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이익재, 이정귀


조선의 이익재, 이정귀

 

이정귀(李廷龜, 1564-1635)은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이다.

이정귀는 유년시절부터 남다른 문학적 자질을 보이기 시작해 8세에 벌써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를 차운(次韻)했다고 전한다. 1577(선조 10) 14세 때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을 하며 명성을 떨치기 시작해 1585년(선조 18) 22세에 진사, 5년 뒤인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592년에는 임진왜란을 만나 왕의 행재소(行在所)에 나아가 설서(設書: 세자에게 경전과 역사를 가르치는 정7품관)가 됐다. 1593년(선조 26) 명나라의 사신 송응창(宋應昌)을 만나 『대학』을 강론해 그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후에 『대학강어(大學講語)』로 간행됐다.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는 무고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를 작성하여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들어가 정응태의 주장이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밝혀 그를 파직시켰다.

이와 같은 그의 능력이 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병조판서·예조판서와 우의정·좌의정 등 조정의 중요한 직책을 두루 역임했다.

그의 문장은 장유(張維)·이식(李植)·신흠(申欽)과 더불어 이른바 한문사대가로 일컬어진다. 이정귀의 문장에 대해서 명나라의 양지원(梁之垣)은 호탕(浩蕩: 세차게 내달리는 느낌)하고 표일(飄逸: 세속의 때가 없는 느낌)하면서도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아 문장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정귀가 문장으로 일대의 종사라는 것은 잘 알려진 바이다. <연려실기술>에 몇 가지 예화가 나온다.

“경기 감사가 되었을 때, 조정에서 막 국(局)을 설치하여《동국시문(東國詩文)》을 편찬하려 했다. 윤근수(尹根壽)와 이호민(李好閔)이 그 일을 주장하였는데 임금에게 아뢰기를, ‘이정귀가 비록 지방 일을 맡았으나 이 국(局)에 없을 수 없는 사람입니다.’ 하였더니, 왕래하면서 참정(參定)하도록 윤허하였다. 이것은 사원(詞苑 문단)의 아름다운 일로 전하여졌다.”

“칙사 웅화(熊化)가 올 때에 공이 접반사가 되었는데, 서로 즐겁게 사귀어 말끝마다 꼭 선생이라고 일컬었다. 공의 화답하는 시를 보고는, ‘글자마다 당 나라 사람의 넋이다.’ 하고 《황화집》의 서(序)를 지어 달라고 청하였다.”

 

문재는 원래 타고난 천부의 자질이 중요하다. <연려실기술>에 이정귀의 천부적 소질을 소개하였다.

“말을 배우자 곧 글자를 알고 능히 글을 만들었고 한 편이 나올 때마다 사람을 놀라게 하니 신동이라 일컬었다.”

“어머니 김씨가 공을 잉태하여 해산할 때가 되자, 범이 와서 대문 밖에 엎드려 있어 사람들이 감히 쫓아 보내지 못하였는데 해산하자 곧 갔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문장에 뛰어날 징조다.’고 하였다.”

문장에 능한 선비 중에는 문한에는 출중하지만 시무는 능통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정귀는 문장에만 능한 것이 아니라 일을 처리하는 능력이 출중했다.

“명나라에서 양 안찰사가 갑자기 서울에 왔을 때, 임금이 나가 접대하려 했으나 역관(譯官)을 갖추지 못하였다. 창졸히 공을 시켜 접대하게 하였더니, 보는 대로 알아내어 주선하는데 실수가 없었다. 일을 모두 마치자 임금이 기뻐하며 이르기를, ‘이정귀의 재주가 이렇게까지 좋으리라고는 생각지 못하였다.’ 하고, 관직을 7계급이나 뛰어 올려 주어 승지가 되었다. 이때부터 손님에 대한 의례(儀禮)가 있을 때마다 공이 꼭 임금 앞에 있었다. 중국의 사신들이 관사에 가득하여 응접하기에 번잡함을 이루 말할 수도 없었는데, 공이 안에서는 응대하고 밖으로는 외교하는 글을 맡아서 남들이 미루는 일도 공은 처리하기를 물 흐르는 것같이 하였다. 언젠가 병이 들어 여러 날 되었는데 임금이 묻기를, ‘이정귀는 어디 있느냐.’ 하고, 특별히 내구(內廐)의 말을 하사하였다.”

“정유년에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가 평양에 도착하여 군사와 성과 양식과 기계에 관한 실정을 묻고, 삼조(三曹 이조ㆍ호조ㆍ병조)의 판서들이 와서 대답하게 하였다. 조정에서 걱정하였으나 공이 풍부한 재주와 눈치가 있었으므로 자문(咨文)을 주어 대신 갔다 오도록 했다. 종사관으로 명 나라 장수 마귀(麻貴)를 따라서 남정(南征)하였다.”

이정귀는 중국어에도 능통하였다고 한다. 이런 면들이 어우러져 장유가 이정귀가 고문대책(高文大冊: 내용이 알차고 문장이 세련된 글)을 신속하게 창작하는 능력이 빼어나다고 한 이유일 것이다.

이는 사대부가 마땅히 해야 할 순수한 문학을 창작으로 실천하면서도 「무술변무주」 등의 외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실용문을 써 이름을 알린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정귀의 문학은 한편으로 이웃 나라와의 돈독한 관계를 위한 외교에 있어서 문학이 가지는 쓸모를 십분 발휘한 의의를 것으로 일단의 의의를 갖는다.

 

이정귀의 일생의 업적과 삶을 전대의 선인에 견준다면 누굴까? <연려실기술>은 이렇게 말한다.

“문장이 있고 아울러 복록을 겸하여 누렸으며 공명이 장한 것을 세상에서 고려의 이익재(李益齋)와 비교하였다.”

참으로 이정귀는 조선의 이익재라고 할 만하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