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혼(尹焜, 1676-1725)

윤혼(尹焜 )                                                                 PDF Download

윤혼은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자는 회이(晦爾), 호는 천서(泉西)이다. 관찰사 윤희길(尹希吉)의 5대손이며, 윤헌징(尹獻徵)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윤침(尹琛)이고, 아버지는 윤동명(尹東鳴)이다. 어머니는 한성(韓宬)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열 살에 이미 경사(經史)를 두루 섭렵하였다.

32세(1707) 권상하의 문하에 들어가 <대학>의 의의(疑義)를 논하니 권상하로부터 학문이 높음을 인정받았다. 신경(申敬), 한원진, 현상벽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과 덕행을 닦았다. 강문팔학사의 한 명이다. 전거마다 명단이 조금씩 다른데, 한원진, 이간, 윤봉구, 채지홍, 한홍조, 현상벽, 윤혼 등을 칭한다. 책에 따라서는 추담(秋潭) 성만징(成晩徵), 화암(華巖) 이이근(李頤根), 매봉(梅峰) 최징후(崔徵厚)를 넣고, 윤봉구와 한홍조, 윤혼을 빼기도 한다.

34세(1709) 권상하를 따라 신경, 한원진, 현상벽 등과 함께 화양동에 들어가 만동묘(萬東廟) 건립에 참여하였다.

39세(1714) 사마시에 합격했다.

44세(1719) 학행(學行, 학문과 행실)으로 천거를 받아 명릉참봉(明陵參奉)이 되었다. 이 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정언·지평에 이르렀다.

50세(1725, 영조 1년) 스승 권상하를 배척한 신치운(申致雲)에 관한 상소를 올렸다. “신의 스승인 선정신 권상하가 을미년에 올린 상소는 사도를 천명하고 사설(邪說)을 물리친 그런 내용이었는데, 저 윤증(尹拯)의 무리들이 원한을 깊이 품고 막된 소리로 욕설을 한 것이 한이 없었습니다. 신치운(申致雲)이 무고한데 이르러서는 그것이 아주 흉악하고 도리에 어긋났으므로 곧 하나의 고변서였습니다만, 다행히도 성명(聖明)께서 맨 처음에 누명을 씻어 주셨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신의 스승을 추존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신치운을 극진히 용호(容護)하여 귀양 보내기를 청한 아룀을 여러 달이 되도록 윤허하지 않고 계시니 전하께서 신의 스승을 추숭하여 주신 보답이 끝내 성실하지 않은 것이 됨을 면할 수 없습니다.”

좌의정 민진원이(閔鎭遠)이 삼사의 합계로 공박을 받은 사헌부 지평 윤혼을 두둔하는 글을 올렸다. “근래 윤혼(尹焜)의 계사(啓辭)로 인하여 군부(君父)를 경시한다는 분부가 계셨는데, 이는 이미 실언(失言)인 것입니다. 그런데 윤혼은 엄중한 분부를 받으면서도 끝내 좌절하고 동요되지 않았으므로 그의 정직한 기개는 칭찬해야 할 만한데, 성상께서는 의심하여 승부를 다투는 것으로 여기시니, 이런 등류의 하교는 참으로 대각(臺閣)을 대우하는 도리가 아닌 것입니다, 삼가 이로부터 강직한 선비가 조정에 서기를 원치 않을까 염려스럽습니다. 깊이 헤아려 생각하시어 언로를 열게 하소서.” 하니, 영조가 옳게 여겨 받아들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