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옥 같은 군자 오윤겸


금옥 같은 군자 오윤겸

 

오윤겸(吳允謙, 1559-1636)은 자는 여익(汝益)이며 호는 추탄(愀灘), 토당(土塘)이다.

1582년(선조 15)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89년 전강에서 장원해 영릉참봉(英陵參奉)·봉선전참봉(奉先殿參奉)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호체찰사(兩湖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으로 발탁되었으며, 시직(侍直)을 거쳐 평강현감으로 5년간 봉직하면서 159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2년 모함을 받아 곤경에 처한 스승 성혼을 변호하다가 시론(時論)의 배척을 받아 경성판관으로 출보(黜補)되었으며, 그 뒤 7, 8년간 안주목사·동래부사 등의 외직을 전전하였다.

1610년(광해군 2) 비로소 내직으로 들어와 호조참의·우부승지·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다가 당시의 권신인 정인홍(鄭仁弘)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를 반대하며 사림과 대립하자 이를 탄핵하다가 왕의 뜻에 거슬려 강원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1617년 다시 첨지중추부사가 되어 회답 겸 쇄환사(回答兼刷還使)의 정사로서 사행 400여 명을 이끌고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했다. 이때부터 일본과의 수교가 다시 정상화되었다.

1618년 북인들에 의해 폐모론이 제기되자 이를 반대하고 정청(庭請)에 불참하였다. 이로 인해 탄핵을 받자 벼슬을 그만두고 광주 선영 아래의 토당(土塘)으로 물러나 화를 피하였다.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대사헌에 임명되고 이어서 이조·형조·예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북인 남이공(南以恭)의 등용 문제로 서인이 노서(老西)·소서(少西)로 분열될 때, 김류(金瑬)·김상용(金尙容) 등과 함께 노서의 영수가 되어 남인·북인의 고른 등용을 주장하고 민심의 수습을 꾀하였다.

만년에 재상의 자리에 10여 년 간 있을 때 백성의 편의를 위해 연해 공물(沿海貢物)의 작미(作米)와 대동법의 시행을 추진하고, 명분론의 반대를 물리치면서까지 서얼의 등용을 주장하였다. 또한 사림을 아끼고 보호해 어진 재상이라 불렸다.

오윤겸은 성혼 문하에서 손꼽히는 제자다. 성혼이 일찍이 오윤겸을 평한 내용이 <연려실기술>에 적혀 있다.

“우계(牛溪 성혼(成渾)) 문하에서 배웠는데, 우계가 사람에게 말하기를, ‘오윤겸은 어지러운 나라에서도 살 수 있는 사람이다.’고 하였다.”

성혼이 어지러운 나라에서도 살 수 있는 사람이라는 말은 대강을 말한 것이고 그 구체적인 것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연려실기술>에 나오는 일화를 통해 그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임진년에 정철이 호남 체찰사(湖南體察使)로 갈 때, 종사관의 일을 보았는데 음관(蔭官)으로서 막부의 종사관이 된 것은 공이 처음이었다. 이 뒤에 평강 현감(平康縣監)이 되었다. 그때에 감사 정구(鄭逑)가 순찰하기 위해 강릉에 왔는데 부사(府使)에게 말하기를, ‘내가 평강에 가면 반드시 그 현감을 매질할 것이다.’ 하였다. 강릉 부사가, ‘무슨 까닭입니까?’ 하니, 정구가 말하기를, ‘이 사람이 스스로 선비라 일컫고서 문서를 기한에 못 마치니, 이 때문에 매질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였다. 강릉 부사가 말하기를, ‘공이 현에 이르시면 옳고 그른 것을 묻지 않고 갑자기 들어가 매질하면 그만이나, 만일 함께 이야기를 붙이면 매질하지 못할 것입니다.’ 하였다. 정구가 말하기를, ‘어찌 그럴 수가 있겠는가?’ 하였다. 정구가 평강현에 이르자 곧 현감을 불러들이었는데, 공의 행동하는 것이 단아하며 언사가 자상하고 민첩하여 묻는 데 따라 해명하는 것이 물 흐르듯이 하였다. 정구가 자기도 모르게 심복하여 무릎을 맞대고 앉아서 밤새도록 이치를 이야기하였는데, 기뻐서 하는 말이, ‘참으로 금옥 같은 군자로다.’ 하였다. 강릉으로 돌아오게 되자 부사에게 일러 말하기를, ‘그대의 말이 과연 옳았소.’ 하였다. 경포호에서 뱃놀이를 하는데, 호수 복판에 이르러 탄식하기를, ‘평강 현감과 함께 뱃놀이를 하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부사가 말하기를, ‘그것이 무슨 어려운 일입니까. 공무로 핑계하고 부르시면 곧 올 것입니다.’ 하니, 정구가 그 말을 따랐다. 며칠을 머물러 공이 오는 것을 기다려, 다시 호수 가운데서 잔치를 베풀고 한껏 즐긴 후에 헤어졌다.”

정구가 어떤 인물인가? 매섭기가 추상같은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오윤겸과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자 그의 매력에 폭 빠졌다니 놀라운 일이다. 정구가 “참으로 금옥 같은 군자로다”라는 이 말이 오윤겸의 기품을 그대로 표현한 말일 것이다.

오윤겸이 친화력과 기품은 왜인들에게도 그대로 드러났다.

“정유년에 비로소 과거에 오르고 정사년에 일본에 사신으로 갔는데 관백(關白) 이하 모두가 공경히 대접하였다. 돌아오자 일본 사신이 와서 묻기를, ‘귀국에는 오공과 같은 분이 몇이나 있습니까.’ 하였다. 답하기를, ‘너무 많아서 쉽게 셀 수가 없었다.’ 하니, 일본 사신이 웃으며 말하기를, ‘귀국이 비록 장하다 하지마는 인재는 반드시 한 사람에 지나지 않을 것입니다.’ 하였다.”

오윤겸의 이와 같은 친화력과 기품이 어찌 타고난 기질이 수승해서 뿐이겠는가? 젊어서 성혼의 문하에서 배우고 익힌 도학의 성정이 우러난 것일 터이다.

“임술년에 바다를 건너 중국으로 가서 황성도(皇城島)에 이르렀는데, 배가 몇 번이나 뒤집힐 뻔하였다. 여러 사람들은 얼굴이 질색이 되었는데 공은 단정히 앉아 글을 지어 쓰기를, ‘한 번 죽는 것은 이미 미리 정한 것, 이렇게 되어 다시 무엇을 의심하랴.’ 하고, 조용하게 옷깃과 소매를 여미고 목숨이 다할 때를 기다렸으나 마침내 무사하였다. 공은 포은(圃隱)의 외손(外孫)이다. 일본과 금릉(金陵)에 사신으로 간 것이 마침 포은과 같은 시일이었으므로 사람들이 더욱 기이하게 여겼다.”

“광해조에 폐모 수의(廢母收議)에 반대하여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다가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동대문 밖에서 처분을 기다리고 있었다. 친구들이 편지를 보내, ‘이런 큰일을 만나서 어떻게 처신할 것인가?’ 하니, 공은 ‘평생에 배운 바가 바로 오늘에 있네.’ 하는 여덟 글자로 답하였다.”

오윤겸의 수양 경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일화임에 틀림없다. 생사의 기로에서 천명을 기다릴 수 있는 것이 이른바 <맹자>에서 말한 요수불이(夭壽不貳, 살고 죽는 데에 마음이 흔들림이 없다)의 경지가 아닌가?

 

오윤겸이 죽으면서 자손에게 남긴 말이 <연려실기술>에 기록되어 있다.

“공이 죽을 때 말하기를, ‘내가 거룩하고 밝은 임금을 만났어도 세도(世道)를 만회하지 못하였으며, 나라에는 공이 없고 몸에는 덕이 없었다. 비석을 세우지 말고 시호를 청하거나 남에게 만장(挽章)을 구하지 말라.’ 하였다”

성혼의 빼어난 제자라는 역대의 평이 결코 틀리지 않았음을 여기서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