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든한 혁명 동지 신경진


든든한 혁명 동지 신경진

 

신경진(申景禛, 1575-1643)은 자가 군수(君受)이다. 임진왜란 때 순국한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이 아버지다.

임진왜란 때 전망인(戰亡人: 전쟁에 참여하여 죽은 자)의 아들이라 하여 선전관으로 기용되었고, 오위도총부도사로 전보되어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 뒤 태안군수·담양부사를 거쳐 부산첨사가 되었으나 일본과의 화의에 반대하고, 왜나라 사신의 접대를 거부하여 교체되었다.

이어 갑산부사를 거쳐 함경남도병마우후(咸鏡南道兵馬虞候)로 전보되자, 체찰사 이항복(李恒福)의 요청으로 경원부사와 벽동군수가 되었다.

광해군이 즉위하여 대북파(大北派)가 정권을 장악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중 1620년(광해군 12) 김류(金瑬)·이귀(李貴)·최명길(崔鳴吉)·구인후(具仁垕) 등과 모의, 신경진과 인척 관계에 있는 능양군(綾陽君: 인조)을 추대하기로 하였다.

그 뒤 기회를 노리다가 1622년(광해군 14) 이귀가 평산부사가 되자 그 중군(中軍)이 되기를 자원하여 거사 준비를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전에 누설되어 효성령별장(曉星嶺別將)으로 쫓겨나 1623년의 인조반정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하였다.

반정에 따른 논공행상 때 제일 먼저 반정계획을 세웠다 하여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일등공신(奮忠贊模立紀明倫靖社一等功臣)에 녹훈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졌다.

반정 후 서인이 훈서(勳西)·청서(淸西)로 분열하자 김류·이귀·김자점(金自點)·심기원(沈器遠) 등과 함께 훈서의 영수가 되었으나 무신임을 들어 조정의 시비에 간여하기를 극력 회피하였다. 또한 송시열(宋時烈) 등의 사림을 천거하고 장용(奬用: 장려하여 등용)하여 그들의 환심을 사기도 했다.

무인이면서도 김류·이귀·최명길 등의 문인들과도 널리 교유했는데, 특히 김류와는 선대의 인연(김류의 아버지 김여물(金汝岉)은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의 종사관으로 충주에서 같이 전사하였다)으로 절친한 사이였다.

<연려실기술>에 신경진이 김류와 합심하여 반정을 도모한 내용들이 다수 나온다.

“신경진이 평소 김류와 서로 마음이 맞았는데, 하루는 조용히 글 배우기를 청하고는 바로 사략(史略)을 내어놓았다. ‘이윤(伊尹)이 태갑(太甲)을 내치다. [伊尹放太甲 ]’는 대목에 이르러서 책을 덮으며 탄식하기를, ‘신하로서 임금을 내쫓는 일이 옳은가?’ 하니, 김류가 말하기를, ‘태갑이 탕(湯)의 법도를 뒤엎었으니 내쫓는 것이 또한 옳지 않은가.’ 하였다. 경진이 말하기를, ‘요즈음은 어떠한가?’ 하니, 김류는 ‘옛날과 지금이 무엇이 다르냐.’ 하였다. 경진이 울며 말하기를, ‘천하에 어찌 어미 없는 나라가 있는가. 나는 나라가 망하게 되는 것을 그냥 앉아서 볼 수가 없다.’ 하니, 김류가 말하기를, ‘그것이 내 뜻이다.’ 하였다. 이내 묻기를, ‘마음 가는 데가 어디 있는가?’ 하니, 경진이 말하기를, ‘능양군(綾陽君, 인조)은 바로 선조의 친손인데 총명하고 무용(武勇)이 뛰어나니 하늘이 주신 바이다.’ 하여 마침내 의논이 결정되었다. 신경진이 평안 우후(平安虞候)에 임명되었는데 신병을 빙자로 부임하지 않으니 박승종(朴承宗)이 의심하여 효성령 별장(曉星嶺別將)으로 내쫓으므로 그날로 출발하였다.”

“(김류가) 혼자 있을 때에 늘 통분해하며 뜻이 나라를 바로잡아 다시 세우는 데에 있었다. 마침 정승 신경진(申景禛)이 왔는데 공은 평소부터 그의 사람됨이 침착하고 굳세어 함께 일을 할 만한 자임을 알고 있었다. 눈물을 흘려 울면서 말하기를, ‘옛날이나 지금이나 어찌 어미 없는 나라가 있는가? 이씨의 종묘사직이 아침저녁으로 왕망(王莽)과 동탁(董卓)의 손에 옮겨지는 것과 같은 지경이니, 우리가 어찌 멸족될 것을 두려워하여 위태로운 나라를 앉아서 보고만 있겠는가? 또 하물며 우리 두 사람의 아버지께서 나라 일로 함께 돌아가셨으니, 우리 두 사람이 종묘사직을 위하여 함께 죽지 않으면 어떻게 돌아가신 어른들을 지하에서 뵐 것인가?’ 하였다. 신공이 팔을 걷어붙이며 무릎을 맞대고 말하기를, ‘그것이 나의 뜻이다.’ 하여 드디어 큰 계획이 정해져서 서로 죽음으로써 다짐하였다.”

신하가 반정을 도모한다는 것은 생사의 외줄을 아슬아슬하게 탈 수밖에 없다. 만약 도모하는 일이 사전에 발각된다면 본인이 능지처참을 당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구족멸문의 화가 미친다. 일이 사전에 누설되는 경우는 내부자의 고발일 가능성이 많은 법, 생사를 함께 하기로 다짐한 혁명 동지가 배신자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런 이치를 생각해보면, 김류와 신경진은 선대부터 시작된 인연으로 맺어진 서로 가장 신뢰하는 동지였을 것이다.

신경진은 무장인지라 경세지책을 펼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상신(相臣)의 반열에 올랐다. <연려실기술>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신경진(申景禛)은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외종(外從)으로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렀는데, 병이 중하여 일어나지 못하게 되어서야 비로소 영의정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것은 임금이 그가 글을 읽은 사람이 아니므로 백관을 통솔할 수 없을 것을 염려한 것으로 벼슬을 중하게 아끼는 뜻을 가진 한편 그의 공로를 생각하여 죽은 뒤에 신하의 최고직을 명정(銘旌)에나마 쓰게 하고자 함이었다.”

신경진이 무장으로 백관을 통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손 치더라도 반정에 참여하여 공을 이루는 데에는 신경진의 남다른 면모가 있었기 때문이다. <연려실기술>에 기록된 내용 중 일부에서도 엿볼 수 있다.

“임금이 언젠가 구궁(舊宮)에 행차하여, 친척들을 불러들여 만난 적이 있었는데, 나아가 뵈는 이가 모두 앞을 다투었다. 그러나 공이 혼자 즐거워하지 않고 말하기를, ‘신하가 어찌 감히 사사롭게 뵐 수 있는가?’ 하였다. 정경세(鄭經世)가 듣고 감탄하며 말하기를, ‘식견이 다른 사람은 따라가지 못할 바이다.’ 하였다.”

“안주(安州) 목사로 있을 때,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시묘살이를 하면서 3년 동안에 한 번도 집에 오지 않았으며, 아침저녁으로 무덤에서 울고 큰비나 눈이 와도 그만두지 않았다.”

“(병자호란 중) 남한산성에서 동성(東城)을 지키는데 홀연히 대포알이 날아와 단(壇) 위를 쳐서 대장기(大將旗)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모두 놀랐는데, 공은 태연히 진정시켰다.”

“남한산성에서 공은 동쪽 성을 지켰는데, 군중이 정돈되어 엄숙하였다. 날마다 출병하여 잘 싸워 적을 죽이고 잡은 것이 많았다. 적과 서로 바라볼 수 있는 곳에 높은 언덕이 있는데, 적이 그곳을 점령하여 성을 내려다보았다. 공이 포수를 선발하여 쏘게 하니, 한 방에 그 장수가 맞아 떨어졌다. 우리 군사가 모두 용기를 내어 마구 쏘아대니 적이 감히 달려들지 못하였다.”

“임종할 때, 정신과 언어가 평일과 같은데, 한 마디도 집안일을 말하는 것은 없고, 다만 나라 일을 걱정하였다. 낮에 큰 별이 갑자기 떨어졌는데, 이날 대사동(大寺洞) 집에서 죽었다.”

신경준이 김류와 더불어 반정을 도모하고 반정공신에 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