역사속의 율곡학 스토리텔링2

명나라 사신과 ⌈시경⌋

 

교 경전 중에 ⌈시경⌋이 있다. ‘시(詩)의 경전’이라는 뜻의 ⌈시경⌋은 ⌈예기⌋,⌈춘추⌋,⌈역경⌋, ⌈서경⌋과 함께 오경(五經) 중 하나로 꼽는다. 이는 중국 최초의 시가집 혹은 민요집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가 제자 교육용으로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 책은 당나라 때 ‘오경’에 포함되어 ⌈시경⌋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시경⌋은 원래 ⌈제시(齊詩)⌋,⌈노시(魯詩)⌋, ⌈한시(韓詩)⌋, ⌈모시(毛詩)⌋의 네 가지 종류가 있었다. 하지만 ⌈모시⌋만 남고 모두 멸실되어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시경⌋은 모시로 불리기도 한다. 주나라의 시(詩)라는 뜻에서 ⌈주시(周詩)⌋라고 불리기도 한다.

시경⌋에 실려 있는 시는 모두 311편인데 이중 6편은 제목만 있고 가사가 없다. 전체는 풍(風), 아(雅), 송(頌)의 노래로 분류되어 있는데 ‘풍’은 각지에서 수집된 민요로 사랑의 노래나 일을 하면서 하는 노래가 많다. ‘아’는 연회 때 사용된 노래 가사이며, ‘송’은 제사 지낼 때 사용된 노래 가사다. ‘아’와 ‘송’은 주 왕조를 찬양하는 노래가 많다. 이러한 ⌈시경⌋의 노래 가사를 통해서 우리는 주나라의 사회와 풍속, 나아가 그 시대의 정치와 사상, 문화를 엿볼 수 있다. 노래가 이른 것으로는 서주시대, 즉 주나라 초기의 것도 있다고 전해진다.

공자는

“⌈시경⌋에 보이는 시 삼백 편은 한마디로 말한다면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다’는 것이다”

(⌈논어⌋<위정>)

라고 하였는데, 시를 쓰고 읽는 마음에는 사악함이 없다는 뜻이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의 고대 때부터 외교 현장에서는 적절한 ⌈시경⌋의 글귀를 사용한 외교적 교류가 적지 않았다. 율곡의 생존시대 조선과 명나라의 외교 현장에서도 그러한 모습이 보인다.

1537년 중종 32년, 율곡이 태어난 다음 해의 이야기다. 중종(中宗, 1488-1544)은 연산군의 뒤를 이어 반정으로 임금이 된 왕이다.

그해 3월, 명나라 사신들이 조선에 파견되어 궁중에 들어왔다. 3월 10일(음력)에 왕이 경복궁의 태평관에서 하마연을 베풀어 이들의 노고를 치하하고자 하였다. 이 때 중종은 명나라 사신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시경(詩經)⌋에 ‘즐겁구나, 우리 님은. 나라의 빛이로다[樂只君子, 邦家之光]’라고 하였습니다. 오늘 대인 같은 훌륭한 분을 모셨는데 만일 어질고 지혜로우신 명나라 황제의 고마우신 분부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이렇게 뵙게 될 수 있었겠습니까?
명나라 황상의 은덕이 망극합니다.”

라고 하였다.

당시 환영 만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의 토속악이 배경 음악으로 흐르고 있었다. 원래 중중이 인용한 ⌈시경⌋의 「남산유대(南山有臺)」는 중국 고대에 손님을 접대하는 연회에서 자주 사용되던 노래였다. 그 시경의 구절을 이용하여 중국측 사신들에게 조선의 문화적 수준이 결코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어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명나라 사신들을 이미 조선의 예법이 섬세하고 수준이 높다는 점을 인식하고 조선의 국왕에게 이미 다음과 같이 감탄의 인사를 한차례 전한 차였다.

“저희들이 처음 명나라 조정을 떠나올 적에 어찌 귀국의 예의가 이와 같이 아름다울 줄이야 생각이나 하였겠습니까? 이곳에 와서 보니 온 각지의 고을 관원들은 일마다 예를 다하여 온갖 법도가 참신하였으니 감탄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하였다. 또 사신의 한사람인 부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하였다.

“국왕께서 신민들을 잘 가르쳐 하는 일이 모두 법도에 들어맞으니 대단히 감탄스럽습니다.”

 

외국 사신에 대하여 ‘예의가 아름답다’거나 ‘예를 다한다’는 개념은, 국가 간에 평등한 관계를 전제로 한 현대적인 외교 관례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당시의 국제질서 아래에서는 격식을 잘 갖춘 외교적 대응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국왕의 ⌈시경⌋ 글귀를 전해들은 명나라 사신의 대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하께서 대국을 섬기는 정성이 이러하시니 이는 반드시 황천(皇天)이 도와주어 우리 대명(大明)과 기쁘고 슬픈 일을 함께 할 것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만세토록 무한한 복입니다.”

이어서 명나라 부사(副使) 역시 시경의 문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경⌋에 ‘울타리가 되시고 담 기둥이 되시니, 모든 제후들이 본받으시네.[立屛之翰, 百辟爲憲]’라고 하였습니다. 오늘 전하의 위엄과 권위를 직접 뵙고 보니 참으로 훌륭한 임금이십니다.”

중국의 천자를 지극한 마음으로 섬기는 조선의 국왕의 모습이 다른 모든 제후들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는 말은 요즘의 국가 관념으로는 다소 이해하기 힘든 측면도 있지만, 천하주의적이며 중화주의적인 세계관에 물들어 살았던 전통시대에는 자연스러운 외교적 수사로 이해할 수 있다.

명나라 사신이 인용한 ⌈시경⌋의 문구 바로 뒤에는 ‘굽은 쇠 뿔잔에 맛있는 술을 부어 올린다.’라는 문장이 이어지고 있어 당시 술을 주고받는 분위기를 한층 더 띄워주는 의미도 있었다. 연회가 끝나는 순간에는 또 ⌈시경⌋의 문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오갔다.

 

임금: “흐뭇한 술자리가 밤에 벌어졌으니 취하지 않고는 돌아가지 못하리라.”

명나라 사신 : “군자를 만났으니 어찌 즐겁지 않으리.”

임금: “내게 맛있는 술 있어 좋은 손님 잔치하며 즐기시네…마음으로 사랑하거늘 어찌 말하지 않으리. 마음속에 품고 있거늘 어찌 하루라도 그대를 잊으리.”

 

외교적인 수사가 가득 담긴 ⌈시경⌋의 문구를 적절히 사용하여 서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기분을 즐겁게 만드는 광경이다. 당시는 ⌈시경⌋ 속에 들어있는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또 그것을 한자도 틀림없이 외우고 있어야 국제적인 교류가 가능했던 시대였다. 이러한 사실에서 조선시대의 궁중에서 유교 경전의 위상이 어찌하였는지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역사기록보다 ⌈논어⌋를 중시한 이언적


<역사속의 율곡학 스토리텔링1>

역사기록보다 ⌈논어⌋를 중시한 이언적

 

곡(1536-1584)이 외가인 오죽헌에서 태어나 아직 어머니 신사임당 품속에 있었을 때의 이야기다. 중종 33년 (1538)년 1월 21일, 율곡이 세 살되던 때인 당시 임금은 조선 제11대 국왕 중종이었는데, 조정에서 임금이 신하들과 유교 경전을 읽고 있었다. 이 때 임금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던 이언적(李彦迪)이 왕세자의 교육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을 끄집어냈다.

“조정의 잘잘못을 아뢰려고 하지만 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국가의 급선무가 한두 가지가 아닌데, 세자를 잘 보호하고 가르치는 것이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세자는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고 예민(銳敏)하여 학문이 통달(通達)하였으니, 종묘·사직과 백성들의 복(福)입니다.”

당시 세자는 중종의 장남으로 나중에 12대 국왕이 되는 인종이다. 인종은 1544년에 중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병으로 8개월 만에 승하한 불운의 왕이었다. 이언적이 세자의 자질이 총명하고 학문이 훌륭하여 종묘·사직의 복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종묘·사직이란 국가라는 뜻이다. 종묘란 역대 왕과 왕비를 모신 사당이며, 사직은 토지신과 곡식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말하는데, 둘을 합쳐서 ‘국가’, 즉 조선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했다.

이언적은 이날 임금의 교육을 맡은 ‘시강관(侍講官)’으로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강독(講讀)하고 있었다. 시강관이란 임금에게 유교 경전을 강의하는 문관을 말한다.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란 중국 명나라의 학자 구준(邱濬)이 1487년에 ⌈대학연의(大學衍義)⌋라는 책을 보충하여 지은 서적으로, 유교의 사서(四書) 중 하나인 ⌈대학⌋의 여덟 조목 가운데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화롭게 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논한 책이다.

이언적(1491년-1553년)은 경북 경주에서 출생하였는데, 15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1539년에는 전주부윤을 역임한 적도 있는 유학자였다. 그는 특히 주자가례에 정통하였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퇴계 이황의 학문에 큰 영향을 준 학자로 유명하다. 이날 임금을 가르치는 경연(經筵)은 그가 전주부윤에 나가기 1년 전의 일이었다.

그는 계속해서 임금에게 이렇게 건의하였다.

“그러나 요즈음 세자를 보호하고 기르는 도리를 다하지 못하는 점이 있습니다. 대체로 배움에는 근간이 되는 부분과 지엽적인 부분, 즉 아주 중요한 것과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먼저 앞선 성현(성인과 현자, 즉 지혜로운 자)들이 남긴 경전(經傳)을 반복해서 깊이 생각하고 성리(性理)를 연구하는 것이 근본적이며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역사 기록을 훑어보면서 앞선 시대의 정치를 고찰하여 오늘날의 귀감과 경계로 삼는 것은, 비록 이치를 연구하는 것이기는 하나, 지엽적이며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일에 속하는 것입니다.”

역사와 앞 선 시대의 정치에 대해서 배우는 것 보다는 유교 경전의 사상을 배우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성현들의 경전인 유교 경전에 나오는 성리(性理), 즉 인간의 본성과 그 이치에 대해서 배우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이는 결국 송나라 주자가 집대성한 주자학, 즉 성리학을 철저히 배우는 것이 몹시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인직은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제가 들으니, 요즘 왕세자를 가르치는데, 아침에는 ⌈자치통감강목⌋을 가르치고, 낮에는⌈논어⌋를 가르친다고 하는데, 이것은 역사서적을 우선으로 삼고 경전(經傳)을 나중으로 삼는 것입니다. 대체로 해가 뜨는 아침에는 사람의 마음과 기운이 맑고 깨끗하여 스스로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가 환하게 드러나므로 마땅히 ⌈논어⌋를 아침에 진강하고 역사서적인 자치통감강목은 낮에 가르치는 것이 옳습니다.”

세자는 당시 23살이었는데 요즘으로 말하자면 대학에 다니는 학생과도 같은 나이다. 그런 세자에게 역사과목을 아침에 먼저 가르치고, 낮에 도덕 과목을 가르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이었다. 마땅히 도덕을 가르치는 논어를 먼저 듣게 하고 역사를 가르치는 자치통감강목은 나중에, 즉 낮에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과목을 먼저 듣고 나중에 듣고 하는 일이 그렇게 중요한 것인가 의아해할 수도 있지만, 이언적에게 그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자치통감강목⌋은 송나라 주희, 즉 주자가 집필한 중국의 역사서로 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자치통감⌋에 대해서 큰 제목은 강(綱)으로 세우고, 역사적 사실은 목(目)으로 구별하여, 즉 ‘강목’의 형식으로 편찬한 서적이다. 중국의 전국시대 이후 오대 십국 시대까지의 역사가 서술되어 있다.

이언적은 그 이유에 대해서 임금에게 이렇게 말했다.

“요임금이 통치하던 당(唐)나라와 순임금이 통치하였던 우(虞)나라 그리고 삼대인 하상주(夏商周)의 삼대(三代) 이전에 어찌 역사 기록이 있었겠습니까? 심학(心學)이 있었을 뿐입니다.”

당우와 하상주, 즉 하은주(夏殷周) 삼대는 중국에서 이상적인 통치가 이루어진 태평성대의 시기로 일컬어진다. 이러한 평화의 시기 이전에 역사 기록은 없었으며 오직 심학(心學)이 있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심학이란 마음의 학문, 즉 도덕 수양의 학문인 논어 등 경학이 있었을 뿐이었다는 것을 역설한 것이다. 이언적이 이렇게 말한 것은 당시 사회가 태평성대의 시대였고 임금들이 모두 성인이며 성군들이었기 때문에 혼란한 사회와 정치를 기록한 역사 서적이 있을 리 없다는 것이며, 우리가 보는 역사서적은 그 뒤에 어지러운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므로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였다.

그래서 이언적은

“하상주 삼대 이후에는 본받을 만한 것은 적고 어지러운 것이 많습니다. ⌈자치통감강목⌋을 진강한 지 이미 오래 되었으므로 비록 중간에 그만둘 수는 없겠으나, 왕을 가르치는 제왕(帝王)의 학문에서 너무나 그 차례를 잃었습니다.”

라고 주장하였다. 당시 중종은 시강관인 이언적의 가르침을 듣고 “이러한 주장이 매우 타당하다.”고 하였다.

이언적의 의견은 유학자로서 당연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록에서 우리는 적어도 중종 시대까지는 왕세자의 교육에 역사 서적이 전하는 흥망성쇠의 가르침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은 개국한지 150여년이 지나면서 역사적인 가르침 보다는 유교 경전의 도덕적 가르침을 점점 더 중시하게 되었다. 율곡 이이는 성리학의 주리(主理)적 측면이 더 강조되는 시기에 어린 시절을 보내고 유교를 배웠으며 과거시험을 준비하여 나중에는 장원 급제를 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율곡의 사상은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