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author의 모든 글

김익희(金益熙)


김익희(金益熙)                                                              PDF Download

 

김익희(金益熙, 1610-1656) 조선시대에 대사관,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며, 고위 관리였다. 그는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사에 맞서 결사 항전한 김익겸(金益兼)의 형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화의를 반대하고, 왕을 따라 남한산성에 가서 전투를 감독하고 독려하는 독전어사(督戰御使)가 되었다. 평생의 지기인 우암 송시열과 함께, 명나라를 존숭하며 청나라를 배척하자는 척화파의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혼란스러운 조선사회를 주자학과 그 명분론으로 재건하고자 노력한 인물이었다. 저서로 『창주유고(滄洲遺稿)』가 있다.

1610년(1세)
광해군 2년, 11월 20일(음력)에 태어났다.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중문(仲文), 호는 창주(滄洲), 지재(止齋)이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아버지 김반(金槃)은 송익필의 제자로, 자가 사일(士逸), 호는 허주(虛舟)이다. 문원공 김장생의 둘째 아들이며, 문경공 신독재 김집(金集)의 아우이다. 김반은 아들 여섯을 두었는데 김익희는 차남이다.

1627년(18세)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다. 이 시험은 소과(小科) 혹은 감시(監試)라고 불리는 과거시험으로 생원진사시를 말한다. 이 시험에 합격한 자는 성균관에 입학하여 공부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관직에 나가기 위해서는 대과를 준비해야하는데 성균관에서 그런 준비를 할 수 있었다.

1633년(24세)
소과에 합격하고 6년만에 문과(增廣文科, 병과)시험에 급제하였다. 처음에 승문원에 들어갔다, 10월에 예문관 사관(史官)인 검열(檢閱, 정9품의 관직)이 되었다.

다음해 12월에 승진하여 예문관의 정7품 관직인 봉교(奉敎)가 되었다.

 

1635년(26세)
7월, 수찬에 임명되었다. 8월경에 재이(災異)를 당하여 상소문을 올렸다. 여기에서 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10가지 건의를 하였다.

첫째, 성스러운 뜻을 세울 것. 둘째, 성학(聖學)을 발전시킬 것. 셋째, 무너진 기강을 다시 세울 것. 넷째, 검소한 덕을 밝힐 것. 다섯째, 대신을 공경할 것, 여섯째, 언로를 열 것. 일곱째, 벼슬길을 맑게 할 것. 여덟째, 선비들의 기풍을 바르게 할 것. 아홉째, 백성들의 고통을 돌볼 것. 열째, 군사 업무를 잘 정비할 것.

그리고 그는 이 상소문에서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의 문묘종사를 건의하였다. 율곡과 우계의 문묘 종사는 이미 1623년(유백증과 이경여), 1625년(해주 진사 오첨 등 40여명), 1635년(송시형 등 270명)에 건의가 있었다. 송시형은 송시열의 사촌 형이다.

이후, 종사관(從事官)으로 관서지방에 다녀왔으며, 인열왕후(仁烈王后)의 초상 복제에 대해 논하였다. 한 때, 감시(監試) 시험관(試官)으로서 일을 잘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기도 하였으나 9월에 수찬, 12월에 부수찬으로 임명되었다.

1636년(27세)
2월, 정언이 되다. 부수찬이 되었다가 다시 정언이 되다. 3월에 청나라와 화의를 주장하는 주화파 우부승지 구봉서에 대해, ‘그가 추잡하고 야비한 일을 많이 행하였고, 국상을 당하였을 때 상복을 입고서 기생을 끼고 있었으며 축첩을 하였다’고 파직을 건의하였으나, 임금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해, 5월경에 수찬의 자격으로 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상소문을 올렸다.

“쉽게 터지고 또 쉽게 억제하기 어려운 것으로 다른 것보다도 성내는 일입니다. 그런데 성내지 않을 일에 성을 내면 그 해가 가장 큽니다. 전하께서 티 없이 순수한 자질로서 마음을 밝게 가지시기에 노력한 지도 꽤 오래 되셨지만 말을 하고 사람을 대하는 데 있어 화평한 기상이라곤 전혀 없습니다. 이는 아마도 마음의 원천에 대한 함양 공부가 아직 미진한 점이 있어 그런 것이 아니겠습니까? 잘못을 살피고 바로잡아 위아래가 다 허물이 없게 만드는 것이 바로 삼사(임금에게 직언하는 세 곳의 관아, 즉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가 해야 할 일인데 삼사는 그것을 모르고 오직 환심을 사려고 알랑거리며 구차스러운 행동만 하니 전하께서 그것을 개탄하시고 때로 그들을 격려하시는 것은 물론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게 된 것은 역시 전하가 그렇게 만드신 것입니다.

전하께서는 전하의 뜻에 맞춰 주는 것을 좋아하고 거스르면 싫어하시며 부들부들한 것을 좋아하고 과감하거나 예리한 것은 싫어하십니다. 그리고 어떤 것을 수용하거나 버림으로써 싫고 좋고를 눈에 띄게 나타내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각(臺閣, 즉 삼사)의 풍채가 날로 시들해져서 다만 미세한 것이나 지적하고 묵어빠진 것이나 주워모아 그때그때 책임이나 면하려고만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그 마음 그 자세를 완전 바꾸시고 바른말이면 지성으로 받아들여 언로(言路)를 활짝 열고 갈고 닦고 하여 만분의 일이나마 성상의 덕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십시요.”

임금은 그것을 좋은 뜻으로 받아들이고 특별히 길들인 말을 하사하여 칭찬하고 장려하였다.

7월에 부수찬, 헌납 등을 거쳐 다시 부수찬이 되었으며, 10월에 수찬, 11월에 교리로 임명되었다.

12월 2일, 청나라 태종이 10만 대군을 거느리고 수도 심양을 떠나 압록강을 건너 쳐들어왔다. 의주부윤 임경업 장군이 의주 백마산성을 지켰으나 청나라 군대는 길을 피해 서울로 들어왔다.

12월 14일 청나라 군대가 개성을 통과하였다. 궁궐의 일부 군대와 관료들을 강화도로 보내고, 이날 밤에 인조 임금도 강화도로 피난을 가려고 하였으나 청나라 군대가 이미 길을 막고 있어서 소현세자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했다. 청나라와 화해를 반대하며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던 김익희 역시 왕을 따라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督戰)어사가 되어 전투를 독려하였다.

같은 달 16일, 청나라 선봉부대가 남한산성을 포위하였다.

 

1637년(28세)
1월 1일, 청나라 태종이 남한산성 아래 탄천에 도착하여 20만 청나라 군대를 집결시켰다. 남한산성 안에는 임금을 비롯하여 1만 3천명의 군사가 있었으며 50일정도 지탱할 수 있는 식량이 있었다. 명나라에 연락하여 부탁한 구원병이나 의병들의 지원은 기대할 수 없었다.

김익희는 당시 대사간이었던 부친 김반 등과 함께 강화를 반대하고 “오늘날 우리가 반드시 저들에게 꺽이고 말 것이나, 차라리 바른 도리를 지키다가 죽는 것이 낫다”고 하면서 끝까지 항쟁할 것을 주장하였다.

1월 22일 강화도가 함락되고 어머니(徐氏夫人), 동생 김익겸, 그리고 누나가 사망하였다는 비보를 접하였다.

이달 말, 인조는 결국 성에나 나가 항복하였다. 그는 청나라 태종(숭덕제) 앞에 무릎을 꿇고 항복의 예(三跪九叩頭, 세 번 무릎을 꿇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예)를 올렸다. 청나라와 조약(朝淸和約)이 체결되었으며 청나라에서 인질을 요구했다. 소현세자는 자진해서 인질로 나섰다.

4월 10일경, 소현세자는 부인 강씨와 봉림대군(나중에 임금의 자리에 오른 효종임) 부부, 그리고 주전파 대신들과 함께 청나라 수도 심양으로 가서 볼모로 억류되었다.

1639년(30세)
어머니의 삼년상을 마쳤다. 3월에 홍문관 교리, 5월에 이조 좌랑에 임명되었다. 이조좌랑은 관리 인사권을 가진 중앙의 핵심 관직이었다. 가족을 잃은 슬픔으로 마음의 즐거움이 없어, 겨울에 스스로 외임(外任)을 요청하여, 영광(靈光) 군수가 되었다. 그러나 부친의 병환 때문에 관직을 버리고 다시 서울로 올라왔다.

다음해 4월에 부친상을 당하였다. 이후 큰아버지 김집에게 가 있으면서 지인 송시열, 송준길 등과 함께 학문 공부를 하였다.

1642년(33세)
삼년상을 마고, 다시 조정으로 들어가 성균관 사성(司成, 종 3품), 군기시(軍器寺) 등을 역임하다.

다음해 사간, 응교, 집의 등에 임명되었다.

 

1644년(35세)
5월에 부응교, 6월에 사간, 7월에 응교에 각각 임명되었다.

8월, 집의가 되어, 만언소(萬言疏)를 올렸다. 그 안에서 어진 인재를 얻을 것, 벼슬길을 밝힐 것, 장물죄를 엄히 할 것, 수령을 골라 임명할 것, 대동법을 시행할 것, 군사 제도를 정비할 것, 제사를 근엄히 할 것, 공도(公道)를 넓힐 것, 도학(道學)을 숭상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 등을 등용할 것을 진언하였다. 이에 임금은 이를 모두 수용하였다.

11월경, 송시열ㆍ송준길 등이 지평(持平)에 임명되었다. 12월에 김익희는 사간에 임명되었다.

이즈음, 김익희는 병조 정랑 성초객(成楚客, 1605-미상)의 문제를 논하여 파직시켰다. 성초객의 자는 봉혜(鳳兮), 호는 이력(履歷),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1633년 증광시에 생원 2등 19위로 합격하였고, 같은 해 증광시에서 병과 15위로 문과 급제한 인물이다. 그는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어가를 호위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갔으며, 다음해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1639년에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이후에 사간원과 사헌부의 정언과 지평, 헌납(獻納) 등에 임명되어 대간으로 활동하였다. 1645년 초에 병조정랑에 임명되었으나 경솔하고 천박하며 급하게 승진을 도모하였다. 이에 사간원에서 근무하게 된 김익희가 탄핵하여 파직시킨 것이다.

1645년(36세)
2월, 소현세자가 9년만에 귀국했다. 하지만 4월경에 갑자기 숨을 거두었다. 6월에 소현세자의 동생 봉림대군이 귀환하여, 세자에 책봉되었다.

10월, 세자 책봉과 관련하여 책례도감(冊禮都監, 책봉 의례를 주관하는 임시 기구) 도청(都廳)의 직책을 잘 수행한 공로로 임금으로부터 말을 하사받았다. 다음 달에 사간, 집의에 임명되었다.

1646년(37세)
이해 소현세자 빈 강씨가 인조를 독살하려고 했다는 모함을 받고 사약으로 사망하고 그 세 아들은 제주도로 귀양 갔다.

2월, 관직 후보자 추천을 잘못하였다고 대사간 목성선 등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해임되었다.

4월 안익산 등이 반란을 일으켜 서울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반란 주동자들이 잇달아 체포되어 난이 평정되었다.

6월, 임경업 장군이 국법을 어겼다는 죄를 뒤집어쓰고 심문을 받다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이즈음 김익희는 사헌부 집의, 동부승지, 우부승지 등에 임명되었다. 7월에 문사랑청(問事郞廳)으로 안익신 사건을 처리한 공로로 포상을 받았다.

9월, 과거시험의 시제(試題)에 소현세자빈 강씨를 옹호하는 내용이 들어있어 이에 관여된 시험관 전원이 처벌되었다. 김익희는 이들 중 일부를 용서해주도록 건의하다 처벌을 앞장서서 방해한다는 이유로 파직되다.

 

1647년(38세)
승문원 제조를 겸하게 되었다. 다음해 관직에서 은퇴하고자 태안군수를 자청하여 그 자리에 임명되었다. 이내 향리로 돌아와 숲속에 집을 짓고 독서를 하며 스스로 즐겼다.

1649년(40세)
인조임금이 이해 5월에 사망하고, 효종이 등극하였다. 김익희는 호서지방(지금의 충청남북도)에서 올라가 대궐에 들어가 곡을 하였는데, 그 자리에서 바로 우부승지로 임명되었다.

이즈음 장령으로 있던 송시열이 임금과의 면담을 허락받지 못해 사직하였다. 이에 김익희는 왕명을 따라, 사직하고 떠나는 송시열을 만류하였다. 이일에 대해서 『효종실록』(6월 26일기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

“임금이 ‘내가 병으로 접견하지 못하여 송시열이 갑자기 돌아갈 계획을 결정하였다고 한다. 누가 나를 위하여 그를 머물게 할 수 있겠는가.’하였다.

평소 송시열과 친한 동부승지 김익희(金益熙)가 성지(聖旨)를 가지고 뒤쫓아가서 타이르겠다고 청하였다. 그러자 상이 기뻐하면서 허락하였다. 송시열은 임금의 뜻이 매우 간절하다는 것을 듣고 돌아와 성 밖에 당도해서 상소하여 사죄하였다. 그러나 디시 또 돌아가기를 강력히 청했다. 임금은 다시 이렇게 분부하였다.

‘현자를 대우하는 나의 마음이 정성스럽지 못하다고 이를 만하다. 평소 존경하여 예우하는 뜻을 스스로 드러낼 방법이 없으니, 승지는 나를 대신해서 교서를 짓되 나의 지극한 뜻을 효유하여 산림에 있는, 세상에서 높이 뛰어난 선비들로 하여금 조정을 멀리하는 마음을 조금이나마 돌리게 하라.’

그리고 특별히 예조 낭관을 보내 송시열에게 유지(諭旨)를 전하게 하였으나 송시열은 이미 상소하고서 떠나버렸다. 그 상소에 송시열은 이렇게 썼다.

‘슬픔을 절제하여 몸을 보호하고, 예를 강구하여 상사(喪事)에 예를 다하시고, 학문을 밝히고 마음을 바르게 하며, 몸을 닦아 집을 가지런히 하고, 아첨하는 신하를 멀리하시고 충직한 신하를 가까이하며, 사사로운 은혜를 억제하여 공도(公道)를 넓히시고, 선임(選任)을 정미롭게 하여 체통을 밝히고, 기강을 진작시켜 풍속을 가다듬으며, 재용(財用)을 절약하여 국가의 근본을 견고히 하며, 좋은 스승을 골라 세자를 잘 보호하고 인도하도록 하며, 공안(貢案)을 바르게 하여 백성의 형편을 펴게 하고, 검소한 덕을 숭상하여 사치를 혁신하며, 무비(武備)를 닦아 바깥에서 무시하지 않도록 하십시요.’

임금은 이를 아름답게 여겨 받아들였다. 송시열은 임금의 지우(知遇)를 받아 예우함이 특별히 융숭했는데 한 번 입대(入對)를 허락하지 않았다 하여 관복을 벗어버리고 서둘러 돌아가니, 듣는 이들이 모두 너무 지나치다고 하였다.”

1650년(41세)
2월 청나라 사신이 갑자기 방문하고, 청나라가 군대를 이끌고 변경에 와서 압박하고 공갈로 협박하였다. 당시 척화파의 중심으로 활약하고 있던 김익희는 이러한 청나라의 움직임에 대응하고자 하였으나 별다른 방법이 없음을 알고 물러났다.

3월 청나라에서 친청파 김자점의 밀고로 조선의 조정내에 척화파들이 활동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사신을 보냈다. 사신은 ‘왕에게 불충스런 신하가 많다는 말을 익히 들었기 때문에 조사’를 하러 왔으며, 김자점이 쫓겨난 이유에 대해서 묻고 조사하였다.

7월, 김익희는 다시 대사간, 승지 등에 임명되었다.

11월, 청나라 섭정왕 다이곤이 사망하자 조선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 이에 척화와 북벌을 주장하던 김익희를 위시한 척화파들이 조정에 나아가 여론을 주도하게 되었다. 12월에 대사간이 되었다.

이즈음 광양에 유배되어 있는 김자점이 역모를 꾀한다는 고발이 접수되어 조사결과 사실로 판명되어 김자점을 사형에 처했다. 인조의 후궁이 조귀인의 오빠 조인필도 함께 처벌하여 궁궐내의 친청파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1651년(42세)
6월, 대사간이 되었다. 8월에 세자책례(世子冊禮) 교명문(敎命文)을 짓고, 그 공로로 말 1필을 하사받았다. 10월, 강원 감사가 되었다.

다음해 홍문관 부제학(정3품 당상관), 이조 참의 등에 임명되었다. 그 다음해에는 대사간, 부제학, 이조 참의, 대사성 등에 임명되었다.

1654년(45세)
효종 5년 1월, 도승지가 되다.

4월, 참찬관 자격으로 효종 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건의하였다.

“현재 『국조보감』은 문종 시대까지만 수록되어 있습니다. 세조시대 부터 선조 시대까지의 사실을 민간에서 간혹 수집해 둔 것이 있으니, 이번 기회에 담당 기관을 설치하고 연속해서 편찬하여 전서(全書)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러한 건의를 받고 임금이 대신들에게 의논하게 하였더니, 대신들이 모두 찬성하였다. 그래서 국(局)을 설치하도록 하고 김수항(金壽恒)을 도청(都廳)으로 삼았지만, 결국 완성은 보지 못했다.

5월,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으며 8월에 동지경연을 겸하였다. 10월, 대사간이 되어 대사성을 겸하였다.

이즈음 동지경연으로 국방업무에 대해서 건의하였다. 병사업무에서 한민(閑民)을 없애고 사대부 자제라도 과거 응시에 부족한 자는 군역을 지게 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대사헌 자격으로 양병책, 양반 호포 부과 등 치국(治國)의 방략에 대해서 상소문을 올렸다.

1655년(46세)
1월, 대사헌에 임명되어 대제학 채유후 등과 함께 성균관 유생들에게 제술시험을 보게 하였다. 이즈음 대관들이 함부로 사람들을 가두는 처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2월에 홍문관 부제학, 9월에 대사간, 부제학 등에 다시 임명되었다.

1656년(47세)
효종 7년 1월, 대사헌이 되었다. 대제학, 동지경연을 겸하였다. 이즈음 어머니가 청나라의 침입으로 병자호란 때 사망하였기 때문에 청나라 사신을 응대하기가 싫었으며 청나라 외교 문서도 대제학이 작성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사직하고자 청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했다. 외교문서는 결국 다른 사람이 대신 작성하고 김익희는 대제학 직을 계속 맡게 되었다.

2월에 형조 판서가 되었다. 5월에 대사헌을 거쳐 이조 판서가 되었다. 7월에 사직을 청하여 이조 판서 직에서 물러났다. 8월에는 대제학의 직에서 물러났다.

이해 12월 8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47세였다. 12월 9일자 『효종실록』에 다음과 같은 그의 졸기(卒記)가 실렸다.

“전 이조 판서 김익희(金益熙)가 사망하였다. 김익희는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고, 김반(金槃)의 아들이다. 사람됨이 총명하여 일찍이 재능과 명망을 지녔으며 문사(文詞)를 잘하였는데 소장(疏章)에 아주욱 능하였다. 붓을 잡으면 그 자리에서 완성하였고 주대(奏對)할 때마다 경전과 『사기(史記)』를 인용하였으므로 상이 총애하고 신임하였다. 그래서 1년 내에 차례를 뛰어넘어 총재(冢宰)에 임명되고 겸해서 문형(文衡, 홍문관과 예문관에서 가장 높은 벼슬인 대제학)을 맡았었다. 그러나 지론(持論)이 지나치게 준엄하고 성질 또한 급하고 편협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이것을 단점으로 여겼었다. 이때에 이르러 졸하니 나이 47세이다.”

그의 묘지는 현재 대전 대덕연구단지내 국립중앙과학관 뒤쪽 야산에 가족들의 묘와 함께 조성되어 있다. 묘 앞에는 그의 업적을 기린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져 있는데 송시열이 글을 짓고 김진규와 김수증이 글씨를 썼다.

그는 현대에 들어 다음과 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렬왕후의 장례 때에 일개 사서(司書)로서 고례(古禮)를 들어 복제가 잘못되었음을 날카롭게 지적한 일이라던가, 만언소를 올리어 대동법 실시를 강력하게 주청한 일, 병자호란시 피신하는 인조를 따라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어사(督戰御使)로 활약한 일, 대사헌의 수장으로 있을 때에 동료들이 법을 어기면 이를 용서치 않고 법대로 처리할 만큼 원리원칙에 충실했던 삶의 자세 등은 척화파의 도의사상과 실천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송인창, 2003, 188쪽)

 

<참고자료>

『국조보감』
지두환, 「창주 김익희의 정치활동」, 『한국학논총』37, 2012
송인창, 「창주 김익희의 도의사상」, 『한국사상사학』20권, 2003

홍세태(洪世泰)


홍세태(洪世泰)                                                            PDF Download

 

홍세태(洪世泰, 1653∼1725)는 무인 집안에 출생한 중인 신분으로 역과에 합격한 역관이었다. 하지만 그는 통역 보다는 학식과 문장이 뛰어나 글재주를 인정받아 시문을 짓는 일로 세상에 알려지고 쓰임을 받았다. 한때는 승문원 제조에 임명되어 청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전담하였으며, 그의 시문은 당대 으뜸이란 평을 받았다.

그는 젊어서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조성기(趙聖期), 최창대(崔昌大) 등 양반 사대부들과 사귀고 스스로 중인들의 시를 모아 『해동유주(海東遺珠)』편찬하였다. 관직으로는 제술관,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 남양감목관 등을 역임하였다. 1682년에는 일본 통신사를 따라가 일본에서도 문명(文名)을 떨쳤다.

1653년(1세)
효종 4년, 12월 7일, 무관 벼슬을 지낸 홍익하(洪翊夏)의 3남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강릉 유씨(劉氏) 유천운(劉天雲)의 딸이다. 자는 도장(道長), 호는 창랑(滄浪), 혹은 유하거사(柳下居士)를 사용하였으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나이 들어 이씨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다. 부인과는 2녀를 낳았으며 아들은 여덟이나 나았으나 모두 자신보다 일찍 세상을 하직하여, 양자를 들였다.

1675년(23세)
식년시(式年試) 잡과(雜科)에 응시하여 한학관(漢學官)으로 뽑혔다. 이즈음 서울 삼청동에 살았는데, 이웃에 살던 김창협(金昌協, 農巖), 김창흡(金昌翕, 三淵), 김도수(金道洙), 이하곤(李夏坤)등과 사귀었다. 그들과 같이 시를 쓰고 낙송시사(洛誦詩社)에서 활동하였다.

 

1682년(30세)
통신사 윤지완(尹趾完)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부산, 쓰시마 등지를 지나면서 지를 지었다. 지은 시는 모두 유고집(『유하집』)에 실려 있다. 김창협은 나중에 친구가 일본에 간 것을 기념하여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농암집』제4권)

少年賓日到咸池 젊은 시절 바다 멀리 일본에 사신으로 가
海上停舟徐福祠 바닷가 서복 사당 그 앞에 배를 대고
織取扶桑五色繭 부상 나무 오색 고치 길쌈하듯 시를 지어
東皇與博錦囊詩 봄 신의 조화와 시재(詩才)를 겨루었지

 

홍세태는 당시 부사 이언강의 자제군관 자격으로 통신사에 참여하였다. 특별한 임무는 없었으나 일본에 가서는 제술관과 시문창화(시문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시를 짓는 일)를 전담하였다. 후대의 통신사에 배치된 ‘서기’에 해당하는 일이었다. 홍세태는 일본에서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히토미 카쿠잔 등과 교류하였다.

그는 후지산을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玆山標日域 이 산이 일본 땅의 표지가 되니
嵂兀聳奇峰 가파르게 높이 솟은 기이한 봉우리로다.
逈擢鴻濛色 멀리서 보면 우뚝 솟아 몽롱한 빛이 있고
冥棲神聖蹤 어두운 곳에는 신성한 자취가 있다네
四時留白雪 네 계절에 항상 흰눈이 남아 있고
八葉列芙蓉 여덟 이파리 늘어선 부용과 같네.
時有五雲起 때때로 오색구름 일어나
去從東海龍 동해의 용을 따라서 가네.

 

1688년(36세)
봄,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손자인 신정(申晸)이 강화유수 재직 중에 사망하여 이해 봄에 여주에서 장사를 지냈다. 홍세태는 신정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고 그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친 인연이 있어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였다. 그런데 장례식장에 농암 김창협이 말을 보내와, 그 말을 타고 찾아가 김창협을 만난 뒤,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농암집』제3권)

期君何太久 그대를 기다린지 얼마만인가
昨夕始登門 어제저녁 비로소 이곳에 왔네
馬鬣新觀葬 말 위에서 잠깐 장례식을 참관하고
漁舟後問源 고깃배 타고와 무릉도원 물었네
聊同江上望 강 위 경치를 함께 구경하고
且盡雨中樽 비 내리는 가운데 술잔 기울여
浮世參差事 허망하고 잡다한 세상일이야
寥寥未暇論 다 잊고 논의할 틈이 없네

다음해 해서(海西) 지방을 유람하였다.

 

1693년(41세)
개성에 있는 박연폭포(朴淵瀑布)를 유람하고 시를 남겼다.

2년 뒤, 아들을 잃고 그 슬픔을 그린 시를 지었다.

 

1696년(44세)
중국 연경에 다녀왔다. 친구 김창협은 이러한 그를 위해서 송별하는 시를 다음과 같이 지어주었다.(『농암집』제4권)

看君詩膽大於山 그대의 시적 담력 산보다 큰 걸 보니
未信身軀六尺孱 육척의 작은 몸집 믿기지가 않는구나
東土彈丸妨縱筆 탄환처럼 작은 나라 붓 놀리기 어려우니
故須夷夏壯游還 장한 뜻 품에 안고 중국 유람 다녀오게
……
燕市千秋說慶卿 연경에는 대대로 경경 얘기 전해오니
古今豪傑幾霑纓 눈물 흘려 갓끈 적신 고금 호걸 몇몇인가
知君詩律增悲壯 알괘라 그대 시는 한결 더욱 비장해져
便作高家擊筑聲 그 옛날 고점리(高漸離)의 격축 소리 같으리라
……
老驥雄心不盡無 준마는 늙었어도 장한 마음 남아 있어
側身關塞夢長途 변방의 멀고먼 길을 달려가는 꿈을 꾸네
金臺碣石愁雲外 시름겨운 구름 너머 연경으로 떠나가는
送爾悲歌擊唾壺 그대 위해 송별 노래 감격하며 부르노라

 

1698년(46세)
2월, 청나라 호부시랑(戶部侍郞) 박화낙(博和諾)이 와서 의주(義州)에서 조선의 시를 요구하자 조정에서 박세태를 추천하여 응대하게 하였다. 박세태는 이때 이문학관(吏文學官)이라는 직책에 임명되어 대응하였다.

이후 어머니 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가 1702년에 복직하였다.

 

1702년(50세)
이즈음에 백연봉(白蓮峯) 아래에 서재를 지어 유하정(柳下亭)이라 편액(扁額)을 달고 거처하였다.

이후 1705년에 둔전장(屯田長), 1710년에 통례원인의(通禮院引義) 등에 임명되어 근무하였다.

 

1711년(61세)
일본 통신사로 가는 조태억(趙泰億)을 전송하면서 시를 지어 주었다.

 

1712년(62세)
청나라에서 관리들을 파견하여 조선의 관리들과 함께 백두산에 올라 국경을 새로 정하고 정계비(定界碑)를 세우고 돌아갔다. 박세태는 이러한 내용을 그 작업에 참관한 역관(譯官) 김경문(金慶門)에게 듣고「백두산기(白頭山記)」(『柳下集』)라는 이름으로 기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백산(長白山)을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이라 하는데, 중국과 우리 두 나라에서 산 위의 두 강을 놓고 경계를 정했다. 임진년(1712년) 여름에 중국에서 오라총관(烏喇總管) 목극등(穆克登) 등 몇 사람을 보내서 직접 가 보고 경계를 정했다.

이 산은 서북쪽에서 오다가 뚝 떨어져 큰 평원(平原)이 되었고 여기에 와서 갑자기 우뚝 솟았으니 그 높이는 하늘에 닿은 듯하여 몇 천만 길이나 되는지 모르겠다. 그 절정에는 못이 있는데 사람 머리에 숨구멍 같이 되어서 그 주위는 20∼30리나 되고, 물빛은 새까매서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없다.

한여름에도 얼음과 눈이 쌓여서 바라보면 은으로 만든 바다와 같다. 산 모양은 멀리서 바라보면 독을 엎은 것 같고, 올라가 보면 사방은 높고 중간은 쑥 들어가서 마치 동이를 젖혀놓은 것 같다. 밖은 희고 안은 붉은 돌이 사면으로 벽처럼 에워쌌는데, 북쪽으로 두어 자쯤 터져서 물이 넘쳐나가 폭포가 되었으니 그것이 곧 혼동강이다. (중략)

목극등은 물이 두 갈래로 갈라진 사이에 앉아서 말하기를, ‘여기는 분수령(分水嶺)이라 할 만하니 비석을 세워 경계를 정해야 하겠다. 그런데 토문강(土門江)의 원류가 중간에 끊어져서 땅속으로 흐르므로 경계가 분명치 않다.’ 하고, 이에 비석을 세우고 쓰기를, ‘대청(大淸)의 오랄총관 목극등은 명령을 받들고 변경(邊境)을 조사하다가 여기에 이르러 자세히 살펴보니, 서쪽은 압록강이 되고 동쪽은 토문강이 되었으므로 분수령에 돌을 세우고 글을 새겨 기록한다. 강희(康熙) 51년 5월 15일이다.’ 하고, 우리나라 사람에게 이르기를, ‘토문강의 원류가 끊어진 곳에는 하류까지 연달아 담을 쌓아서 표시를 하라.’ 했다.” 하였다.

이 말은 내가 직접 그때에 목격한 역관(譯官) 김경문(金慶門)에게서 얻어들은 것이니 거의 믿을 만하다. 토문강은 두만강이다.

옛날에 윤관(尹瓘)이 속평강까지 국경을 넓히고 그 일을 기록한 비석이 아직까지 그곳에 서 있는데 김종서(金宗瑞) 때에 와서 두만강으로 경계를 정한 것을 나라 사람들이 분하게 여기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윤관의 비를 가지고 따져서 경계선을 정하지 못한 것은 그 일을 맡은 사람의 잘못이라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함경도(咸鏡道)는 모두 말갈(靺鞨)의 땅이었다. 지금에 와서 경계를 정한 지가 오래되었고 우리 영토 안에 있는 폐사군(廢四郡)도 가끔 외적의 침범이 있어서 모두 이민을 시키고 비워두었는데 하필이면 다시 쓸데없는 땅을 가지고 외국과 분쟁을 일으킬 것이 무엇이냐? 지금의 국토는 금구(金甌)와 같이 완전하게 되었으니 아무튼 손상을 시켜서는 안될 것이다.”

 

1713년(61세)
서부주부(西部主簿) 겸 찬수랑(纂修郞)에 임명되어 『동문선(東文選)』의 편찬을 담당하였다. 중인들의 시집인 『해동유주(海東遺珠)』를 편찬, 간행하였다. 이 시집에는 박계강(朴繼姜), 유희경(劉希慶), 최기남(崔奇男), 최승태(崔承太) 등 총 48명의 시 23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1714년(62세)
숙종이 사용하는 병풍의 <서호십경(西湖十景)>에 시를 지어 넣었다. 조씨에게 시집간 작은 딸이 죽어 제문을 지었다. 송라도(松羅道) 찰방(察訪)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다음해 제술관에 임명되었다.

홍세태는 딸 둘을 두었는데 큰딸은 이씨에게 시집을 갔다. 그 딸이 죽었을 때, 그는 다음과 같은 제문을 썼다.

“슬프도다! 나는 이미 여러 차례 자식을 잃은 슬픔을 겪어서 마음이 상한 지 오래다. 네 동생을 잃은 뒤에는 몸이 마르고 정신은 사그라져 넋이 다 망가졌다. 살려는 생각이 없었지만 죽지 않았던 것은 네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또 네가 죽은 것을 보았으니 내가 다시 이 세상에 무슨 미련이 있겠느냐? 마땅히 빨리 사라져야 시원할 것이다. 네 어미에게 듣자니, 너는 병이 위중해지자 흐느껴 눈물을 흘리며 어미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하더구나.

‘아버지를 못 보고 죽으려니 눈이 감기지 않아요. 어머니는 내가 죽으면 반드시 죽으려 할 텐데, 그러면 저 어린 다섯 아이는 어떡해요? 어머니 죽지 마세요.’

아아, 설사 목석과도 같은 사람일지라도 이런 말을 들으면 혼절할 텐데, 하물며 그 부모는 어떻겠느냐? ……아아, 너는 이제 가면 돌아오지 않겠구나. 잠시라도 머물러 위로는 부모를 모시고 곁으로는 아이들을 이끌며, 이 술과 음식을 맛보고 평소처럼 기쁘게 웃어 보일 수 없겠느냐?”

 

1716년(64세)
의영고(義盈庫) 주부(主簿)에 임명되었으나 바로 파직되었다. 다음해 충청도 수영(水營)이 있던 영보정(永保亭)을 방문하여 시를 지었다.

1719년(67세)
박세태가 재능은 많으나 궁핍하게 사는 것을 애석하게 여긴 이광좌(李光佐)가 추천하여 울산(蔚山) 감목관(監牧官)이 되었다. 이후 수년간 장기(長鬐) 목관(牧館)에서 지내면서 주변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지를 지었다.

1722년(70세)
제술관에 임명되었다. 다음해 남양 감목관이 되었다. 7월, 청나라 사신에게 시를 지어 주었다.

1724년(72세)
11월, 그동안 상자에 보관 중이던 자신의 시문을 모두 꺼내 정리하였다. 번잡한 것을 버리고, 줄여서 부(賦) 3수, 시(詩) 1627수, 문(文) 42수를 총 10권으로 편집하고, 자서(自序)를 지었다. 그는 이렇게 자신의 문장을 모두 정리한 뒤, 부인에게 맡겼다.

1725년(73세)
1월, 사망하였다. 홍세태는 평생 가난하게 살았으며, 8남 2녀의 자녀가 모두 자신보다 앞서 죽는 불행을 당하였다. 이러한 불행은 그의 시에 깊은 영향을 미쳐 암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1730년
사위 조창회(趙昌會)가 문인 김정우(金鼎禹) 등과 함께 박세태가 편집한 10권과 시 4권을 보충하여 14권으로 문집(『柳下集』)을 발간하였다.

1770년
조정에서 홍세태의 아들 홍광서(洪光緖)를 불러 군문(軍門)관련 직책에 임명하였다.

 

<참고자료>

고경식, 「홍세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6

박헌순, 「유하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 2000

장진엽, 『홍세태의 사행문학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12

김집(金集)


김집(金集)                                                                        PDF Download

 

김집(金集, 1574∼1656)은 형조 참판을 지낸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부여 현감, 이조 판서 등을 역임한 조선의 문신이자 유학자이다. 이황, 이이, 송시열 등과 함께 문묘와 종사에 동시에 모셔진 학자이며 부친의 예학을 계승하고 보완하여 더욱 체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선조, 광해군 시대에 서인의 지도자였으며 인조 시대에는 서인과 산림 세력의 중추로 활동하였다. 소현세자의 복권운동을 하였으며 북벌론을 제창하고 송시열, 송준길, 윤선거, 박세채 등을 배출하였다. 율곡 이이의 사위이기도 하다.

1574년(1세)
선조 7년 6월 6일(음력, 이하 별도 언급이 없는 날짜는 모두 음력임), 서울 황화방(皇華坊) 정릉동제(貞陵洞第, 지금의 중구 정동) 집에서 태어났다.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 본관은 광산(光州 光山)이다. 할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김계휘(金繼輝)이며, 부친은 형조참판을 지낸 김장생(金長生)이다. 모친은 창녕조씨(昌寧曺氏) 조대건(曺大乾)의 딸이다.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81년(8세)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과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송상현은 부친 김장생의 친구이며, 송익필은 부친의 스승이다. 송상현은 이후 주로 지방에 가 있거나 외국에 나간 기간이 많고 임진왜란 때에는 동래부사로 임명되었다가 현지에서 전사를 하였다. 송익필은 나중에 집안 가문의 문제로 도망을 다니는 신세가 되어 김집은 이들에게서 장기적인 교육은 받지못했다.

1585년 경 부터는 우계 성혼의 문하에 출입을 하여, 성리학을 배웠다.

 

1586년(13세)
봄에 모친상을 당하였다. 정성을 다해 초상을 치루면서 잠시 병을 얻었다. 이에 부친 김장생은 김집이 ‘예를 너무 곧게 행하다가 병을 얻으면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걱정을 하였다.

1591년(18세)
이해 봄에 진사시(進士試)에 2등으로 합격했다. 이즈음부터 부친을 모시고 가정에서 성리학 공부를 하였으며 자신의 이름이 세상에 드러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이후 임진왜란, 당쟁 등 세상의 변고를 여러 번 목격하고 벼슬에 대한 욕심을 갖지 않아, 대과에 큰 뜻을 두지 않았다.

1592년(19세)
봄, 좌의정을 지낸 기계 유씨(杞溪兪氏) 유홍(兪泓)의 딸과 결혼하였다. 정실인 유씨 부인에게 병이 있어 자손을 얻지 못하였는데, 나중에 율곡 이이의 서녀를 측실로 들였다. 4월 경(4월 13일, 양력으로 5월 23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당시 부친 김장생이 현감으로 근무하던 정산(定山)으로 피난하였다. 이때 형과 형수, 조카가 왜군에게 살해당했는데, 이 때문에 김집은 집안의 장남 역할을 하였다.

1593년(20세)
이해 8월(음력) 명나라가 일본군에게 휴전협상을 제안하여 전쟁은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 다음해 그는 파산(坡山)으로 가서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년∼1598년)을 만났다.

1596년(23세)
측실(側室, 副室)로 율곡 이이(李珥)의 서녀(庶女) 덕수 이씨(德水李氏)를 들였다. 이 부인과는 2남 2녀를 낳았다. 그동안 가족과 함께 전란을 피해 있다가, 다음해 4월경 아버지를 모시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599년(26세)
구봉(龜峯) 송익필이 사망하여 곡을 하였다. 다음해 광해군이 등극하였다.

1610년(37세)
성균관 유생들의 추천으로 헌능(獻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이 당시는 광해군이 권력을 잡고 있던 시기로 북인들이 득세하였다.

1613년(40세)
5월, 철원(鐵原)부사에 임명된 부친을 모시고 임지로 갔다. 이 때 북인세력에 의해 아버지가 근거 없는 모함으로 죄를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계축癸丑 옥사사건) 서울로 왔다가 연산(連山, 지금의 논산)으로 돌아갔다. 부친은 다행히 혐의가 없어 재난을 피할 수 있었다. 김집은 ‘천지는 암흑세계로 접어들고 윤리는 두절되어, 종적을 숨기고 뜻을 기르면서 평생을 마무리할 생각을 하였다.’(송준길의 「愼獨齋諡狀」) 이후 10여 년간 부친을 모시고 성리학 연구에 침잠하였다.

1622년(49세)
12월, 정실 유씨 부인의 상을 당하였다. 주위 사람들이 다시 정실부인을 얻을 것을 권하였다. 김집은 이에 “사람이 각각 운명이 있는 법인데, 운명이 좋지 않아서 먼저 사람과 평생 동안 고행을 하였는데, 이제 다시 장가를 든다고 해서 꼭 먼저 사람보다 났겠습니까?”하고, 정실부인을 다시 들이지 않고 오직 학문연구에만 전념을 하였다.

1623년(50세)
이해 인조가 반정으로 등극하였다. 이로써 그는 부친과 함께 신변의 위협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새로 집권하게 된 서인의 집권세력은 부친 김장생의 동문이나 제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3월, 조정에 천거되었다. 다음 달, 부친을 따라 서울로 올라가, 곧 6품관에 임명되었으며, 5월, 부여 현감(縣監)에 임명되었다. 김집의 첫 관직이었다.

1627년(54세)
7월, 병으로 부여현감을 사직하였다. 다음해 11월, 임피(臨陂, 지금의 군산시) 현령에 임명되었으나 그 다음 해 7월에 그만두고 연산으로 돌아갔다.

1630년(57세)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위솔(衛率), 전라(全羅) 도사(都事)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부친이 이미 연로하여 그는 벼슬보다 부친의 봉양에 더 마음을 두었다.

1631년(58세)
부친의 병환이 위독해졌다. 김집은 나이가 이미 쇠로하였으나 밤에도 잠을 자지 않고 음식을 들지 않으며 간호하였다. 그러나 이해 8월, 부친 김장생이 향년 84세로 사망하였다. 곡을 한 뒤, 문 밖에 여막을 설치하고 거적자리를 깔고 잤다. 이후 3개월 동안 죽을 먹고, 조석으로 식사를 올렸으며 상례와 관련된 모든 일을 손수 직접 주관하였다. 이후 3년간 상복을 입고 시묘살이를 했다.

나중에 제자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은 당시 사정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모든 규범을 준수하여 날마다 관대(冠帶)를 정제하고 새벽에 가묘(家廟)를 찾아가 뵙고, 다음에 서실(書室)로 가서 책상을 대하여 글을 보며 온종일 꿇어앉아 있어도 어깨와 등이 높고 곧았다. 사람을 접대할 때는 넘쳐흐르는 화목한 기운이 흐뭇하게 했으며, 상스런 말은 입에 내지 않고 태만한 기색은 몸에 나타나지 않았다”(『동춘당집(同春堂集)』)

1634년(61세)
선공감(繕工監) 첨정(僉正), 지평(持平)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둔암(遯巖)서원이 설립되어 부친 김장생(金長生)이 배향되었다. 김집은 1658년에 배향되었다.

1636년(63세)
5월, 지평(持平)에 임명되었다. 이후 종친부(宗親府) 전첨(典籤)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사집의소(辭執義疏)」를 조정에 올렸다.

1639년(66세)
5월에 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임명되었다. 경연에 참석하여 인조 임금에게 『시경(詩經)·상유편(桑柔篇)』을 강의하였다. 이 때 임금에게 올린 말(「經筵奏辭」)이 『신독재유고』권4에 실려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군주의 한 마음은 만 가지 변화의 근원입니다. 근본을 맑게 하고 그 발(發)하는 바를 잘 살펴서 반드시 도심(道心)이 주장이 되게 하며, 인심(人心)이 항상 도심의 명령을 듣게 하면 천리가 유행하고 모든 사물이 절도에 맞지 않음이 없을 것입니다. 다스리는 마음에는 경(敬)이 중요한 것이고 위정(爲政)에는 성(誠)이 귀한 것입니다.”

6월에 교체되어 다른 직책을 맡았으나 곧 연산으로 돌아왔다. 12월에 동부승지가 되었다. 다음해 부호군(副護軍), 우부승지 등에 임명되었다가 교체되었다.

이즈음 그는 자신의 호를 ‘신독재(愼獨齋)’라 하였다.

그는 ‘학문하는 요점은 언행(言行)이 서로 돌아보고, 유현(幽顯, 그윽하고 나타남)이 일치하는데 있다.’고 생각하고 남송 채원정(蔡元定, 1135∼1198)의 ‘혼자 행동을 하더라도 그림자에 부끄럽지 않고(獨行不愧影), 혼자 자더라도 이불에 부끄럽지 않다(獨寢不愧衾)’라는 문장을 좋아하였다.

1643년(70세)
봄에 부친의 저서 『의례문해(疑禮問解)』를 교정하였다. 이어서 부친의 저서를 보완하여 자신의 저서 『의례문해속』을 완성하였다.

여름에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이해, 제자인 송준길로 부터 다음과 같은 서신을 받았다.

“간이(簡易, 최립崔岦)의 『구결(口訣)』은 돌려드리고자 한 지 오래입니다만, 병으로 인해 직접 베끼지 못하다 보니 아직 다 베끼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분부를 받았으니 다시 서둘러 베낀다면 수일 안에 다 베낄 수 있을 것입니다. 베끼는 작업이 끝나는 대로 즉시 사람을 시켜 돌려드릴 생각입니다. 병중에 가끔 『주역(周易)』을 열람하고 있으나 의심스러운 곳이 많았는데, 『주역』을 읽으라고 하신 이 편지를 받으니, 깨닫고 계발되는 점이 말할 수 없이 많습니다. 그러나 가르침을 받을 길이 없으니 한탄만 나올 뿐입니다. 『석담고(石潭稿』(율곡의 유고遺稿)는 산재(山齋)에 갖다 두었는데, 며칠 안에 찾아다가 돌려드릴 생각입니다.”(『동춘당집(同春堂集)』)

1644년(71세)
공조 참의, 좌부승지가 되었으나 모두 사양했다. 제자 송준길로부터 다음과 같은 글을 받았다.

“얼마 전에 돌아오는 인편에 주신 답장을 받아, 비석의 일로 과로하신 나머지 몸이 많이 수척해지셨다는 것을 살피고는 자못 염려되었습니다. 비록 불러 주지는 않으셨지만 마음은 그곳에 가 있은 지가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 그러나 가을 날씨가 서늘해진 뒤로 풍증(風症)이 더해져서, 왼쪽으로 입이 돌아가는 병과 몸의 한쪽을 못 쓰게 되어서 근심으로 날을 보내고 있다 보니 달려갈 수 없는 신세가 지극히 가엾고도 서럽습니다.”(『동춘당집』제10권)

 

1645년(72세)

10월, 동궁(東宮, 세자가 거처하는 궁궐) 보도(輔導, 도와서 올바른 곳으로 안내하는 직책)에 임명되었다. 몇 차례 상소하여 사양하였으나 반려되었다.

1648년(75세)
여름, 우계(牛溪) 성혼의 연보를 교정하였다. 12월에 부친이 지은 『상례비요(喪禮備要)』를 다시 간행하였다. 이후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송시열, 윤선거 등과 함께 태극설, 상례 등을 논하였다.

1649년(76세)
5월, 인조가 승하하고 효종이 등극하였다. 이해에 가선대부 예조 참판, 공조 참판, 대사헌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이해에 「봉사(封事)」, 「고금상례이동의(古今喪禮異同議)」, 『소학(小學)』」의 주석 등을 올렸다. 특히, 「고금상례이동의」에서 그는 『국조오례의』가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보았는데, 오류가 많고 빠진 것도 대단히 많다고 보고, ‘왕조례(王朝禮)’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가을에 대사헌 자격으로 주강(晝講, 낮에 하는 강연회)에 참석하여 『중용 』서문을 강의하였다.

11월에 관직을 사임하고 연산으로 돌아갔다. 이즈음 김상헌 등과 함께 북벌론을 제창하여 청나라 만주족을 칠 것을 주장했다. 병력을 양성하고 공신들의 지나친 특권을 줄이도록 건의하였는데, 이 때문에 인조를 도와 반정에 성공한 공신들의 반감을 샀다.

1650년(77세)
다시 상경하여 조정에 들어갔다. 그러나 대동법(大同法)과 인사권 문제로 조정 내에서 불화가 있어 곧 상소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대동법 시행과 관련하여 그는 반대를 하고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우선 근본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하다고 다음과 같이 임금에게 건의를 하였다.

“대동법은 백성을 편하게 하고 나라를 부유하게 하자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 의도가 어찌 아름답지 않겠습니까? 단지 정치의 요체가 서지 않고서 어찌 작은 세목에 대한 일을 먼저 행할 수 있겠습니까? 만약 이 법을 졸속하게 행하여 먼저 민심을 잃게 된다면 후회가 있을 것입니다.”

다음해 4월, 송시열에게 답한 편지에서 국상(國祥) 변복(變服)의 제도를 논하였다.

 

1652년(79세)
4월, 이조 판서가 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이후, 정헌대부(正憲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조참찬(左參贊), 판중추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사양하였다.

이즈음 권세를 잃은 김자점(金自點)에 청나라에 조선의 북벌 계획을 밀고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김집은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북벌 계획의 영수로 지목을 받았으나 이미 그는 야인이 되어 낙향을 한 상태였고, 조정에서 잘 대응을 하여 사태가 무사히 마무리되었다.

1655년(82세)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11권을 하사받았다. 임명된 관직을 사양하는 상소문(「辭判中樞府事第三疏」)을 올렸다.

1656년(83세)
윤 5월 13일에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임금과 왕세자가 측근들에게 제물과 제문을 보내 제사를 지내주었다. 송준길(宋浚吉)이 행장(行狀)을 지었다. 송준길은 또 다음과 같은 제문을 지어 스승의 죽음을 슬퍼하였다.

“아, 슬픕니다. 3월 그믐께 제가 호상(濠上)에 있을 때 선생님의 신상에 불길한 일이 있는 꿈을 꾸고는 놀라 일어나서 달려가 문안드렸지요. 그때 선생님께서는 이미 병을 앓고 계셨지만 정신이 쇠하지 않으시어 즐겁게 담소하셨습니다. 그런데 여름에 재차 가서 문안드릴 때에는 병이 이미 깊어 의원도 어찌해 볼 수 없는 지경이었습니다. 선생님은 그때 저에게 말씀하시기를 “한스러운 바는 평일에 그대들과 함께 산수(山水) 사이를 유람하지 못한 것이다. 하늘의 도움으로 병이 조금 나으면 내가 고운사로 가려 하니, 그대도 그때 와서 함께 갔으면 한다.”라고 하시며, 마치 중추(仲秋)로 시기를 정하시는 듯 하셨습니다.

아, 이것이 어찌 선생께서 사망을 예시(預示)한 말씀이 아니겠습니까. 꿈에 나타나는 길흉의 조짐과 어떤 일에 앞서 나타나는 조짐은 운명으로 정해진 것이어서 인력으로 어찌할 수 있는 바가 아니고 보면 후사자(後死者)는 애통함이 없어야 할 것 같은데도 오래될수록 더욱 애통함을 그칠 수 없는 것은, 진실로 사문의 애통으로는 이미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음이 있고, 개인의 애통으로는 또 옛사람이 이른바 ‘무궁한 생각’이란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으니 제가 어찌 가슴이 아프고 마음이 상하여 지극히 애통해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전에는 동기처럼 가엾게 여겨 끊임없이 돌보아 주시더니, 지금은 무엇 때문에 모른 체하고 부르짖어도 대답이 없고 불러도 듣지 않으십니까. 아, 애통합니다. …… 아, 인생이 길어 보아야 백 년이니 누군들 죽지 않겠습니까만, 죽어도 그 명성이 썩지 않고 영원히 전해진다면 누가 그를 죽었다고 하겠습니까? (이하 생략)”

1659년에 ‘문경(文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같은 해 송시열(宋時烈)이 문장으로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졌다. 1710년에 유고집(『愼獨齋先生遺稿』) 15권 7책이 간행되었다.

1658년에 연산(連山)의 둔암서원(遯巖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이후에 임피(臨陂)의 봉암서원(鳳巖書院), 옥천(沃川)의 창주서원(滄洲書院), 부여의 부산서원(浮山書院), 광주(光州)의 월봉서원(月峯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1883년 고종 20년에 성균관 문묘에 종사되었다.

 

<참고자료>

『愼獨齋先生遺稿』, 『同春堂集』

김경희, 「김집」, <한국고전종합DB>

한기범, 『沙溪 金長生과 愼獨齋 金集의 禮學思想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김장생(金長生)


김장생(金長生)                                                              PDF Download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조선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예조 참판을 역임한 황강공(黃岡公) 김계휘(金繼輝, 1526년∼1582년)의 아들이며,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아버지다.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게 사서(四書)와 『근사록(近思錄)』 등을 배웠으며, 20세 무렵에는 율곡 이이(李珥)의 문하 들어가 성리학을 배웠다. 그는 특히 예학을 깊이 연구하여 아들 김집에게 계승시켜 조선 예학을 구축하고 예학파의 태두가 되었다.

또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조익(趙翼), 윤순거(尹舜擧), 윤원거(尹元擧), 최명길(崔鳴吉) 등 수많은 조선의 명사들을 배출하였으며, 『상례비요(喪禮備要)』, 『가례집람(家禮輯覽)』, 『전례문답(典禮問答)』, 『의례문해(疑禮問解)』등을 남겼다.

1548년(1세)
명종 3년, 7월 8일(음력, 이하 모두 같음), 서울 황화방(皇華坊) 정릉동(貞陵洞)에서 태어났다.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시호는 문원(文元)이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고향은 충청도 연산(連山, 지금의 논산)이다. 어머니 신부인(申夫人)은 우참찬을 지낸 평산신씨(平山申氏) 신영(申瑛)의 딸이다.

1549년, 김장생이 두 살 되던 해에, 부친 김계휘가 식년 문과에 을과로 합격했다. 김계휘는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검열, 홍문관 정자와 박사, 이조좌랑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

김계휘는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율곡(栗谷) 이이(李珥) 등과 더불어 도의(道義)로 깊이 사귀면서 일세의 표상이 된 인물이다. 경세(經世)의 재간으로는 이들 중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기대승이 사망한 뒤 김계휘는 율곡과 함께 행동을 하였다. 율곡은 조정에서 항상 말하기를 “참으로 정승을 구하고자 한다면 중회(重會, 김계휘의 자)가 바로 그 사람이다”라고 하였다.(「黃岡行狀」)

1557년(10세)
부친이 김홍도(金弘度) 당으로 몰려 파직을 당했다. 당시 김홍도와 김여부(金汝孚)의 반목으로 옥사가 일어났다. 부친은 낙향하여 연산현의 벌곡 양산리에 정회당(靜會堂)을 세우고 후학들을 가르쳤다.

1558년(11세)
9월, 어머니(申夫人)이 사망하였다. 연산의 선산에 장사를 지냈다. 이즈음 부친은 반대세력의 모함으로 외지로 쫓겨나 있었다. 이 때문에 김장생은 이후 서울에 남아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손에 자랐다.

 

1560년(13세)
3년상을 지내고 상복을 벗었다.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게 사서와「근사록(近思錄)」등을 배웠다. 송익필은 부친과 가깝게 지내던 인물이었으며 예학(禮學)에 특히 조예가 깊었다. 후에 김장생은 제자 송시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내가 『근사록』을 구봉 선생께 배웠는데, 구봉 선생은 재지(才智)가 아주 영민하고 출중하여 글을 읽는 데 막힘이 없었다. 그래서 선생님은 다른 사람들도 모두 자신과 같은 줄 아시고 한 번 읽어주고 난 뒤에는 다시 자세하게 설명해 주지 않으셨다.

이 때문에 나는 처음에는 망연하여 마치 아무것도 배우지 않은 것 같았다. 그런데 물러 나와 정좌(靜坐)하고 보고 또 보고 하여 온갖 애를 다 썼으며, 글을 읽으면서 생각하고 생각하고서 읽기를 밤낮으로 그치지 않았다. 그런 다음에는 점차 환하게 깨우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천 번을 생각해 보고 백 번을 따져 본 뒤에, 그래도 분명하게 알 수 없는 다음에 선생님께 여쭈었다. 글을 읽는데 부지런히 애쓰기를 나와 같이 하는 자를 나는 아직까지 보지 못하였다.”(『사계전서』)

1561년(14세)
할아버지를 따라 근무지인 지례(知禮)에 갔다. 12월, 할아버지가 사망하여, 그 상여를 따라 연산으로 다시 돌아왔다. 부친과 함께 선영의 묘지 아래에서 살았다.

다음해 부친은 이조정랑에 복직되었으나 상중이어서 취임하지 않았다. 3년상을 마치고 관직으로 돌아가 사간(司諫)·집의(執義)·응교(應敎) 등 직책을 역임하였다. 김장생도 이즈음 부친을 따라 서울로 거처를 옮겼다.

1566년(19세)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한 조대건(曺大乾)의 딸 창녕조씨(昌寧曺氏)와 결혼하였다. 부친은 이해 문과 중시에 40세의 나이로 장원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대사헌(大司憲) 등에 임명되었다.

1567년(20세)
부친의 소개로 율곡 이이(李珥, 1537년∼1584년)의 문하에 들어가 수업하였다. 이때부터 성리학 요지를 모두 듣고 힘써 실천하였으며, 무거운 짐을 떠맡기를 자임하였다. 율곡이 해서(海西)로 돌아가자 뒤따라가서 그 문하에 머물면서 예전의 학문을 복습하고 익혔다. 또 새로 얻어들은 것은 갈고 닦았다. 그 가운데서도 김장생은 특히 예학(禮學)에 정밀하여 작고 세세한 점들을 빠짐없이 다 배웠고 크고 작은 일을 모두 실천하였다. 이에 율곡은 항상 그에 대해서 기대가 컸다.

이해 큰아들이 태어났으며,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을 보령(保寧)으로 찾아가 면담했다.

당시 김장생은 과거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는 “나는 기질이 우둔하고 어려서부터 배우지 못해, 과거 공부에 흥미를 가지지 못했다. 20살에 이르러 처음으로 각오를 다지고 고인의 학문에 뜻을 갖게 되었다.”(『사계전서』, 권5)고 하였다. 스스로 겸손하게 표현을 하였으나 어머니 상을 당하고 부친이 관직생활에 어려움을 겪은 것을 목격하고, 또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을 경험하면서 그는 관직생활에 대해서 흥미를 갖지 못했다. 그는 오직 도학과 예학에만 전념하면서 젊은 시절을 보냈다.

1571년(24세)
부친이 이조참의, 예조참의 등에 임명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황해도·전라도 관찰사를 거쳐 공조참판·형조참판과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1573년(26세)
이해(선조 6년) 10월 1일, 부친의 관리능력 평가 기록이 『선조실록』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전 참의 김계휘(金繼輝)를 가선(嘉善, 종2품의 가선대부)으로 품계를 올려 경상도 관찰사로 삼았다. 영남은 땅이 크고 사람이 많아 문서가 계속 답지하였는데, 김계휘는 입으로 묻는 말에 답하면서 손으로는 쓰면서 일을 물 흐르듯 처리하였다. …… 처음 경상도에 이르렀을 때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인 아전이 각지의 군부(軍簿)를 올리니 김계휘는 한 번 열람하고 치웠다. 얼마 후에 아전이 한 고을의 장부를 잃어버려 그 고을에 있는 장부를 다시 올리게 하자, 김계휘는 서슴치 않고 아전에게 붓을 잡으라고 명하고서 그 장부를 입으로 부르는데 한 글자도 착오가 없었다.

또 백성이 소첩(訴牒, 청원이나 소송하는 서류)을 올린 날짜와 이름자를 모두 암기하고 있었다. 나중에 그것을 다시 올린 자가 있으면 출두시켜 꾸짖기를, ‘너는 몇 월 며칠에 이러한 소장을 올렸는데 이제 어찌 재차 올렸느냐’하였다.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관찰사는 신명(神明)하여 속일 수 없다고들 하였다. 그리하여 동헌 뜰에는 미결된 백성이 없고 탁자 위에는 적체된 문서가 없어 치적(治績, 다스리는 업적)이 여러 도(道) 중에 으뜸이었다.”

 

김장생의 예학은 바로 이러한 부친의 출중한 기억력과 비상한 업무 처리 능력을 이어받아 구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해 6월, 김장생의 둘째 아들 김집이 태어났다.

1575년(28세)
큰 딸이 태어났다. 이해에 부친은 동서 분당 때 심의겸(沈義謙)과 함께 서인으로 지목되었다. 하지만 그는 당파 활동에 깊이 관여하지 않고 당쟁완화를 위해 노력했다.

다음해 김장생은 둘째 딸을 보았으나 안타깝게도 일찍 요절하였다.

 

1577년(30세)
4월, 율곡 이이가 살던 석담(石潭)을 방문하였다. 율곡이 구봉 송익필에게 보낸 편지 중에 “김희원(金希元, 김장생)이 이곳에 와 20여 일 동안 있으면서 차분히 강학(講學)을 하였는데, 그의 아버지가 불러 돌아갔다. 이로부터는 서로 도움을 주는 유익함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6월, 우복룡(禹伏龍)을 방문하여 『근사록』, 『맹자』등을 강의하였다.

 

1578년(31세)
이조 판서 이후백(李後白)의 추천으로 창릉 참봉(昌陵 參奉)에 임명되었다. 이후백은 김장생이 “성인의 경전을 깊이 연구하였고 옛날의 훈계를 독신하였다.(沈潛聖經 篤信古訓)”는 내용으로 추천을 하였다. 그러나 1년이 못되어서 그 직책에서 교체되어 물러났다.

1580년(33세)
셋째 아들이 출생했다. 5월, 우계(牛溪) 성혼(成渾)이 거처하는 파산(坡山)을 방문하였다. 우계에 대해서 김장생은 나중에 송시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내가 율곡 선생에 대해서는 마음속으로 기뻐하고 성심으로 복종하면서 항상 더할 수 없이 훌륭한 분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우계(성혼) 선생에 대해서는 약간 차이를 두고 낮게 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우계 선생의 문하에 있는 사람들이 자못 불평하였다. 그 뒤에 오랫동안 왕래하면서 그분의 기상을 보고 의론을 들어 본 다음에야 율곡 선생께서 그 분과 도의(道義)의 교분을 맺은 것이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김장생은 스승인 구봉(龜峯) 송익필 선생에게 편지를 올려 인심도심(人心道心)을 논했다. 이러한 편지에 대해서 송익필은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학력(學力)이 증진되었다는 것을 알고는 몹시 탄복하였네. 다른 사람이 이론(異論)을 제기하자, 감히 자신의 견해를 옳다고 고집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재주가 크고 학문이 깊은 사람으로서는 그렇게 하기가 어려운 것인바, 참으로 그 태도가 몹시도 아름답네.”

 

1581년(34세)
가을, 잘못 기록된 종계(宗系)를 고쳐달라고 청하기 위해서 중국에 주청사(奏請使)로 가는 부친을 따라 중국에 가게 되었다. 이를 위해 편의상 직책이 돈녕부(敦寧府) 참봉(參奉)으로 변경되었다. 율곡은 중국으로 가는 김장생에게 시를 지어주고 전별하였다.

이해 11월 셋째 딸이 출생하였다.

 

1582년(35세)
4월 부친과 함께 중국에서 귀국하였다. 이 사행(使行)길은 왕복한 거리가 거의 1만 리 정도나 되었는데, 김장생은 아버지를 모시고 가면서 봉양함에 정성과 효성이 간절하고도 지극하였다고 한다.

귀국한 직후, 부친은 21일에 갑자기 사망하였다. 부친은 이때, 특진관(特進官, 예조참판)으로 경연(經筵)에 입시(入侍)하였다가 갑작스럽게 풍(風, 오늘날의 뇌졸중 혹은 뇌출혈)을 맞아 수레에 실려서 집으로 돌아왔다.

임금이 즉각 내시(內侍, 궁궐의 의사)를 보내 병세를 물었으며, 호피(虎皮)를 하사하였다. 나중에 선조 임금은 김계휘의 부음을 듣고 시신을 담는 관을 하사하였다.

율곡은 당시 경연의 자리에서 다음과 같이 발언을 하였다. “김계휘(金繼輝)는 현명하였는데도 크게 쓰이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니 관직을 추증해 주고 상장(喪葬)을 돌보아 주는 것이 마땅합니다.”

임금은 이러한 건의를 듣고 대신들에게 물은 다음, 관원에게 장례 치르는 것을 돌보아 주라고 명령하고 김계휘를 이조판서에 추증하였다.

6월에, 부친을 고향인 연산 거정리(居正里)에 장사 지내고 부친의 묘 아래에서 시묘살이를 하였다.

선조실록 15년 4월 1일자로 부친의 졸기(卒記)가 다음과 같이 실렸다.

“예조참판 김계휘(金繼輝)가 졸(卒)하였다. 김계휘는 타고난 자품이 영특하고 마음가짐이 화평하였다. 세세한 행동과 예절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원대한 포부를 지녔기 때문에 수련을 쌓은 공부(道學)는 없었으나 소견이 고매하여 은연중 도리에 합치되었다.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나 전고(典故)에 숙달하였으며 인물을 알아보는데 밝았고 정사(政事)를 처리하는데 민첩하여 경국제세(經國濟世)의 재주를 지녔으므로 당시 명현(名賢)들이 모두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스스로 인정하였다. 당대 사람들도 공보(公輔, 임금을 보필하며 정사를 다루는 대신)로 삼을 만한 재기(才器)라고 칭송하였다.

그는 가정생활이 청렴하고 검소하였으며 30년 동안 현직(顯職, 높고 중요한 직위)에 있었으나 집안 살림이 마치 평민 시절과 같았다. 젊었을 때부터 문명(文名)으로 출신하였는데 권간(權奸, 즉 윤형원 일파)이 득세하던 때를 당하여 한번도 자신을 굽히지 않았으므로 십 수년 동안 배척되었다.

선조임금이 즉위한 처음에 제일 먼저 발탁되었는데 논의가 적절하였으므로 조정이 추중하였고 임금도 특별히 총애하였다. 마침 여론이 분열되었을 때에 어느 한쪽에 동조하거나 영합하지 않았으므로 다시 정승급 벼슬에 들어가지 못했는데 사람들이 이를 애석하게 여겼다. 이때 특진관으로 임금을 모신 강연에 입시하였다가 갑자기 중풍(中風)으로 쓰러져 사람들에게 들려 집으로 돌아와 그 길로 일어나지 못했는데, 임금이 무척 애도하였고 특별히 관곽(棺槨)을 하사하여 장사지내게 하였다.

김계휘는 당파로 배척을 받았지만 그의 청렴 검소하고 관후한 덕에 사람들이 심복하였기 때문에 소인들도 감시 몹시 노하거나 헐뜯지 못하였다. 그리고 넓은 학식과 뛰어난 기억력으로 귀신처럼 잘 알아내는 데는 조정에서 제일인자로 추대하더라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은 뒤를 이어 유학(儒學)으로 세상에 명성을 드러냈다.”

 

1583년(36세)
스승 송익필과 편지로 상례(喪禮)를 논했다. 최초의 예서(禮書)인 『상례비요(喪禮備要)』를 완성했다. 이해 율곡 이이에게 할아버지의 묘갈명(墓碣銘)을 청하였다.

1584년(37세)
1월, 율곡 이이가 사망하여 곡을 하였다. 이후 스승 율곡 이이와 구봉 송익필에 대해서 매월 1일과 15일에 복(服)을 입고 곡을 하였다. 그리고 스승의 기일에 목욕재계(齋戒, 신이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부정을 타지 않도록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행동을 삼감)와 주변 청소를 하고 음식을 올렸다. 이러한 것을 늙도록 그치지 않았다.

6월, 부친의 삼년상을 마치고, 순릉(順陵) 참봉(參奉)에 임명되었다. 곧 평시서(平市署) 봉사(奉事)로 승진되었다.

 

1586년(39세)
봄, 이발(李潑) 등이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을 모함하자 벼슬을 그만두었다. 4월에 부인상을 당하였다.

다음해 사포서 별제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다.

 

1588년(41세)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다. 김수언(金秀彥)의 딸 순천김씨(順天金氏)를 부실(副室, 첩)로 맞이했다.

다음해 여름, 중봉(重峯) 조헌(趙憲)이 귀양 가는 것을 전송하였다. 10월, 고양(高陽)에 있는 정철을 찾아보았다.

 

1590년(43세)
12월, 동례원(通禮院) 인의(引儀)에 임명되었다. 송강 정철과 당시 상황을 논하였다.

다음해 아들 김집(金集)이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봄에 정산(定山) 현감(縣監)에 임명되었다. 부임길에 파산(坡山)으로 우계 성혼을 방문하였다.

1592년(45세)
이해 임진왜란이 발생하였다. 차남 김집(金集)이 좌의정 유홍(兪泓)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다. 5월, 큰아들 김은(金櫽)과 며느리가 일본군에게 해를 당한 소식을 들었다.

다음해 12월, 송강 정철이 사망하였다.

 

1596년(49세)
4월, 임기를 마치고 고향 연산으로 돌아왔다. 12월, 호조 정랑에 임명되었다.

1597년(50세)
봄, 명을 받고 호남에서 군량을 조달했다. 겨울에, 파직되어 연산으로 돌아왔다. 해서(海西)의 황주(黃州)와 봉산(鳳山) 지방에 임시 거처를 찾아 거주하였다. 이때 제자들과 함께 글을 읽으니 멀리서 배우러 오는 자들이 많았다. 12월, 단양군수(丹陽郡守)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율곡선생(栗谷先生)의 행장(行狀)을 지었다.

이 즈음 스승인 구봉 송익필이 모함을 당하여 쫓기는 신세가 되어 피신처를 제공하였다.

 

1598년(51세)
4월, 군자감(軍資監) 첨정(僉正)과 호조 정랑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6월, 우계 성혼이 사망하였다. 가을,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를 완성하였다. 9월, 남양부사(南陽府使)에 임명되었으나 빠른 승진이라 하여 취소되었다.

 

1599년(52세)
이해 1, 2월에 양근군수(楊根郡守), 익위사(翊衛司) 익위(翊衛) 등에 차례로 임명되었으나 사양했다. 6월, 안성군수(安城郡守)에 임명되었다. 7월, 예학에 밝아 김장생에게 큰 영향을 미친 구봉 송익필이 사망하였다. 김장생은 장례와 제사의 모든 것을 자신이 친히 주관하여 정성을 다하였다.

9월, 『가례집람(家禮輯覽)』을 완성하였다. 이 서적은 임진왜란 직후에 흐트러진 정치적 기강과 사회 윤리를 바로 잡고, 예의 보급에 의한 질서 재건에 크게 기여한 바가 있었다.

 

1601년(54세)
1월, 『소학집주발(小學集註跋)』을 지었다. 9월, 조정의 명령을 받고 서울로 갔다. 10월, 종친부(宗親府) 전첨(典籤)에 제수되었다.

다음해 봄에 벼슬을 그만두고 연산으로 돌아갔다. 8월, 양성당(養性堂)을 지었다. 부친의 가장(家狀)을 완성하였다.

1603년(56세)
5월, 익산군수(益山 郡守)에 임명되었다.

1605년(58세)
아들 김반(金槃)이 사마시에 합격했다. 10월, 벼슬을 그만두고 연산으로 돌아왔다.

다음해 신흠(申欽, 1566∼1628)이 종묘를 중건할 때, 고례(古禮)에 관해 묻자 편지로 답하였다. 신흠은 조선의 4대 문장가중 한 사람이며 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인물로, 김장생의 외사촌이 된다.

1609년(62세)
이해 광해군이 등극하였다. 8월, 회양부사(淮陽 府使)에 임명되어 11월에 부임하였다. 다음해 10월, 철원부사(鐵原 府使)로 옮겨 임명되었다.

1613년(66세)
5월, 아버지 김계휘의 첩에서 난 아우들(庶弟)이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연산으로 돌아갔다. 정권 담당자들(大北派)은 김장생을 연루시켜 제거하려고 하였으나 피의자들은 죽음을 앞에 두고서도 김장생과의 연루를 극구 부인하여 위기를 넘겼다. 이후 10여년간 두문불출하면서 오직 경서를 연구하고 후학을 가르쳤으며 『상례비요(喪禮備要)』를 간행하였다. 이 당시 그에게서 배운 제자들은 그 아들인 김집을 비롯해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李惟泰) 등이 있다.

1617년(70세)
정홍명(鄭弘溟)의 요청으로 송강행록(松江行錄)을 지었다. 3월, 송이창(宋爾昌)과 함께 영동(永同) 지방을 유람하였다. 다음해 경서 연구 자료를 모아『경서변의(經書辨疑)』를 완성하였다.

1623년(76세)
1월, 「사단칠정변(四端七情辨)」을 지었다.

4월,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서인 일파가 광해군과 대북파 관료들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하였다. 이에 그동안 핍박을 받던 김장생은 다시 정치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많은 지인, 제자들이 새로운 정권의 핵심세력이 되었다.

5월, 「사묘친제시축문(私廟親祭時祝文)」의 칭호에 대하여 상소하였다. 6월, 성균관 사업에 임명되어 원자(元子, 아직 왕세자에 책봉되지 않은 임금의 맏아들)를 보도(輔導, 보살피고 지도)하였다.

1624년(77세)
2월, 이괄(李适)의 난으로 공주(公州)에 피난온 임금을 일신역(日新驛)에서 맞이하였다. 3월, 경연에 입시(참석)하였다. 상의원 정에 임명되고 사업(司業)을 겸하였으며, 집의에 임명되었다. ‘사업(司僕)’은 당시 인조임금이 김장생을 위해서 성균관의 종 4품직으로 특별히 신설한 것으로 성균관의 유생들을 지도하는 직책이었다.

6월, 사직소와 함께 13條의 사항을 올렸다.

이정구(李廷龜) 등과 사친추숭(私親追崇)과 전례(典禮)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이때 논의한 왕복 서간등을 묶어 『전례문답(典禮問答)』이라 하였다.

8월, 특명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로 승진하였다. 10월, 원자(元子) 강학관(講學官)을 겸하였다. 임금은 김장생을 이러한 직책에 임명하여 왕세자 교육을 맡게 하고 필요시 왕을 직접 접견할 수 있게 하였다.

김장생은 이즈음 임금에게 수차례 상소문을 올려서 정치의 요체와 방책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면 군주는 수많은 변화의 근본임으로, 대본(大本)을 세우며 국가 운영의 기본 방침을 잘 존중하여 효와 예를 다함으로써 여러 신하의 본(本)이 될 것을 요청하였다. 또 친히 정치에 참여하여 민폐를 혁신하고 군정(軍政)을 닦고 궁궐 안의 기강을 바로 잡도록 요구하였다. 특히 소학(小學)을 중시하고 효행과 예행을 솔선수범하여 예를 바탕으로 한 사회 질서의 재건을 시대적인 과업으로 제시하였다.

1625년(78세)
특명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었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동문(同門)인 정엽(鄭曄), 심종직(沈宗直) 등과 함께 스승 송익필의 신원을 위해서 상소하였다.

다음해 1월, 외가 쪽 친척인 신흠에게 편지하여 계운궁(啓運宮) 상례에 대해서 논하였다. 3월, 황산(黃山)서원을 세웠다.

1627년(80세)

1월,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 후금 만주족이 침입해왔다. 양
(兩湖, 호서와 호남)호소사(號召使)에 임명되어 국가적인 위기에 대응하였다. 김장생은 의병모집과 군량조달의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고 2월에 공주에서 왕세자를 맞이하여 호위하였으며 3월에 강화도 행재소(行在所)에 나아갔다.

1628년(81세)
9월, 형조 참판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사양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제자들과 학문을 연구하고 강론을 계속하였다. 다음해 9월, 정엽(鄭曄)의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의 서문을 지었다.

1630년(83세)
가을, 제자 송시열과 격치(格致), 사칠(四七) 등을 논하였다. 「독서강의서(讀書講義序)」를 지었다.


1631년
(84세)
8월, 사망하였다. 10월, 진잠현(鎭岑縣, 지금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리(城北里)에 장사를 지내다. 인조 임금은 김장생의 사망 소식을 듣자, 제사와 부의(賻儀)를 하사하고 이조 판서에 추증하였다.

인조실록』 9년 8월 9일자에 다음과 같은 ‘졸기(卒記)’가 실렸다.

“전 형조 참판 김장생(金長生)이 죽었다. …… 상(上, 인조임금)이 반정(反正)하여 덕이 높은 이를 구하였는데, 장령으로 부름을 받고 올라 왔다. 이때 상이 사묘(私廟, 방계傍系에서 왕위에 오른 경우 그 친족, 즉 종묘에 들어갈 수 없는 왕족의 사당.)에 직접 제사를 지내려 하는데, 예관(禮官)이 ‘상이 친손자로 할아버지의 왕통을 이은 이상 두 아버지를 모신다는 혐의가 없으니 축사(祝辭)에 마땅히 아버지[考]로 일컫고 아들로 일컬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의견에 대하여 김장생이 수천 마디의 말로 상소를 올려 그 설을 공격하여 깨뜨렸다. 이는 모두 선유(先儒)의 정론(定論)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러다가 추숭(追崇)하자는 논의가 일어나자 김장생이 여러 차례 소를 올려 옳지 않음을 힘껏 말하였으나 그의 의견은 쓰이지 않았다. 김장생은 조정에 있기를 즐겁게 여기지 않은데다가 나이도 많았으므로 자청하여 연산(連山)으로 돌아갔다. 이에 그를 형조 참판으로 다시 불렀으나 김장생은 사양하고 오지 않았다. 집에서 병으로 죽으니 나이 84세였으며, 학자들이 사계(沙溪) 선생이라고 불렀다.”

1634년에 그를 기리는 둔암서원(遯巖書院)이 설립되었다. 1636년에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가 1657년에 영의정(領議政)에 증직되고, ‘문원(文元)’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717년에 문묘에 종사(從祀)되었다.

<참고자료>

『沙溪全書』

「김장생」, <한국문집총간 인물연표>

선병삼, 「율곡학인물들-김장생」, <율곡학 프로젝트>

한기범, 『沙溪 金長生과 愼獨齋 金集의 禮學思想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이하조(李賀朝) 


이하조(李賀朝)                                                              PDF Download

 

이하조(李賀朝, 1664년∼1700년)는 조선시대의 관리이자 문인이다. 그는 문장으로 유명한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의 손자이자, 정관재(靜觀齋) 이단상(李端相)의 아들로 태어나 19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관직에 나가 공조좌랑, 부평현감 등에 임명되었다. 그는 문장이 뛰어나고 인품이 어질어, 장차 세상에 크게 쓰일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37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1664년(1세)
현종 5년, 4월 7일, 2남 5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낙보(樂甫), 호는 삼수자(三秀子),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경기도 양주에서 살았다.

부친은 부제학을 지낸 정관재(靜觀齋) 이단상(李端相)이며, 모친은 전의이씨(全義李氏)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이행원(李行遠)의 딸이다.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은 친누이의 남편으로 매형이다.

할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이다. 이명한은 16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21세(1616년)에 전시 을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도승지, 대제학, 이조판서 등 고위관직을 역임하였다.

아홉 살 많은 형으로 지촌(芝村) 이희조(李喜朝, 1655∼1724)가 있다. 이희조는 대사헌, 이조참판을 지냈으며 송시열의 문인이다. 1724년 노론파가 권력을 잃으면서 영암으로 유배를 갔는데 도중에 사망하였다.

1669년(6세)
9월, 부친 이단상(1628∼1669)이 사망하였다.

1682년(19세)
사마증광시(司馬增廣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683년(20세)
양주(楊州) 영지동(靈芝洞)에 있는 형 이희조의 영지서실(靈芝書室) 바로 옆에 개인 서재인 삼수헌(三秀軒)을 지었다.

이즈음 안동김씨(安東金氏)로 현감(縣監)을 지낸 김창국(金昌國)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다. 둘 사이에 아들이 있었으나 일직 죽고, 딸만 넷을 키웠다. 이해조(李海朝)의 아들 숭신(崇臣)을 양자로 삼았다.

1684년(21세)
이즈음 관례를 치루었다. 이 때 매형 김창협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글을 받았다.

“이생 하조(李生賀朝, 이하조)의 관례(冠禮) 때에 내가 찬(贊)을 지어 주었는데, …… 옛날에 사람에게 성인(成人)의 덕을 책임 지울 때는 또한 그 도(道)가 있었다. 젖먹이에서부터 아이가 되고 이어 관례를 치를 때까지 가르치는 데에 순서가 있고 기르는 데에 법도가 있어 시서(詩書)와 육예(六藝)를 가르치고 효제(孝悌)와 인의(仁義)를 연마시켰던 것이지, 하루아침에 당부하고 만 것이 아니다. 그러니 관례를 올리고서 성덕(成德)으로 나아가는 것은 성급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 후대에는 가르치고 기르는 것이 평소에 이루어지지 않는 데다 나이가 차기도 전에 관례를 올리고 관례가 끝나면 곧 그 덕이 완성되기를 바라니, 그렇게 되기란 참으로 어려운 노릇이다. 예의(禮儀)가 잘 갖추어지고 축사(祝辭)가 많은들 무슨 보탬이 되겠는가.

……

지금 나는 비록 남을 가르치고 경계시킬 말은 없지만, 나는 일찍이 우리 정관(靜觀) 이단상(李端相) 선생을 섬겨 그분의 덕행을 자세히 관찰했었다. 이제 선생은 안 계시지만 그 뜻은 서책에 담겨 있고 그 언행은 가정에 전해지고 있다. 이생(李生)이 밤낮으로 그것을 외고 본받아 실천하기를 게을리하지 않음으로써 선대인(先大人)의 사업을 빛내고 키우되 중단하지 말고 더욱 독실히 한다면, 조상의 뜻과 사업을 계승하는 효성이 더없이 클 것이다. 이생은 부디 노력하기 바란다.

시경》에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잠자리에 들어, 너를 낳아 주신 분을 욕되게 하지 말라.” 하였고, 또 “돌아가신 아버지의 아름다운 덕으로, 내 몸을 지키고 드러내리라.” 하였다. 나는 이생을 위해 이 시를 읊어 축사의 후미를 갈음하는 바이다.”(『농암집』권 21)

1685년(22세)
가을, 진천(鎭川) 현감(縣監)으로 부임하는 형 이희조를 따라갔다. 이즈음 매형인 김창협(金昌協)의 제자들인 이이명(李頤命), 이덕성(李德成), 김시좌(金時佐) 등과 교류를 하였다.

이해, 김창협이 함경북도 병마평사로 부임하는 것을 송별하는 문장 「봉신김자형북관지행(奉贐金姊兄北關之行)」을 지었다.

1686년(23세)
민태중(閔泰重)등 여러 사람과 함께 화양동에 가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과 면담했다. 송시열은 부친 이단상에게 학문적으로 깊은 영향을 미친 인물이며 형 이희조도 그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이하조도 송시열의 제자가 되어 성리학을 배웠지만 깊이 있는 성과를 이루지는 못했다.

이해 가을에 형 이희조와 송도(松都)를 유람했다.

 

1687년(24세)
청풍 부사로 가는 김창협과 동래 부사로 가는 이덕성(李德成)을 전송하는 글을 지었다.

김창협의 문집(『농암집』)에는 13살 많은 매형 김창협과 이하조의 교류를 엿볼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結廬倚雲峰 구름 낀 산기슭에 얽어맨 초가집
環堵隔風雪 사방의 흙벽이 눈보라를 막아주네
冥處覽運化 깊은 사색 천지 변화 살펴도 보고
忼慨撫徂節 격한 기분으로 가는 시절 한탄하네
鳴絃發淸商 거문고 시위 튕겨 해맑은 가락
諷書散素帙 책장을 펼치고서 글을 읽기도
遐哉千古心 옛날 옛적 성현들 그리는 마음
明明不可掇 밝고 밝아 어떻게 지울 수 없네
孰是抱幽獨 아 하지만 누구라서 홀로 지내며
而無慕儔匹 마음에 맞는 벗님을 아니 그리겠는가
晤言莫與同 우리 만나 담소할 길은 아득하고
賞心徒自結 산수 즐길 마음만 가슴에 서려
結念屬所思 오로지 그대에게 바라는 생각은
惠好期嘉月 춘삼월 좋은 시절 함께 만나서
深淵網紫鱗 깊은 못의 붉은 고기 그물질하고
中谷採柔蕨 산골짝의 연한 고사리 줄기 꺾으며
披尋閱幽事 유적 찾아 옛일을 더듬어 보고
觴詠陶時物 시와 술로 좋은 풍경 즐겨보세
緘辭申爾約 글월 띄워 이 약속 당부하고서
引領望來轍 그대 행차 목을 빼고 기다리겠네

 

1688년(25세)
5월, 평강(平康)현감으로 재직하던 형 이희조와 함께 금강산과 동해를 유람했다. 형과 같이「해산창주록(海山唱酬錄)」을 지었다.

1689년(26세)
9월, 남용익(南龍翼), 김익렴(金益廉) 등과 함께 용산에서 시모임을 가졌다. 또 남용익이 거처하고 있던 수락산 동해곡의 쌍백정(雙栢亭), 운수암(雲水菴) 등지를 방문하였다.

이즈음 음보(蔭補, 출신을 고려한 관리선발)로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洗馬), 시직(侍直) 등에 임명되었다.

1690년(27세)
양주의 주변풍광 등을 노래한 「지사재잡영(志事齋雜詠)」, 「농환와잡영(弄丸窩雜詠)」등을 지었다.

1693년(30세)
부인의 할아버지 김수증(金壽增)의 고희를 기념하여 글(「頌壽序」)을 지었다. 이즈음 친구들이 과거시험에 응시할 것을 권했지만 단념하고 학문에만 뜻을 두었다.

1697년(34세)
7월에 사복시(司僕寺, 말이나 마굿간, 목장 등을 관장하는 관청)의 주부(主簿)가 되었다. 주부는 문서와 부적(符籍)을 관리하는 종6품의 관직이다.

1698년(35세)
4월, 공조 좌랑이 되다. 이해 여름에 부평(富平) 현감이 되었다.

1700년(37세)

2월, 형 이희조가 근무하던 해주(海州)를 방문하고 모친을 뵈었다. 율곡 이이의 유적지인 석담구곡(石潭九曲)등지를 유람하고 「서행록(西行錄)」을 지었다.

7월 10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경기도 양주 영지(靈芝)의 독정리에 묻혔다.

1712년에 형 이희조, 나주목사(羅州牧使) 조정만(趙正萬) 등이 활자로 5권 1책으로 구성된 문집 『삼수헌고(三秀軒稿)』를 간행했다.

매형 김창협은 처남의 죽음에 다음과 같은 제문을 남겼다

“임오년 7월 경술삭(庚戌朔) 8일 정사에 안동 김창협은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갖추어 고(故) 이군 낙보(이하조)의 영전에 곡하며 제사하고 다음과 같이 글을 지어 자네가 흠향(歆饗, 제물을 받아서 그 기운을 먹음)하기를 권하는 바이네.

아, 자네의 사람됨은 흔히 볼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네. 자질이 아름다워 단정하고 어질고 평탄하고 정직했으며, 행실이 어질었으며 효성스럽고 우애롭고 자애롭고 너그러웠지. 식견이 바르고 분명하여 시비를 분명히 구분하고 언사가 구차하지 않았네. 재주가 민첩하고 풍부하여 문사(文辭)가 유창하며 그 언사의 품격이 뛰어났지.

이러한 됨됨이로 세상에서 활동한다면 그와 앞 다툴 자가 없었을 텐데. 자네는 자신을 부족하게 여겨 평소에 한 가지도 잘하는 것이 없는 것처럼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네. 그러면서도 남의 장점에 대해서는 또 진심으로 높이 인정하여 마치 따라 미치지 못할 것처럼 하였네.

아, 이 어찌 오늘날에만 보기 드문 사람이겠는가. 옛사람들도 찾아보기 어려운 사람이라고 여겼을 것이네. 천도(天道)가 선인(善人)을 돕는다면 이른바 장수와 복록이라는 것이 자네 말고 누구에게 가겠는가. 그런데 어찌하여 갑자기 죽어 이 정도에 그쳤단 말인가. 참으로 애통하고 슬프네.

그러나 예로부터 어진 사람과 재주 있는 선비가 자네처럼 불행히 복록을 누리지 못한 경우가 실로 많았고 그보다 더 심한 경우도 많았으니, 이는 멀리 찾아볼 것도 없네. 우리 집 아이 숭겸(崇謙) 같은 경우도 그중 하나이네. 아, 자네는 숭겸에 대해 일찍이 절세(絶世)의 기재(奇才)로 추앙하며 원대한 사업을 기대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숭겸은 수명이 겨우 자네의 절반에 그쳤고 곤궁함은 자네보다 갑절이나 되었다네. 그렇다면 자네는 부러움을 살 위치에 있었으니, 자네가 또 무엇 때문에 슬퍼하겠는가?

생각하면 나는 15세에 자네의 집에 들어가 당시 어린아이였던 자네를 쓰다듬으며 장성하는 것을 보았네. 30여 년 동안 서로 이끌어주며 어울리는 가운데 형제간의 은혜와 붕우간의 의리를 겸비하게 되었으니, 비록 그동안 만나고 헤어지고 멀리 있고 가까이 있는 등 서로 간의 교류가 일정치는 않았으나 마음에 늘 잊지 못하는 것은 실로 하루 같았네.

나는 이미 세상에서 활동할 생각을 영원히 접었고 자네도 벼슬아치의 일에 종신토록 매달릴 사람이 아니었기에, 나는 내 자식을 이끌고 그대는 그대의 백형을 따라 삼주(三洲) 물가와 영지(靈芝) 골짝에서 서로 어울리며 왕래할 날이 있을 터였네. 그런데 이제 더 이상 그럴 수가 없게 되었으니, 자네의 죽음이 또 어찌 나를 슬프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아, 나는 자네를 잃은 지 7일 만에 내 딸을 잃었고, 또 3개월 만에 숭겸을 잃었고, 그 이듬해 7월에 또 자네의 대부인(大夫人)을 잃었으니, 우리 양가가 당한 화는 세상에 보기 드문 것이었네. 내 비록 모질게도 즉시 따라 죽지 못하여 오늘에 이르기는 하였으나, 병을 앓고 있는 데다 심정이 참담하여 인사불성이 되어 버렸네.

그 때문에 아직까지 자네의 상에 술 한 잔 올리지 못하였는데, 지금 와 보니 궤연(几筵, 혼백이나 신위를 모신 자리와 그에 딸린 물건들)을 철거하게 되어 만사가 끝나게 되었네. 애통해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오직 자네가 나를 허물하지 말고 와서 이 술잔을 들기를 바랄 뿐이네. 아, 슬프네. 부디 내가 올린 제물을 받아 그 기운이나마 즐기시게.”

 

<참고자료>

김창협, 『농암집』, <한국고전종합DB>

조동영, 「율곡학맥인물 – 이하조」, <율곡학 프로젝트>

이미실, 「삼수헌고 해제」, <한국고전종합DB>, 2011

김시민(金時敏)


김시민(金時敏)                                                              PDF Download

 

김시민(金時敏, 1681-1747)은 안동김씨 가문 출신으로 의빈부의 도사, 진산 군수 등을 역임한 조선시대의 관리다. 김창협(金昌協)과 김창흡(金昌翕)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시문이 뛰어났다. 나이 들어서까지 관직에 나가지 못한 자신의 처지와 사회적, 정치적 혼란 속에서 자신의 뜻을 마음껏 펴지 못한 울분을 시문에 의탁하여 많은 시를 썼다. 학문적으로는 스승들의 입장을 따라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취했으며 명나라 왕양명의 문장과 사상에도 깊은 공감을 표시하였다.

1681년(1세)
숙종 7년, 10월 12일에 김성후(金盛後)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은 호조 정랑(正郞)을 지냈으며, 모친은 임천(林川) 조씨(趙氏) 조원기(趙遠期)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도정(都正)을 지낸 김수일(金壽一)이다. 김시민은 2남 2녀중 장남으로 동생은 도사(都事)를 지낸 김시진(金時愼)이다.

김시민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사수(士修), 호는 동포(東圃), 동포거사(東圃居士), 초창(焦窓) 등을 사용하였다. 김시민의 집안은 소위 경화사족(京華士族) 안동김씨 가문으로 부친 김성후는 시를 잘 써서 이름을 날린 문인이다.

1694년(14세)
집안의 어른인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등에게 문장과 학문(성리학)을 배웠다. 이 때문에 그는 낙론계의 철학관을 수용하여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은 동일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성장해서는 홍세태(洪世泰), 이병연(李秉淵), 신정하(申靖夏) 등과 교류를 하였는데 김시민 역시 부친처럼 시를 잘 썼다. 특히 당송시대의 유풍이 담긴 고시를 잘 썼다.

그의 아들 김면행은 이렇게 회상한 적이 있다.

“(부친은) 시 짓는 것을 좋아하였다. 어려서부터 시문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것이 많아 우리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과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두 분 선조께서 자주 칭찬해주셨다. 만년에는 이사천(李槎川, 이병연李秉淵)과 나란히 쌍벽을 이루어 당대의 으뜸이 되어 마침내 나라 안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東圃集跋」)

 

1697년(17세)
해주최씨(海州崔氏) 최선(崔渲)의 딸과 결혼하였다.

1700년(20세)
이해 형을 따라 강화도에 가면서 「기행시도장(記行示道長)」을 지어 홍세태(洪世泰)에게 주었다.

1702년(22세)
최씨 부인상을 당하였다. 부인과는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하였다. 이후 창원 황씨(昌原黃氏)로 현감(縣監)을 지낸 황만(黃)의 딸을 다시 맞이하였으나 역시 자식을 두지 못하였다.

1704년(24세)
부친이 근무하고 있던 석성(石城)지방에 갔다가 병에 걸렸다. 이 때의 병으로 그는 학문적인 뜻을 접게 되었다. 아들 김면행은 부친이 시를 즐겨 쓸 수 밖에 없었던 사정을 이렇게 전했다.

“사람됨은 실로 자상하고 결백하며 인륜에 독실하였다. 또 일찍부터 사문(師門, 스승의 문하)에 들어가 옛사람들의 학문(유학)을 사모하였다. 비록 중간에 병에 걸려 그 뜻을 끝까지 추구하지는 못했지만 그런 와중에도 하루도 잊은 적이 없었으니, 어찌 일개 시인이 되는 것을 기꺼워하는 사람이었겠는가?(「東圃集跋」)”

 

1707년(27세)
이해 봄에 증조할아버지 김광욱이 행주 덕양산(德陽山) 지은 귀래정에 가서 「춘유귀래정기(春遊歸來亭記)」를 지었다. 이 문장은 당시 둘째 큰아버지의 생신을 축하하고 친척들과 놀았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1708년(28세)
스승 김창협이 사망하였다. 김창협은 성리학 연구에서 일가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런 김창협을 스승으로 모시고 배운 김시민은 학문적으로 어떤 성취를 이루었는가? 그 아들은 그 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부친(김시민)은 학문에 대해서는 그다지 공을 들이지 않았지만 그래도 간혹 훌륭한 문장이 있다. 예컨대 성(性)에 대해 논한 글 한 편으로 말하자면 학문이 심오하다고 이름난 자들도 혹 도리어 한 수 접어주는 바가 있었다. 단순히 고금의 시인들 가운데 보기 드문 사람이 되는 데 그치지 않았던 것이다. 이것이 어찌 터득한 바가 없으면서 그럴 수 있는 것이겠는가? 틀림없이 알아보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1713년(33세)

10월, 부친이 사망하였다. 부친상을 마치고 「제석감회(除夕感懷)」를 지었다. 한해가 저물 때 자신을 돌아보고 지은 시이다. 이후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1715년(35세)
김창흡에게 부친의 묘표를 부탁한 뒤에 그것을 받아 읽고 답서(「上三淵」)를 보냈다.

1717년(37세)
입양한 아들 김면행(金勉行, 1702∼1772)이 15세가 되어 관례(冠禮)를 행하였다. 김면행의 생부는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된 김시서(金時敍)이다. 김면행은 1755년에 을해정시문과(乙亥庭試文科)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벼슬은 참판(參判)에 이르렀다.

1722년(42세)
친척인 김창집(金昌集, 1648∼1722)이 경종의 시해를 도모했다는 죄로 처형되었다. 이로 인해서 그의 형 김창협을 스승으로 모신 김시민은 세속과 더욱 멀어져 은거하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지금 세상일은 어떤가? 종묘사직을 어이할까? …… 귀밑머리 늙을 때 아니지만, 세상의 큰 변화를 많이 보았다. 구구한 소원이 있다면 평생토록 다툼을 보지 않는 것. ”(「時事」)

 

1725년(45세)
영조가 즉위하였다. 다음해 11월 모친상을 당하였다.

이즈음 김도수(金道洙, 1699-1733)가 김시민을 방문하여 만난 뒤,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내가 김시민 공을 배알했더니 그분은 의분이 복받쳐 이렇게 말씀하셨다. ‘선비의 삶은 구차하지 않아야 하며 독서와 구도(求道)가 아니라면 어디에 마음을 쓰겠는가? 무릇 문장은 부득이하여 쓰는 것이고 즐겨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알아주는 사람이 적고 모르는 사람들이 많으니, 나의 문장을 읽고 나를 알아보지 못한다면 내가 또 어찌하겠는가?’ 그 말씀이 마치 슬픈 듯하였다. 공 집에는 작은 소나무 몇 그루가 있고, 노란 국화가 그 사이에 피어 있었다. 술잔을 들고 달을 바라보며 오로지 홀로 늙어가며 ‘도연명은 나를 알아주겠지’라고 하셨다.”(김도수 『춘주유고』, 김영주, 3쪽 재인용)

 

1732년(52세)
이해 여름에 주위 사람들의 추천으로 선공감(繕工監) 가감역이 되어 처음으로 벼슬을 하게 되었다. 10월에 선공감 감역으로 승진하였다.

이해에 「차남생학거운(次南生鶴擧韻)」을 지었다. 나이를 먹고 처음 벼슬을 하게 된 심정을 읊은 시이다.

1733년(53세)
3월, 사옹원의 주부가 되었다. 다음해 1월, 장례원의 사평에 임명되었다. 9월, 사직서 영, 종묘서 영 등에 임명되었다.

1735년(55세)
2월에 낭천(狼川) 현감(縣監)에 임명되었다. 다음해 병으로 사직하고 귀향하였다. 이 때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거사비(去思碑)를 세워서 그의 공적을 기념하였다.

김시민은 나이 들어서 그림을 수집하는 취미를 가졌다. 그러한 자신의 취미에 대해서 그는 다음과 같이 글을 썼다.(「一代六法序」)

“병중에 할 일이 없어 그림 수집에 마음을 붙였다. 모은 것이라고는 오직 지금 시대의 그림이고 옛 것은 모으지 않았다. 손님 중에 이를 이상하게 여겨서 묻는 자가 있었다. 그래서 내가 웃으며 답하였다. ‘내가 옛 그림을 수집하지 않고 지금의 그림만을 수집하는 것은 대개 특별한 뜻이 있고 또 의미가 있다네. 자네에게 들려줄까? 세상에 그림 수집벽이 있는 것으로 유명한 사람들은 대체로 지금의 것을 버려두고 옛 것을 쫓으며, 먼 시대의 것을 귀하게 여기고 가까운 시대의 것을 천시한다네. 심지어 해어진 비단조각에 그린 그림이나 떨어진 종이에 그린 그림, 불에 그을린 채색화나 좀먹은 묵화까지 천금의 값으로 머나먼 만리타국에서 사와서 수놓은 비단으로 표구를 하여 화첨이나 족자로 만들고는 사람들에게 과시하기를 이것은 당나라 때의 그림이다, 이것은 송나라 때의 그림이다, (중략)

그러나 오래 될수록 그리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그 참됨을 잃는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기에 허다히 미혹된다네. 지금 내가 소장한 그림은 위로는 선배, 어른, 중간은 동년배, 아래로는 후배나 천인 등으로 모두 나의 한 세대를 벗어나지 않지만 유명한 화가의 것들이지. 그 집에서 나온 그림을 얻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사람에게 청하여 그림을 그린 것이니 다시 참과 거짓이 서로 뒤섞일 염려가 있겠는가?’”

 

1739년(59세)

2월, 부인 황씨(黃氏)의 상을 당하였다. 3월, 사옹원 주부가 되다. 봄에 왕이 친히 농사짓는 과정을 묘사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친경가(親耕歌)」를 지었다. 7월, 장례원 사의에 임명되었다.

1740년(60세)
의빈부의 도사에 임명되었다가, 7월에 진산(珍山) 군수에 임명되었다.

1747년(67세)
3월 20일, 평소 앓던 천식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양주(楊州) 선영에 묻혔으며, 조정에서 이조 참의에 증직하였다.

1757년에 문집인 『동포집(東圃集)』(8권 4책)이 활자본으로 발간되었다. 아들 김면행의 부탁을 받은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이 편집을 하였는데, 실제 원고 중에 3분의 1정도는 삭제되어 발간되었다. 이병연은 김시민이 생전에 가깝게 교류하던 문인이다.

김시민의 시풍에 대해서 아들 김면행은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부친은 재능을 지니고 강직하게 살다가 결국 곤궁하게 노년을 보냈다. 세상에 쓰이지 않다 보니 유독 시에만 재능을 오롯이 쏟아 붓게 된 것이다. (중략) 그러다 보니 그 내용에 흥취가 넘치거나 호탕하고 분개하는 경향이 많았는데, 만년에는 더욱 정심(精深)하고 독실하며 경계가 진지하고 말이 핍절하여 혼연히 일가를 이루었다. 이런 이유로 공에 대해 논하는 세인(世人)들은 단지 그의 시가 경외할 만하다는 것만 알고 시보다 그 사람이 더 높이 쳐줄 만하다는 것은 알지 못하니, 그래서 나는 그가 종내 지우(知遇)를 받지 못한 데 대해 슬퍼하는 것이다.”(「東圃集跋」)

 

<참고자료>

김영진, 「김면행」,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김영주, 「동포 김시민의 문예관 연구」, 『동방한문학』44, 2010
안유경, 「율곡학맥 인물이야기 – 김시민」, <율곡학 프로젝트>
서인숙, 「동포집해제」, <한국고전 종합DB>, 2011

인조조 최고의 호조판서 이명


인조조 최고의 호조판서 이명

 

이명은 재정 운용에 탁월한 실력을 발휘하였다. <연려실기술>에 인조, 선조조 최고의 호조판서라는 평이 있다.

“공이 재정을 운용하는 것이 대개 국가에 이롭고 백성에게 편리하도록 힘썼다. 재화가 값이 천할 때에는 내보내고 귀할 때에 사들여서 그 남는 것을 저축하니, 관직에 있은 지 수년 만에 창고가 가득 찼다. 논하는 자가 말하기를, ‘선조ㆍ인조 이래로 나라 살림을 맡은 사람으로 이만한 사람이 없었다.’ 하였다.

 

이명(李溟, 1570-1648)은 효령대군의 7대손으로 자는 자연(子淵)이고 호는 구촌(龜村)이다.

 

광해군 초년에 이조정랑을 지내면서 이이첨(李爾瞻)이 세력을 모으는 것에 반대하였고, 1613년(광해군 5)에 김제남(金悌男)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보호하였으며, 이덕형(李德馨)을 두둔한 상소를 지었다고 지목받아 관작이 삭탈되었다. <연려실기술>에 기록이 있다.

“삼사(三司)에서 이덕형 베기를 청할 때에 부제학 이성(李惺)이 그 의논을 주장하였다. 공이 응교로 있으면서 원(院)에 들어가 말하기를, ‘이공이 무슨 죄이기에 곧 역적과 함께 같은 법으로 다스리려 하오.’ 하고, 소매를 떨치고 일어났다. 또 정온과 함께 이덕형을 구하는 소의 초고를 만들었더니, 간당들이 귀양 보내도록 청하였다.”

 

이듬해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전라도관찰사에 특진되었으며,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에 인조의 공주 몽진을 도왔다.

 

이명은 정파로 북인에 속했고 반정의 주체는 서인이었다. 그럼에도 <연려실기술>의 기록을 보면 이명이 은밀하게 반정에 동조했음을 알려준다.

“공이 황해 감사로 있을 때, 이귀가 은밀히 반정할 계획으로 공에게 의논하였는데, 공은 거짓 취한 체하며 답하지 않고 작별할 때에 칼 한 자루를 선사하였다.”

이귀가 반정할 계획을 발설했다는 것은 반정에 동조할 여지가 있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일 터인데, 필시 이명이 김제남(金悌男)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보호하고 이덕형(李德馨)을 두둔한 상소를 지어 관직을 삭탈당한 것을 고려했을 것이다. 이귀의 계획을 듣고 거짓 체한 체했다는 것은 정파가 북인이라는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칼 한 자루를 선사했다는 것은 반정을 지지한다는 의미로 보인다.

1623년의 인조반정 때는 황해도 관찰사로 있었는데, 반정 후에 탈출을 기도한 폐세자(廢世子)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를 가지고 있어 서울로 압송되어 심문받았으나 혐의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처음에 이이첨과 결탁하였고 뒤에는 유희분(柳希奮)에게 의지하였다는 죄목으로 관작을 삭탈 당했다.

 

이명이 이이첨과 결탁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연려실기술>에 실려 있다.

“일찍이 어사로 용만(龍灣)에 갔는데, 부윤 이이첨이 날마다 공에게 문후하며 매우 친근하게 하였다. 공이 사람에게 말하기를, ‘소인이구나. 반드시 나라를 그르칠 자다.’ 하였는데, 이첨이 듣고 감정을 품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경기도관찰사로서 전란 수습에 공을 세웠고, 그 뒤 평안도 관찰사로 나가 국경방비를 강화하였다. 그 뒤 여러 곳의 관찰사를 거쳐 호조·병조·형조의 참판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뒤에는 다시 호조·형조의 판서를 역임하면서 전란 후 고갈된 재정을 잘 수습하였다.

 

국자의 재정을 담당하는 자로서 이명이 진심진력하여 좋은 성과를 냈음을 보여주는 <연려실기술>의 기록이 있다.

“병자년 난리 후에 호조 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때는 큰 난리가 겨우 진정된 때였기 때문에 국고에 남은 저축이 없었다. 공이 시장의 매매를 조절하고 잡비를 아껴 방납(防納)을 금지하고 호조 안의 모든 일과 전곡의 출입을 정밀히 정비하여 금, 은, 포목 등을 그 좋고 나쁜 데 따라 나누어 세 가지 등급으로 구별하였다. 일찍이 별도로 누만(累萬)을 저축하여 두고 함부로 쓰지 못하게 하였다. 들어가 임금에게 아뢰기를, ‘국가에 급한 일이 생기면 이것을 믿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전하께서도 가볍게 쓰지 마셔야 합니다.’ 하였다. 세자와 대군이 심양에 인질로 가 있으므로 본국에서 달마다 공급하는 것이 있고, 심양의 사신이 자주 왕래하면서 백 가지로 물건을 요청하는데도 호조에서 여유 있게 수응하여 부족함이 없고, 백성들에게 긁어내지 않았다. 임금이 기뻐하여 이르기를, ‘호조에 사람을 얻었으니 백성이 그 은혜를 입는다.’ 하고, 특별히 명하여 가자하였다. 심양에 바치는 세공미가 만 석인데 공이 말하기를, ‘이 부담이 그대로 가면, 나라가 반드시 피폐할 것이다.’ 하고, 계책을 세워 사신을 보내니, 9천 석의 감면을 얻었다.”

난리가 막 끝난 후라 국가의 재정이 결핍한 상태에서 심양에 인질로 가 있는 세자와 대군의 재용을 충당하는 일과 청나라에 바치는 공물을 대는 것이 여간 쉽지 않았을 텐데 이명이 호조 판서가 되어 잘 처리했기에 인조가 “호조에 사람을 얻었으니 백성이 그 은혜를 입는다” 하고 칭찬을 한 것이다.

 

이명이 이처럼 호조의 재정을 잘 처리하는 데에는 용의주도한 일처리가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연려실기술>에 일화가 나온다.

“청나라 장수로서, 우리나라에 관한 일을 맡은 자가 일찍이 일본의 보검을 구하므로, 민간에서 찾아 얻었더니 매우 좋은 칼이 있었다. 공이 이 칼을 받아 감추고, 낭관들을 시켜 다시 다른 칼을 구하게 하였더니, 다시 칼 한 자루를 구하여 올렸다. 공이 말하기를, ‘비록 처음 칼만을 못하지만 또한 쓸 만하다.’ 하고, 그것을 청장에게 주었다. 얼마 뒤에 청국 황제가 그 장수의 칼을 보고 다시 구하였는데, 공이 즉시 감추어 두었던 것을 내어주며 낭관에게 말하기를, ‘그때 내가 이미 이럴 것을 예측하고 있었다.’ 하니, 듣는 자가 탄복하였다.”

이명이 이처럼 주도면밀하게 일처리를 했기 때문에 호조의 직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것이다.

“원두표(元斗杓)가 일찍 공을 비방하였는데 공을 대신하여 호조에 들어가게 되자 부중(府中)에서 조치하여 놓은 일을 보고 크게 탄복하여 말하기를, ‘사람의 재주가 이 같을 수 있는가? 나는 공의 규모를 지키기만 하면 족할 것이다. 무엇 때문에 시끄럽게 새로 고치랴.’ 하였다.”

심지어는 이명을 비방했던 이조차 그의 일처리에는 탄복을 했다니 인조, 선조 시대 최고의 호조판서라는 평은 헛말이 아닌 성 싶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신국, 정파를 넘어 오직 실력으로


김신국, 정파를 넘어 오직 실력으로

 

김신국은 정파적으로 북인에 속한다. 광해조는 북인들이 득세하였지만 서인이 주축이 되어 인조반정을 일으킨 후 북인들은 실세했다. 김신국은 북인임에도 불구하고 인조조에서도 여전히 중책을 맡았다. 인조가 그의 탁월한 경세 능력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김신국은 북인이 대북과 소북으로 분립되자 남이공(南以恭)과 함께 소북의 영수로서 활약했다. 그는 광해군대의 정국 최대 이슈였던 인목대비의 폐모론(廢母論)에는 적극 찬성을 하지 않았으나, 폐모를 논의하는 회의에 참여함으로써 인조반정 이후 일시 유배되기도 했다. 이는 이후 인조 시대에 녹을 먹는 내내 괴롭혔다. <연려실기술>에 기록이 있다.

“갑자년에 김신국(金藎國)이 도승지가 되었다. 유백증(兪伯曾)이 신국은 전에 폐모(廢母)시키자는 정청의 계사(啓辭)를 지었다고 하여 탄핵하고자 하였다. 이에 여러 재상 중에 서너 명이 모두 일찍이 정청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서로 잇달아 도승지의 처지가 되어 모두 인책하고 나오지 않으니, 온 조정이 소란스러웠다.”

김신국은 광해군 11년(1619) 호조판서를 제수 받아 인조반정 때까지 역임했으며, 인조반정 이후에도 광해군대의 실무 능력을 인정받아 평안도 관찰사, 호조판서 등을 지냈다. 정권의 성격이 전혀 다른 광해군과 인조 양대에 걸쳐 6번이나 호조판서를 맡았던 것은 그만큼 김신국이 실무에 능했던 관료임을 증거하고 있다.

 

김신국이 재기 있는 선비임을 보여주는 일화가 <연려실기술>에 있다. 기지를 발휘하여 위급한 상황을 헤쳐 나가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임진왜란에 영남에서 충주(忠州)에 달려 이르렀는데, 길이 막혀 앞으로 나갈 수가 없었다. 아우가 왜적을 만나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어 격문을 초하여 의병 천여 명을 모집하여 적을 죽이고 잡은 수가 매우 많았다. 조정에서 듣고 멀리서 참봉을 제수하였다. 모부인이 여주(驪州)로 피난하였다는 말을 듣고 행장을 재촉하여 근친(覲親)하려 하였다. 여러 사람이 모두 놀라서 말하기를, ‘가는 데는 반드시 적진을 지날 것이니, 경솔히 갈 수가 없습니다.’ 하였다. 공이 웃으며 말하기를, ‘내게 한 꾀가 있다.’ 하고, 군사 수십 명을 시켜 흰 깃발을 가지고 따르게 하고, 공은 남여를 타고 의관을 바르게 하고 천천히 길을 가며 기세가 태연하니, 적병이 바라보고 의아하게 여겨 감히 가까이 오지 못하였다.”

김신국이 실무에 비범한 능력을 가진 인물임을 여러 유현들의 평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계사년에 도원수 권율이 종사관으로 불러서 같이 일하면서 탄복하여, ‘참으로 세상을 경영하고 백성을 구제할 재주가 있다.’ 하였다. 을미년에 훈국(訓局)을 처음 설치하였는데, 도감 제조(都監制調) 이덕형이 아뢰기를, ‘김신국은 나이가 젊은데 재간과 국량이 있고 군사(軍事)에 뜻이 있습니다.’ 하고, 군색랑(軍色郞)으로 불러 썼다.”

김신국은 경세능력 중에서 북방과 경제 방면에 탁월한 능력을 갖추었다.

국방에 대한 김신국의 탁월한 능력은 1613년(광해군 5) 평안도관찰사를 맡으면서 정책으로 현실화된다. 그는 후금이 필시 침략할 것을 예견하고 미리 준비하는 계책으로서 진관을 설치하고(置鎭管), 조련을 밝게 하고(明操鍊), 군율을 엄히 하고(嚴軍律), 사기를 장려하고(勵士氣), 상 주기를 중시하고(重賞頒), 기계를 수선하고(繕器械), 전마를 공급하는(給戰馬) 7가지의 방안을 제시했다. 김신국은 광해군대에 변방의 임무에 밝은 인물이 등용되는 비변사 당상(堂上)에 강홍립(姜弘立) 등과 함께 추천되었으며, 1623년의 인조반정 이후에도 평안도관찰사에 즉각 기용되는데, 이것은 정권 교체와 상관없이 그가 국방에 대한 실무능력을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1638년에는 판중추부사로 인조의 명을 받아 강화도의 형세에 대해 보고한 후 바로 강화유수를 제수 받았다. 김신국은 강화도가 천혜의 요새임을 강조하고, 남한산성이 방어처로서 부적절함을 지적하였다. 김시양이 병자호란 후 남한산성이 조선의 보배라고 한 데 대하여, 김신국은 나라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남한산성 때문이라면서, 병자호란 당시 군권을 장악했던 김류(金瑬), 김자점(金自點) 등의 산성(山城) 중심의 방어책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연려실기술>에 김신국이 김시양과 나눈 대화가 실려 있다.

“병자년 난이 지난 뒤, 김시양이 공을 보고 말하기를, ‘나라에 남한산성이 있어 그것을 힘입어 망하지 않았으니, 남한산성은 보배라 할 것이다.’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그대도 또한 이런 말을 하오. 나라에 남한산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 지경에 이른 것이오.’ 하니, 시양이 그 말에 매우 감복하였다.”

경제 방면으로 말하자면 김신국은 1619년부터 1623년의 인조반정까지 4년간 호조판서로 있으면서, 국부(國富) 증대 정책을 추진하는 핵심에 있었다. 김신국은 호조판서로 임명된 직후 ‘식화(食貨)는 왕정이 먼저 할 바이며 축적(蓄積)은 생민의 대명(大命)’이라는 인식하에 은광 개발과 주전(鑄錢)의 통용을 건의하였다.

김신국은 1625년(인조 3)에 김신국은 다시 호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가 다시 발탁된 데에는 광해군 후반 정치적으로는 큰 혼란이 있었지만 경제정책은 안정성을 유지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김신국은 그해 국용을 절제하고(制國用), 전폐를 주조하여 유통시키며(行錢幣), 바다의 이익을 거두는(收海利) 세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김신국은 양입위출(量入爲出: 구입액을 고려하여 비용을 절약함)의 철저한 이행과 서리(胥吏)들의 이익추구 방지가 국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기본임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폐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후 숙종대에 이르러 상평통보가 전국에 널리 유통되는데, 이러한 유통의 기반에 김신국과 같은 선구적인 관료가 있었다.

김신국은 양란 이후 사회 재정비의 방향을 농업경제보다는 상공업 중시 쪽으로 설정, 국부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경제정책은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혁조치를 취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김신국은 이처럼 탁월한 경세능력을 소유한 인물로 정파를 추월하여 중용되었다. 그가 이처럼 중용된 데에는 그의 탁월한 경세능력을 인정했기 때문인데, 이 능력이 현실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동력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지지와 헌신을 이끌어내야 한다. 김신국은 이 능력 또한 탁월한 것으로 보인다. <연려실기술>에 일화가 나온다.

“호조 판서 때에 중국 조정에 은을 올리는 일이 있었는데, 공이 그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 관원에게 맡기지 않고, 손수 봉하는 것을 감독하였다. 어떤 산원(算員) 한 사람이 곁에 있다가 공이 잠깐 다른 데를 보는 틈을 타서 은 한 덩어리를 몰래 훔쳐 가지고 곧 일어나 나가서, 용변하는 것처럼 꾸미고 몰래 다른 곳에 두고 돌아왔다. 사람들은 알지 못하여도 공 혼자만 알았으나 짐짓 모르는 체하고, 즉시 모두 자리 파하기를 명하며, ‘산증(疝症)이 일어나려 하므로 오래 앉아 있을 수 없다.’ 하면서 한쪽 방에 은을 보관하도록 하고, 그 산원을 시켜 지키게 하였다. 다음날을 기다려 문을 열고 은을 봉함하는데, 과연 은이 축난 것이 없었다. 공이 그 죄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가 십여 일 뒤에 다른 작은 일을 가지고 그 직책을 갈았는데, 사람들이 그 아량에 감복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일을 잘하려는 의욕이 앞서면 아랫사람을 독려하는 게 지나쳐서 좋은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랫사람들의 자발적인 헌신을 유도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안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김신국은 이를 몸소 잘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김신국(金藎國)-당쟁을 초월해 실무능력을 인정받은 국방, 경제 전문가

 

 

천민 출신의 충무공 정충신


천민 출신의 충무공 정충신

 

이순신 장군의 시호가 충무공이다. 무신이기에 무(武) 자에 충(忠)을 붙였다. 이황은 시호가 문순공인데 문인이기에 문(文) 자에 순(純)을 붙였다.

충무공 시호는 이순신 장군 외에도 또 있는데 정충신 장군도 시호가 충무공이다.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은 천민 출신이다.

정충신의 인생에는 중요한 두 인물이 등장한다. 권율 장군과 이항복이다. 이항복은 권율의 사위다.

정충신은 광주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어머니가 미천한 신분이었기에 정충신 또한 천민으로 태어났다. 정충신은 성장한 뒤에 당시 광주 목사로 재직하던 권율의 휘하로 들어가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으로 부(府)에 예속된 지인(知印: 通引)을 겸하였다. 행동거지가 민첩하고 야무졌기에 권율의 신임을 받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 목사 권율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 이 때 권율이 장계를 행재소에 전달할 사람을 모집했으나 응하는 사람이 없었는데, 17세의 어린 그가 가기를 자청하고는 왜군으로 가득한 길을 단신으로 뚫고 행재소에 도착하였다. <연려실기술>에 기록이 나오는데, 아울러 정충신의 기상을 보여주는 일화도 소개하고 있다.

“정충신은 자는 가행(可行)이며, 본관은 광주(光州)이고, 고려 병장 정지(鄭地)의 후손이다. 미천한 집에 태어나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겸하여 부(府)에 예속된 지인(知印 통인)이었다. 일찍이 절도영에 사역되어 불려갔는데, 늙은 기생의 집에 유숙하였다. 기생이 절도영 잔치에서 남은 음식을 먹으라고 주었는데, 공이 물리쳐 먹지 않고 말하기를 ‘대장부가 마땅히 절도사가 되었으면, 자신이 먹다 남은 음식으로 남에게 먹일지언정 어찌 남이 먹다 남은 음식을 먹는단 말인가.’ 하니, 그 뜻과 기운 높음이 이러하였다. 임진년에 목사 권율(權慄)이 행재소에 장계를 전달할 만한 사람을 모집하였는데, 응하는 사람이 없었다. 공이 분연히 가기를 청하니, 그때 나이가 17세였다. 적병이 길에 가득 찼는데, 공이 단신으로 칼을 짚고 행재소에 도착하였다.”

당시 권율의 장계를 의주에 파천한 선조에게 올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광주에서 북쪽 끝 의주까지 가려면 왜군이 깔려 있는 적진을 뚫어야 해서 이 어려운 임무를 아무도 맡아서 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때 정충신이 자원해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선조에게 직접 면천을 받아 양인 신분이 될 수 있었다.

 

당시 행재소에 이항복이 있었는데 정충신을 가르치고 자식처럼 아꼈다. <연려실기술>에 적힌 내용이다.

“이항복이 말하기를, ‘이 아이는 멀리서 와서 몸 둘 곳이 없으니, 내게 머무르게 하겠다.’ 하였다. 이내 사서(史書)를 가르쳤는데, 공이 재주가 뛰어나 문리가 날로 진보되니, 항복이 아들처럼 사랑하였다. 가을에 행재소에서 시행한 무과에 올랐다. 임금이 항복에게 이르기를, ‘경이 일찍 정충신의 재주를 말했었는데, 이제 과거에 합격했으니 데리고 와서 나를 보게 하라.’ 하였다. 들어가 뵈니, 임금이 칭찬하며 이르기를, ‘나이가 아직 어리니, 좀 자라면 크게 쓰리라.’ 하였다.”

 

정충신이 비록 천민 출신이지만 남다른 재질이 있었다. <연려실기술>에 이를 적었다.

“공은 키와 몸이 작았으나 눈이 샛별 같고, 얼굴이 아름다우며 말솜씨가 있고, 기상이 좋아 영특하였다. 활발하고 의기가 있고 일을 잘 헤아려서 미리 맞히는 것이 많았다.”

광해군은 후금이 날로 성장해 명나라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 중립 외교를 펼치고자 하였고 북방을 지키는 장수들이 이 명령을 충실히 이행하였다. 정충신은 만포 첨사로 광해군을 이 정책을 충실히 수행했다.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던 정충신은 인조 정권이 집권한 이후 한직으로 밀려났다.

정충신이 다시 중용되는 계기는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우면서다. 그런데 정충신과 이괄은 평소 형제처럼 친한 사이였다. 그로 인해 곤란을 겪게 된다. <연려실기술>에 이러한 상황을 기록해 두었다.

“김시양이 언젠가 조용히 묻기를, ‘공이 이괄이 반란한 것을 듣고 성을 버리고 달아난 것은 무슨 까닭이오.’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나와 이괄의 친분이 형제와 같은 것은 나라 사람이 모두 아는 것이오. 또한 문회(文晦) 등에 의해 고발되었던 것은 다행히 임금의 은혜를 입어, 잡혀 문초당하는 것을 면할 수 있었소. 그리고 이괄이 모반할 때, 내가 영변(寧邊) 근방에 있었으니, 만약 사람들이 의심하게 된다면 나의 본심을 천하에 분명히 밝히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성을 버리고 도망 나와 내 본심을 밝혀서 사람들이 절로 믿도록 한 것이었소.’ 하였다.”

이괄과의 친분으로 고초를 겪은 정충신은 남이흥과 함께 황주에서 기세등등한 반란군을 막아내었으나 패배하였다. 다시 도원수 장만의 휘하로 들어간 정충신은 안현에 주둔할 것을 청하여 2천 명의 관군이 안현 위로 올라가 주둔했다. 공격해 오는 반군과 한바탕 싸움을 벌여 승리를 거둔다. 안현 전투의 패배로 타격을 입은 반란군은 곧 내분으로 자멸했다. 정충신은 이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後金: 淸)에 대한 세폐의 증가에 반대,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게 되었는데 김시양(金時讓)과 함께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이후 다시 장연으로 이배되었다가 곧 풀려 나와 이듬해 포도대장·경상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정충수는 병자년에 죽었는데, 그가 죽은 후 겨울에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정충수는 병중에도 청이 공격할 것을 걱정했다. <연려실기술>에 기록된 내용이다.

“병자년 봄에 왜구가 온다고 말이 와전되었는데, 공이 말하기를, ‘왜인은 불러도 오지 않을 것이요, 나라의 큰 근심은 곧 북녘 오랑캐다.’ 하였다. 조정에서 오랑캐에게 사신을 보내어 국교를 단절하자는 의논이 있었는데, 공이 이때에 병으로 앓아누웠다가 이 말을 듣고 심히 탄식하여 말하기를, ‘나라의 존망이 이해에 결정된다.’ 하였는데, 이해 12월에 오랑캐가 과연 크게 쳐들어왔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인조가 특별히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연려실기술>에 인조의 각별한 정을 적어두었다.

“병자년 여름에 병이 심하였는데, 임금이 의관에게 명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달마다 먹을 것을 내려주었다. 의관의 말이, ‘마땅히 인삼 두어 근을 써야 하겠다.’고 하면서도 임금에게 청하기를 어렵게 여겼는데 임금이 이르기를, ‘이 사람을 고칠 수 있다면 국력을 다 소비하더라도 아깝지 않은데, 하물며 몇 근의 인삼이겠는냐.’ 하였다. 죽은 뒤에 내시에게 명하여 호상하게 하고, 어포(御袍)를 주어 수의(襚衣)로 하게 하고 관청에서 예로써 장사하게 하였다.”

정충신은 키가 작으면서도 씩씩했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으며, 민간에 많은 전설을 남겼다. 병자호란을 전후하여 민간에 많은 전설을 남긴 임경업은 정충신의 휘하에 있던 장수였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장유, 반정의 포고문을 짓다


장유, 반정의 포고문을 짓다

 

장유가 애초에는 반정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 같다. 이귀와 나눈 대화가 <연려실기술>에 나온다.

“이귀가 당시 일에 강개하여 반정할 뜻을 오래 전부터 지니고 있으면서도 일으키지는 못하였다. ……장유가 듣고 사림(士林)의 화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이귀에게 빨리 시골로 돌아가기를 청하니 이귀는 대의(大義)를 들어 그를 꾸짖었다.”

이귀의 설득이 주효했는지 모르지만 장유도 반정에 힘을 보태어 후에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특히 장유와 그의 아우 장신이 훈련대장 이흥립을 반정에 가담시키는데 상당한 기여를 했다. <연려실기술>에 적힌 내용이다.

“인조가 수백금을 내어 심기원의 무리들로 하여금 의사(義士)들을 모집하여 결탁하게 하였으나 힘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때에 훈련대장 이흥립(李興立)이 많은 군사를 거느리고 대궐 안에 있는 것을 여러 사람이 걱정하였다. 이귀는 본래 흥립과 한 마을에서 살면서 서로 아는 사이였는데 뜻을 통하여 결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흥립(興立)이 박승종(朴承宗)과 사돈이 되었으므로 흥립의 첩 딸을 승종의 첩 아들과 짝지었다. 말하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마침내 장유(張維)와 상의하여 아우 장신(張紳)을 시켜 흥립에게 함께 일할 것을 말하게 하여 승낙을 얻었는데 장신은 바로 흥립의 사위이다. 드디어 장유의 집에서 모이기로 약속하여 흥립의 편지를 장단 부사 이서와 이천 부사(伊川府使) 이중로(李重老)에게 전하고 거사할 날을 약속하였다.”

“이때에 훈련대장 이흥립(李興立)은 조정 안에서 중한 명망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여러 사람이 걱정하여 그 사위 장신(張紳)을 시켜 설득하게 하였더니, 이흥립이 말하기를, ‘이귀도 함께 공모하였는가?’ 하므로 장신이 그렇다고 하니 흥립이 말하기를, ‘그러면 이 의거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하고 드디어 허락하였다. 장유(張維)가 이귀에게 회답하여 알리니 이귀가 크게 기뻐하여 일어나 절하며 사례하였다. 드디어 흥립을 시켜 손수 글을 써서 장단(長湍)에 보내어 군사를 일으키기로 약속하고 이흥립이 안에서 호응하기로 하였다.”

장유(張維, 1587-1638)가 누구인가? 김상헌의 형인 김상용(金尙容)의 사위로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이다. 또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아 이정구(李廷龜)·신흠(申欽)·이식 등과 더불어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라는 칭호를 받은 이다.

 

<연려실기술>에 장유 본인이 자신의 문장을 평한 내용이 나온다.

“나면서 남달리 뛰어났으며, 어려서 맏형을 따랐는데, 그의 배우는 것을 곁에서 듣고 빨리 기억하였다. 윤월정(尹月汀)에게 《한사(漢史)》를 배웠으며, 사계(沙溪)에게 《예기》를 배웠다. 열 살에 두 경의 정문(正文)을 다 외웠으며, 12, 3세에 《소미통감》을 다 읽고 또 능히 외었다. 16세 때에 창려문(昌黎文)을 받아서 읽고 문득 고문의 법도를 알았다. 19세에 한성시(漢城試)에 장원하였고, 20세에 진사가 되고 23세에 과거에 올랐다. 글을 짓는 것이 한유(韓愈)의 짓는 법을 따라 진부한 말들은 쓰지 않았다. 선배들의 명작을 보고서도 뜻에 차지 않는 것이 많았다. 얼마 후에 임자년의 화를 만나 벼슬을 그만두고 한가하게 있게 되어 마침내 문장에 힘을 썼다. 다만 병이 많았으므로 부지런히 글을 읽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30세 때에 문체가 대략 성취되었다. 일찍이 스스로 평가하여 말하기를, “나의 작품 중에 사부 6, 7편은 마땅히 고려조의 이문순(李文順)과 나란히 할 것이며, 고문 수십 편은 중국에는 감히 내놓을 수 있으나 《동문선》에 끼우는 것은 탐탁하게 여기지 아니한다. 다만 시는 본래 늦게 배웠기 때문에 끝까지 소가(小家)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후인이 품위(品位)를 매길 때에는 우리나라 어느 분들 사이에 끼워 줄런지 알지 못하겠구나.” 하였다.”

문장에 대한 자부가 느껴진다. 그러나 문장만 탁월한 것이 아니라 성덕지사(成德之士)의 인품 또한 숨길 수 없을 것 같다. <연려실기술>에 기록된 내용이다.

“백사가 일찍이 말하기를, ‘장유의 문장과 덕행은 비록 공자 문하에 둔다 하여도 안연이나 민자건에게 손색이 없을 것이다.’ 하였다. 약관에 음부경(陰符經)을 주해하였는데, 독특한 의견이 많이 있었다.”

“정태화(鄭太和)가 일찍이 말하기를, ‘반정 훈신 중에 인망 있는 이가 많았으나 그 후의 처신과 마음가짐을 보면, 당초에 털끝만큼도 부귀에 마음을 두지 않고 순전히 종묘사직을 위하는 마음으로 거사를 한 사람은 또한 몇 사람에 불과하니, 지천(遲川, 최명길), 계곡(谿谷, 장유)와 함릉(咸陵), 李澥) 몇 사람이 그러한 이들이다.’ 하였다.”

 

반정이 성공한 후에는 폐정을 혁파하고 대사면령을 내려 민심을 위무하는 순서를 밟게 된다. 장유가 명을 받아 작성한 대사면 포고문이 <연려실기술>에 실려 있다.

“임금이 즉위하여 중외(中外)에 크게 사면하는 교서를 내렸다. 교서의 대략에, ‘생각건대, 우리나라는 열성(列聖)이 서로 계승하여 가법(家法)이 매우 올바르니, 인(仁)으로 다스리고 효(孝)로써 도리를 삼았다. 그러나 하늘이 돌보지 않아 드디어 나쁜 운수를 만났으므로 십 수 년 동안 적신 이첨이 임금의 마음을 어지럽게 하고 국권을 도적질하더니, 마침내는 모자지간을 이간하여 끝내 인륜의 변을 일으켜서 대비를 별궁에 유폐시키고 갖가지 모욕을 주었으며, 대비의 목숨이 경각간에 달려 있었다. 이에 삼강(三綱)이 비로 쓴 듯 없어졌으니 어찌 차마 말할 수 있으랴. 사치와 욕심이 도를 넘고 정치와 형벌이 문란하여 백성의 원망과 하늘의 노함이 극도에 이르러 밖으로 무너지고 안으로 다투어 나라를 망치고 제사를 끊기에 충분하였으니 이것은 오히려 작은 일이다. 모두 대비의 말씀에 갖추어 있으므로 덧붙일 필요도 없는 것이다. 내가 박덕한 몸으로 선왕의 훈계를 받들어 삼가 집을 지켜 목숨을 마치려 하였더니, 다행히 2, 3명의 충의로운 신하가 종묘사직이 위태롭게 된 것을 민망히 여기고 인륜이 끊어짐을 두려워하여, 대의(大義)를 분발해서 내란을 평정하고 이미 대비를 복위시키는 한편 이내 나를 추대하기를 원하니, 내가 아래로 여러 사람의 생각에 몰리고 위로 대비의 뜻을 받들었노라. 이에 깊은 못이나 골짜기에 빠진 듯 두렵도다. 내 어찌 감당할까 생각하니, 즉위한 시초에 반드시 다시 새로운 교화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무신년 이래 모함으로 옥에 갇힌 사람과 연좌된 사람과 국사를 논하다가 벌을 받은 자는 모두 그 죄를 씻어주라. 동시에 모든 건축 토목을 일으키던 역사와 조도사(調度使)라는 명목의 관리들이 거두고 빼앗던 것을 일체 개혁하고, 그 밖에 백성을 침노하고 나라를 병들게 한 외척과 권세부린 자들 소유의 농장 중 세금을 줄여주고 부역을 면제하였던 사실을 함께 조사하여 타파하며, 내수사(內需司)와 대군방(大君房)에서 백성에게 빼앗은 전답을 일일이 돌려주도록 한다. 또 금년 3월 13일 새벽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 죄를 지은 잡범(雜犯)으로서 사죄(死罪) 이하는 모두 용서한다. 이로써 정치를 새롭게 하는 뜻을 보이노라.’ 하였다. 계곡(谿溪谷) 장유(張維)가 지어 올렸다.”

새로운 왕이 등극했으니 새로운 정치를 펼치겠다는 것이다. 광해조의 폐정을 혁파하고 대사면을 조선팔도에 포고한다. 이는 민심을 안정시키고 국정의 동력을 확보하려는 당연한 조치다. 이 중대한 포고문을 장유가 명을 받들어 썼으니 그의 문장과 경륜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아울러 인륜을 저버린 불효를 바로잡는 것을 반정의 첫 번째 명분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