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의 덕

현종의 덕.

 

종조는 예송의 시대였다. 예송이 치열해지면서 당쟁도 치열해졌다. 현종조는 예송으로 시작해서 예송으로 마쳤다는 말은 당쟁의 그늘 아래에서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못한 무능한 왕 현종 이미지를 만들었다.

현종이 혁혁한 공을 세우지 못한 왕이라는 박한 평가를 피하기는 어렵다. 역대 왕들의 재위 기간에 비하면 15년 재위 기간은 결코 긴 시간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짧지만도 않다. 업적을 이룰 시간이 있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34세 세상을 떠난 왕이라고 한다면 큰일을 해내기에는 역시 명운이 박하다.

현종은 과연 어떤 왕이었을까? <연려실기술>에 실린 현종의 면모를 보여주는 일화를 중심으로 소개하겠다.

<공사기문>과 현종의 <행장>과 <지문誌文>에 실린 이야기다.

“(현종이) 어렸을 때에 대궐 문 밖에 나갔다가 한 군졸의 모양이 여위고 검은 것을 보고 내시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 아뢰기를, ‘병들고 춥고 주린 사람입니다.’ 하였더니 임금이 가엾게 여겨서 옷을 주고 또 밥도 주게 하였다.”

“(현종이) 원손(元孫)이 되었을 때에 항상 여염집에 나가 있었다. 이웃에서 큰 소리로 떠드는 자가 있어 시종하는 자가 쉬쉬하면서 금지시키면 현종이 말리며 말하기를, ‘사람이 제 집에 있으면서 어찌 소리를 안 낼 수 있느냐. 마음대로 하게하고 괴롭히지 말라.’ 하였다. 한 번은 표범의 가죽을 바친 사람이 있었는데 품질이 좋지 못하여 인조가 물리치려 하였다. 이때 현종이 곁에 있다가 말하기를, ‘표범을 잡느라고 많은 사람이 상하였을 것입니다.’ 하니, 인조가 그 마음을 가상히 여기면서 물리치지 말라고 하였다.”

“효종조에 새끼 곰을 바친 사람이 있었다. 기른 지 1년이 지나자 사람이 다루기에 점점 처음과 같지 않았다. 내시가 아뢰기를, ‘오래되면 반드시 우환이 되겠습니다.’ 하고, 죽이기를 청하자 효종이 허락하려 했다. 현종이 세자로서 나아가 아뢰기를, ‘곰이 사람을 해치는 동물이라 하지만 아직은 그 해를 받은 이가 없는데 지금 만일 앞날의 일을 염려하여 미리 죽인다면 인애하는 마음이 아닐 줄 아옵니다. 마땅히 깊은 산에 놓아 주어야 할 것입니다.’ 하였다. 효종이 듣고서 크게 기뻐하며, ‘네가 임금이 되어서는 시기와 의심 때문에 죽음을 당할 사람은 없겠다. 너의 신하가 되는 사람은 복 많은 사람들일 것이다.’ 하였다.”

효종이 ‘네가 임금이 되어서는 시기와 의심 때문에 죽음을 당할 사람은 없겠다. 너의 신하가 되는 사람은 복 많은 사람들일 것이다.’ 말처럼 현종이 그러한 정사를 펼쳤는지는 따져봐야겠지만 현종이 보여준 인애의 마음은 틀림없다.

현종과 그 보모 이야기가 있다. 내용은 이렇다.

“조(曺)씨 성을 가진 상궁은 광해군의 후궁 허씨의 시비였다. 계해년에 인조가 불러다 궁중에 두었는데 항상 마음에 불평을 품었다.”

조씨 성의 상궁은 왜 마음에 불평을 품었는가? 당연히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몰락했으니 후궁 허씨의 처지를 굳이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인조가 그 시비를 궁중에 두었으니 그 상궁이 마음에 불평을 품어도 이상하지 않다.

“현종이 탄생하자 보모의 소임을 맡았다. 현종이 5, 6세 때에 불을 가지고 장난을 치자 그가 홀로 곁에 있다가 ‘저의 조부가 불로써 나라를 얻었으니 저도 배우려 하는 것인가.’ 하였다.”

조씨가 불평을 가진 이유가 여기서 드러난다.

“현종이 아무 말도 없이 기억해 두고 일찍 그런 낌새를 말이나 안색에 보이지 않고 있다가 왕위에 오른 다음 조를 불러 뜰아래 엎드리게 하고 ‘네가 아무 해의 일을 기억하느냐. 그때에 내가 위에 사뢸 줄을 모른 것이 아니지만, 네가 나를 보호 양육한 공이 있기 때문에 차마 중한 형벌을 받게 할 수 없어서 참고 오늘에 이른 것이다.’ 하고 여관(女官)의 고신을 빼앗고 사가에 내쫓았다.”

5-6세 때에 들은 말을 기억해 두었다는 것은 현종이 상궁의 말을 범용치 않게 들었기 때문이다. ‘저의 조부가 불로써 나라를 얻었으니 저도 배우려 하는 것인가.’ 짧지만 대역죄에 해당할 수 있는 말이다. 5-6세라면 아주 어린 나이임에 틀림없다. 상궁이 이 말을 할 때 필시 무심결에 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십여 년이 지난 후 어제 일처럼 말하는 것을 보면 현종의 지엄한 성격이 보인다.

“임금은 그래도 그의 공로를 생각하여 죽을 때까지 먹을 것을 내려주었다. 허씨는 곧 유수(留守) 허잠(許潛)의 손녀이다. 허씨는 광해군이 왕위에서 물러난 뒤에 궁중에서 나가 사가에 있었는데, 옛 정의를 잊지 아니하고 때 따라서 의복과 음식을 보내어, 죽을 때까지 변함이 없었다.”

무심결에 실언한 말 한마디를 용납하지 않고 엄히 다스렸지만 내쫓긴 상궁이 보모의 직임을 맡았음을 생각하여 먹을 것을 죽을 때까지 내렸다. 현종의 인후한 성품을 또한 살필 수 있다.

인후한 성품을 드러내는 일화가 <공사견문>에 나온다.

“임금(현종)이 일찍이 청나라 사신을 서교(西郊)에서 전송하면서 섬돌 위에 나섰는데 청인들이 떠난 뒤에 말을 전갈하는 군졸이 빨리 걷다가 미처 살펴보지 못하고 임금의 몸에 부딪쳐서 거의 넘어질 뻔하였다. 이에 좌우가 질겁하여 법관에 넘겨 처벌하기를 청하였으나 임금은 웃으며 이르기를, ‘모르고 한 일인데 어찌 다스릴 것이 있겠는가.’ 하고, 소속된 병영을 시켜 곤장 5, 6대를 치고 놓아 보내게 하였다.”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실수로 임금과 부딪쳤다는 사실이 특별할 것 같지는 않다. 법관에 넘겨 처벌하자는 좌우 신료들의 주청을 웃음으로 막으면서 ‘모르고 한 일인데 어찌 다스릴 것이 있겠는가.’ 하고는 곤장 5, 6대를 치고 놓아주게 했다니 역시 요즘 상식으로는 용납이 안 된다. 그러나 시대가 조선시대임을 상기하자. 현종의 인후한 풍모로 보는 것도 이런 연유다. 이긍익이 <연려실기술>에 현종의 슬기로운 덕으로 소개한 데서도 알 수 있다.

중국 역대 왕조를 통틀어 명대에 유독 혼군(昏君,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은 임금)이 많았다고 한다. 환관들이 세력을 잡고 국정을 좌우하여 신하들의 올바른 주장이 정사에 반영되지 못한 점을 그 이유로 든다. 환관이 세력을 잡는 데에는 왕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이다. 환관은 왕과 사적이 유대감이 강하다. 많은 경우 국정을 농단한 환관들이 황제의 총애를 등에 업고 국정을 농단한 데에는 즉위하기 전에 맺은 각별한 정분이 주효했다.

현종이 세자일 때 총애한 내시에 관한 이야기가 <공사견문>에 실려 있다.

“현종이 세자로 있을 때에 어떤 내시가 새와 짐승 잡는 틀을 만들어 드리는 등 온갖 짓으로 잘 보여 현종이 그를 극히 사랑하여 다른 관속들은 감히 바라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즉위함에 미쳐서는 그는 간사하고 아첨함으로 배척당하고 끝내 다시 용상에 가까이하지 못하였다.”

세자일 때는 극진히 사랑하더니 재위에 올라서는 용상에 가까이하지 않았다니 국가의 대사를 도모하는 것으로 보면 다행이지만 내시로서는 세자의 행동이 몹시 이중적이었을 것이다. 재위에 오르기 전에는 현종이 그 내시를 사랑하여 다른 관속들은 감히 바라지도 못하였다니 말이다.

현종이 아마도 부왕인 효종이 자신이 세자였을 적에 해준 말을 마음 깊이 새겨두었을지도 모른다.

“임금(효종)이 일찍이 현종에게 이르기를, ‘내가 형님인 소현세자와 함께 심양에 볼모로 잡혀 있을 때 신하와 백성들이 나에게 어진 덕이 있다고 잘못 알고 마음으로 따랐다. 내가 보니 여러 신하 가운데는 혹 마음속으로 (나를 친히 대하면 소현세자 측으로부터 공격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걱정하여 스스로 나를 소원하는 자도 있었고 혹은 나에게 간곡히 하여 뒷날의 복을 기대하는 자도 있었다. 내가 그때는 비록 아부하는 것을 물리치지 못했지만 임금 자리에 오른 뒤로는 늘 그때 아부하지 않고 바르게 몸을 가지던 자들이 관직에 추천되는 것을 보면 번번이 가상히 여겨 낙점을 찍었다. 만일 오늘날 종실 중에 전날 나처럼 인망을 얻는 자가 있다면 지난날 나에게 아첨하던 자가 반드시 지난날 나에게 남몰래 후하게 했던 그 행동을 그 사람에게도 할 것이니 그것을 믿을 수 있겠는가. 지난날 몸가짐을 바르게 하던 자는 아무개 아무개이고 아첨으로 나의 환심을 사려던 자는 아무개 아무개이니 너는 모름지기 내가 사람을 쓰고 버리는 뜻을 알아두라 했다”

유학의 정치론은 현인을 등용하여 정사를 맡기는 것이다. 왕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현인을 등용하는 일이다. 아첨꾼, 모리배, 사리사욕을 채우는 자, 권력욕에 빠진 자, 개인의 영달을 추구하는 자 등을 내쳐야 현인들을 많이 불러올 수 있다.

현인은 몸가짐이 바르고 국사를 운영할 경륜을 갖추어야 한다. 율곡이 선조의 조정에 선 신하들이 몸가짐은 바르게 하나 국사를 경륜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취지로 쓴 글이 있다. 현인이 되려면 몸가짐만으로는 안 된다. 국사를 경륜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그래도 기본은 몸가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