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과 진복창


율곡과 진복창

 

율곡전서』권33 연보(年譜)에 의하면, 율곡의 나이 일곱 살 때인 1542년(중종 37)에 「진복창전(陳復昌傳)」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율곡은 진복창이라는 인물에 대해 이렇게 평하고 있다.

“군자는 마음속에 덕을 쌓는 까닭에 그 마음이 늘 태연하고, 소인은 마음속에 욕심을 쌓는 까닭에 그 마음이 늘 불안하다. 내가 진복창의 사람됨을 보니, 속으로는 불평불만을 품고 겉으로는 태연한 척 하려고 한다. 그 사람이 뜻을 얻게 된다면 나중에 닥칠 걱정이 어찌 한이 있으랴.”

일곱 살의 어린 율곡은 마침 가까운 이웃에 살고 있던 진복창의 사람됨을 꿰뚫어 보고 이에 대한 글을 남겼던 것이다. 도대체 진복창이 어떤 인물이기에 일곱 살짜리 소년이 그에 대한 약전(略傳)을 쓰고 그 인물됨을 이렇게 평한 것일까?

진복창에 관한 첫 번째 『조선왕조실록』기록은 1535년(중종 30년) 별시문과 갑과에서 장원급제를 해 성균관 전적(정6품)에 제수되었다는 것이다. 그 뒤, 정자·전적을 지내는 등 중앙관직을 역임했으며, 이어 부평부사를 지냈다.

관직생활 10년째이던 1545년(명종 원년) 외직인 부평부사에 있다가 정4품 사헌부 장령으로 중앙정계에 복귀했다. 이때 사관들은 그의 인격을 두고

“사람됨이 경망하고 사독(사악하고 독함)하다”

라고 기록했다. 이것은 이후 그의 행적을 미리 보여주는 듯한 기록이다.
그 때문인지 중종 말년까지 진복창은 외직을 떠돌며 이렇다 할 중앙 관직을 얻지 못하고 어려운 시절을 보내야 했다. 율곡이 「진복창전」을 썼던 것은 이 무렵의 일로 보인다. 문과에 장원급제까지 했던 진복창이 경망스러운 사람됨으로 인해 배척당하게 되자 율곡을 일깨우는 차원에서 어른들이 언급했던 것 같고, 율곡은 군자의 길을 걷겠다고 다짐하는 차원에서 진복창에 관한 약전을 쓴 것으로 보인다.

중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한 직후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대리청정을 하고 외삼촌 윤원형이 실권을 장악했다. 이들은 인종의 외삼촌인 윤임이 이끄는 대윤 세력을 제거하고 을사사화를 일으켜 잠재적인 반대 세력인 사림을 중앙 정계에서 대거 축출했다. 이때 진복창은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윤원형의 수하로 활동하며 자신의 앞길을 가로막고 있는 여러 관료들을 탄핵하고 몰아내 죽였다. 진복창의 눈에 걸리면 그 집안의 어린아이까지 죽임을 당했기 때문에 사관들로부터 ‘독사(毒蛇)’라고 불렸다.

실제로 명종 때 진복창이 보인 행적을 추적해 보면 ‘독사’라는 별명도 칭찬에 가까울 정도다. 을사사화 직후인 1545년에 진복창은 부평부사라는 외직에 있다가 다시 사헌부장령을 맡아 중앙 정계로 복귀했다. 이후 그는 사헌부와 사간원의 요직을 오가며 정적을 무자비하게 탄핵하고 퇴출시켰다. 그의 뒤에는 윤원형이라는 당대 실세가 든든하게 버티고 있었다. 이후 그는 홍문관 응교를 거쳐 1548년(명종 3년) 2월 3일, 사간원의 영수인 대사간에 올랐다. 당시 사관은 이를 두고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진복창은 권간(權奸) 이기의 심복이 되어 그들의 지시에 따라 선한 사람을 마구 공격하였는데 그를 언론의 최고책임자로 두었으니 국사(國事)가 한심스럽다.”

처음에는 권력가였던 이기의 수하에 서서 반대파를 탄핵하고 공격함으로서 자신의 권력욕을 충족시키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을사사화가 성공하면서 권력의 축에 들어가 득세했던 이기의 아래에 몸을 맡기고 있다가, 윤원형이 이기를 몰아내려하자 얼른 이기에게서 등을 돌려 그의 등에 칼을 꽂게 된다.
그가 대사간에 오른 1548년 4월 19일, 대사헌 구수담이 좌의정 이기를 탄핵하고 나서자, 구수담의 편을 들어 이기를 탄핵함으로서 보기 좋게 이기를 배신했다. 구수담은 사림으로 내외의 신망이 두터운 인물이었고, 진복창도 구수담에게 학문을 배운 바 있다. 이 때 대사간인 진복창도 구수담을 거들고 나섰다. 한때는 이기에게 빌붙어 영화를 누렸지만 이기가 윤원형의 견제를 받게 되자 미련 없이 배반한 것이다.

비록 처음에는 구수담이 유배를 당하면서 잠잠해지나 했던 여론은 이기에게 등을 돌려 그를 공격했고, 진복창은 그 가운데서 이기를 비난하는데 열을 올렸다. 결국 1552년 이기는 실각하게 되고, 조정의 중심 권력은 드디어 윤원형의 것이 된다. 윤원형이 조정의 모든 실세를 장악하자 이기에게 충성을 바치던 때가 언제였냐는 듯, 철저히 윤원형의 심복으로 행세하며 윤원형과 자신의 정적들을 계속 몰아냈다.
한편, 진복창은 1549년(명종 4년) 5월에 홍문관 부제학에서 사헌부의 수장인 대사헌에 올랐다. 조정 관리들의 목숨 줄을 틀어쥐는 자리에 오르자, 몇 번이나 사직상소를 올리는 등 명종의 눈에 강직한 사람으로 들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렇게 임금의 신뢰를 받게 되자 그 자만은 극에 달했다.

진복창이 이기를 배반한 것은 서곡에 불과했다. 원래 진복창이 맨 처음 장령이 될 때 힘써 추천한 이는 훗날 을사사화에서 공을 세우게 되는 허자라는 인물이었다. 허자는 정순봉, 임백령과 함께 1등 공신이었고 윤원형은 2등 공신이었다. 그런데 대사헌에 올라 실세로 떠오른 진복창은 이조판서인 허자도 우습게 알았다. 결국 진복창은 허자를 제거하는 데 앞장선다.

진복창의 권력욕은 그칠 줄 몰랐다. 당시 병조판서 이준경은 윤원형도 함부로 못할 만큼 내외에서 큰 신망을 얻은 인물이었다. 마침 집도 가까워서 진복창은 이준경과 친해지려고 무진 애를 썼다. 한번은 이준경의 친척인 이사증이 잔치를 베풀었는데, 진복창이 이준경의 곁에 앉게 되었다. 이때 진복창은 술에 취해 이준경에게

“왜 구수담이 나를 저버렸는가?”

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준경과 구수담은 아주 가까운 사이였다. 그런데 이날 잔치에 구수담의 며느리집 여종이 일을 거들기 위해 왔다가 진복창이 하는 이야기를 엿듣고 구수담에게 전하였다.

이에 구수담은

“조만간 나에게 큰 화가 닥칠 것”

이라고 걱정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구수담은 진복창의 모함에 걸려 목숨을 잃게 된다.

게다가 뒤늦게 구수담이 자신이 한 말을 알게 되었다는 것을 전해들은 진복창은 이준경이 그 말을 흘린 것으로 단정하고 이준경까지 미워하게 되어 결국 이준경도 형 이윤경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병조판서에서 쫓겨나 귀양살이를 해야 했다.
그런데 이 정도로 끝나지 않았다. 진복창이 대사헌이 되려고 실력자를 찾아다니며 로비하던 중 개성유수로 있던 강직한 성품의 송순이

“진복창은 시시한 자로 조정을 시끄럽게 하니 미리 제거하지 않을 수 없다”

며 먼저 대사헌이 된 적이 있다. 그것을 진복창이 모를 리 없었다. 결국 송순은 진복창에게 대사헌 자리를 내줘야 했다.
이렇게 배신의 일로를 걷게 되자 그에 대한 악평은 늘어만 갔다. 허자를 제외하고 사림의 존경을 받고 있던 네 사람이 진복창의 공작으로 화를 입게 되자 홍문관 직제학 홍담을 비롯한 뜻 있는 젊은 관료들이 들고 일어났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동안 진복창의 손발 노릇을 하던 사헌부, 사간원까지도 돌아섰고, 조정 대신도 진복창을 멀리 내쳐야 한다는 의견을 계속해서 올렸다. 처음 명종은 진복창이 나라를 위해 충성하는 신하라 하며 그 탄핵들을 물리쳤지만, 윤원형은 그를 가만히 놔뒀다가는 자신과 누나 문정왕후의 앞길에 방해가 될 거라고 여겨 그를 험한 변방 삼수로 유배 보냈다.

진복창의 화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1561년(명종 16), 그의 아들 진극당이 과거에 급제하자 언관들은 진복창을 다시 비난하기 시작했다. 진복창의 어머니가 다른 남자와 사통하다가 진의손에게 시집가서 낳은 자식이 진복창이고, 따라서 그의 어머니는 음탕한 여자이며 행실이 방종하기 이를 데 없으며, 진복창과 진극당은 이런 여인의 소생이므로 관직에 오를 자격이 없다는 것이었다. 어머니의 출신을 둘러싼 정확한 진실은 알 수 없지만 결국 진극당의 과거급제는 취소되었으며, 그를 합격시킨 시험관들에게까지 처벌이 미쳤다.

그러나 삼수로 유배 간 진복창은 조금도 기가 죽지 않았다. 백성의 땅을 빼앗고 공공연하게 뇌물을 요구했으며 집에 형틀까지 설치하여 자기 뜻에 맞지 않는 사람을 불러다가 곤장을 치곤하였다. 졸개를 30여 명씩이나 거느리고 매사냥을 하기도 했으며, 사람을 때려죽이기까지 했다. 결국 조정에 보고가 올라가 진복창은 가중처벌에 해당하는 가죄(加罪)를 받아 위리안치(圍籬安置: 죄인이 귀양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던 일)되었고, 얼마 후 세상을 떠났다. 문과 장원급제자로서는 너무나도 비참한 죽음이었다.

진복창은 오늘날까지도 간신의 오명과 문명(文名)의 두 가지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그는 당대에 간신으로 삶을 마쳤지만, 한편으로는 문장에 뛰어난 수재이기도 했다. 역대 제왕의 사적을 노래한 역대가는 그가 귀양 가서 지었다고 전해지는 그의 대표작으로 전체가 전하지는 않지만 『순오지』에 그 기록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