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宋時烈 1607-1689)

송시열(宋時烈)                                                       PDF Download

송시열은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자는 영보(英甫)이고 호는 우암(尤菴) 또는 우재(尤齋)이다. 할아버지는 도사(都事) 송응기(宋應期)이고 아버지는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이다.

충청도 옥천군 구룡촌 외가에서 태어나 26세(1632)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 뒤로 회덕의 송촌 비래동 소제 등지로 옮겨가며 살았으므로 세칭 회덕인으로 알려져 있다. 훗날 윤증 사이에 일어난 갈등과 논쟁을 회니논쟁(懷尼논쟁)이라고 하는데, 회는 회덕을 지칭한다.

8세 때부터 친척인 송준길(宋浚吉)의 집에서 함께 공부하게 되어 훗날 양송(兩宋)으로 불리는 특별한 교분을 맺게 되었다. 송준길 집안에서 세운 회덕 송촌에 자리 잡고 있던 옥류각에서 송시열은 송준길과 함께 어울려 강학했다. 12세 때 아버지로부터 <격몽요결(擊蒙要訣)>, <기묘록(己卯錄)> 등을 배우면서 주자, 이이, 조광조 등을 흠모하게 되었다.

19세(1625) 도사 이덕사(李德泗)의 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혼인하였다. 이 무렵부터 연산(連山)의 김장생(金長生)에게서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다. 1631년 김장생이 죽은 뒤에는 김장생의 아들 김집(金集) 문하에서 학업을 마쳤다.

27세 때 생원시(生員試)에서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를 논술하여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이때부터 학문적 명성이 널리 알려졌고 2년 뒤인 1635년에는 봉림대군(鳳林大君, 효종)의 사부로 임명되었다. 약 1년간의 사부 생활은 효종과 깊은 유대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병자호란으로 왕이 치욕을 당하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인질로 잡혀가자 좌절감 속에서 낙향하여 10여 년 간 일체의 벼슬을 사양하고 전야에 묻혀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이 낙향 기간 교유를 맺은 중요한 인물 중에 후에 사문난적으로 내몰려 사사 당한 윤휴(尹鑴)가 있다.

43세(1649) 효종이 즉위하여 척화파 및 재야학자들을 대거 기용하면서 세자시강원진선(世子侍講院進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등의 관직으로 벼슬에 나아갔다. 이 때 송시열이 올린 <기축봉사(己丑封事)>는 정치적 소신을 장문으로 진술한 것인데, 그중 존주대의(尊周大義: 춘추대의에 의거하여 중화를 명나라로, 이적을 청나라로 구별하여 밝힘)와 복수설치(復讐雪恥: 청나라에 당한 수치를 복수하고 설욕함)를 역설한 것이 효종의 북벌 의지와 부합하여 장차 북벌 계획의 핵심 인물로 발탁되는 계기가 되었다.

송시열의 존주대의는 곧 존주론(尊周論)이요 복수설치는 곧 북벌론(北伐論)이다. 안정된 국제 질서를 무력으로 파괴한 청나라에게 심복할 수 없다는 국민 정서에 기초한 북벌론과, 주나라에서 일어난 중화문화(中華文化)를 계승 발전시킬 나라는 이제 조선뿐이라는 자의식에 기초한 존주론은 국민단합과 조선 문화 수호의 논리로 전개가 되고 마침내 조선중화주의로 발전을 한다.

효종대의 정책은 대외적으로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을 천명하고 대내적으로는 예치(禮治)를 표방하면서 전개되었다. 재조지은(再造之恩: 새롭게 나라가 설립되는 은혜)을 입은 명나라에 끝까지 의리를 지키겠다는 대명의리론은 유교 이념을 공통분모로 하는 동아시아 국제 사회에서 조선의 명분을 강화했다. 또한 강제성을 가진 법과 자율성에 기초한 도덕의 중간 입장에 있으면서도 그 두 가지를 아우르는 예(禮)를 통치의 이념으로 내세운 예치는 무너진 사회 질서를 회복하고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방법이었다. 대명의리를 지키고 복수설치를 위해 북벌을 하고 조선 중화(朝鮮中華)를 이룩하기 위해 예치를 한다는 것인데 효종대 정치 이념의 상징적 인물이 송시열이었다.

49세(1655)에는 모친상을 당하여 몇 년간 향리에서 은둔 생활을 보냈다. 1657년 상을 마치자 곧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이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대신 <정유봉사(丁酉封事)>를 올려 시무책을 건의하였다. 52세(1658) 7월 효종의 간곡한 부탁으로 다시 찬선에 임명되어 관직에 나갔고 9월에는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다음 해 5월까지 왕의 절대적 신임 속에 북벌 계획의 중심인물로 활약하였다.

53세(1659) 5월 효종이 급서한 뒤, 조대비(趙大妃)의 복제 문제로 예송(禮訟)이 일어나고, 국구(國舅) 김우명(金佑明) 일가와의 알력이 깊어진 데다, 국왕 현종에 대한 실망으로 그 해 12월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기해예송(己亥禮訟)과 갑인예송(甲寅禮訟)은 15년의 시차를 두고 일어났다. 이 두 차례 예송은 모두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慈懿大妃)와 관계가 되는 사건이다. 인조의 계비로 왕비가 되어 자손을 남기지 못한 자의대비 조씨는 생전에 전처 소생인 효종과 전처 소생 며느리인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죽음을 모두 맞게 된다. 1659년에 일어난 기해예송은 자의대비가 어머니로서 효종의 상복을 얼마 동안 입어야 하느냐의 문제로, 갑인예송은 자의대비가 시어머니로서 효종비의 상복을 얼마 동안 입어야 하느냐의 문제로 각각 남인과 서인이 서로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다툰 사건이다.

기해예송은 효종이 승하하자 계모인 자의대비 조씨가 상복을 입어야 했는데, 송시열로 대표되는 서인은 기년(朞年, 1년)을 주장했고 허목으로 대표되는 남인은 3년을 주장했다.

애초 인질에서 풀려 귀국한 소현세자가 돌아온 지 석 달 만에 죽는다. 왕위 계승법으로 보면 소현세자의 아들이 세손으로 책봉되어 왕위를 이어야 하는 것이지만 사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동생인 봉림대군이 세자로 책봉된다. 이때 소현세자의 아내인 세자빈 강씨는 시아버지인 인조를 독살하려 했다는 누명을 쓰고 사약을 받아 죽고 소현세자의 세 아들은 제주도로 귀양을 간다. 인조가 승하한 뒤 효종이 즉위했고, 제주도로 귀양간 소현세자의 세 아들 중 장남과 차남은 현지에서 죽고 막내아들만 남게 된다.

허목을 중심으로 한 남인은 효종이 원래 차남이었다 하나 왕위를 계승했으므로 장남의 대우를 해야 하고, 따라서 조대비는 장남이 죽었으니 상복을 3년 동안 입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그러나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서인의 주장은 달랐다. ‘왕위를 계승했어도 장남이 아닌 경우에는 기년복(朞年服)이라’ 했으므로 조대비는 상복을 1년 동안만 입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3년과 기년, 이것은 어머니가 아들의 상복을 얼마 동안 입어야 하느냐의 단순한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소현세자의 막내아들이 아직도 제주도에 유배된 채 살아 있었던 것이다. 효종을 차남으로 인정하면 제주도에 살아 있는 소현세자의 막내아들이 왕실의 적통이라는 말이 되고 효종의 정통성에 타격을 준다. 효종의 총신인 송시열로서는 자신을 믿고 의지하다 죽은 효종에게 불리한 주장을 한 것이지만 예법에는 충실히 따른 것이었다.

효종을 장남으로 봐야 한다는 남인의 입장은 왕권을 강화하자는 것이었고 아무리 왕이지만 효종은 차남이라고 보는 서인의 입장은 신권을 강화하자는 것이었다. 서인의 영수 송시열은 사회 통합을 위하여 왕도 일반인과 똑같은 예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예송은 예치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방법론의 차이로 벌어진 성리학 이념 논쟁이었고 이상적 정치 형태인 붕당 정치에서 파생한 정치 사건이었다.

83세(1689) 1월 숙의 장씨가 아들(후일의 경종)을 낳자 원자(元子)의 호칭을 부여하는 문제로 기사환국이 일어나 서인이 축출되고 남인이 재집권했다. 이 때 세자 책봉에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그 해 6월 서울로 압송되어 오던 중 정읍에서 사약을 받고 죽었다.

사후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서인이 정권을 잡자 송시열의 억울한 죽음이 무죄로 인정되어 관작이 회복되고 제사가 내려졌다. 이 해 수원, 정읍, 충주 등지에 송시열을 제향하는 서원이 세워졌고, 다음 해 시장(諡狀) 없이 문정(文正)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이때부터 덕원·화양동을 비롯한 수많은 지역에 서원이 설립되어 전국적으로 약 70여 개소에 이르게 되었는데, 그 중 사액서원만 37개소였다.

송시열은 전적으로 주자의 학설을 계승한 것으로 자부했으며, 조광조→이이→김장생으로 이어진 조선 기호학파의 학통을 충실히 계승 발전시켰다. 주자의 교의를 신봉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평생의 사업을 삼았다. 학문에서 가장 힘을 기울였던 것은 <주자대전(朱子大全)>과 <주자어류(朱子語類)>의 연구로 일생을 몰두하여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등 저술을 남겼다.

송시열은 사변적 이론보다는 실천적 수양과 사회적 변용에 더 역점을 두었다. 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이념, 이이의 변통론(變通論), 김장생의 예학(禮學) 등 기호학파의 학문 전통이 기반으로 깔려있다. 가장 역점을 두었던 것은 정직[直]의 실천 문제였다. 형이상학적 학설 논쟁에만 몰두하지는 않아 송시열의 이기심성론은 특별히 주목받지 못한 면이 있지만 당대의 성리학을 집대성한 바가 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당의통략>
<송자대전>
<동유학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