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신(檢身) – 몸가짐을 바르게 하라


몸가짐을 바르게 하라

 

학교모범』의 두 번째 주제는 몸가짐을 단속하는 검신(檢身)이다. 이 내용은 선생의 아동교육의 입문인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지신장(持身章)의 내용과 중복되는 것이 많다.

그런데 현대의 청소년들에도 몸가짐이 중요한가? 기껏해야 건강을 위해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일만 강조하지 않는가? 두발이나 복장이나 얼굴의 화장을 비롯하여 행동을 강제하는 것은 일종의 인권침해(?)로 간주하여 학생들의 자율적인 의사에 맡긴 듯하다.

학교 내 사정은 잘 모르겠으나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학생들을 보노라면 그런 느낌이 든다. 심지어 교복을 입고 책가방을 멘 어린 남녀학생들이 백주대낮에 남이 보건말건 상관없이 포옹하고 심지어 입 맞추는 일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니, 옛날의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말을 부끄럽게 만든다. 더 나아가 이제 성인사회나 직장에서도 일의 능률을 높이고 업무에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해 복장이나 몸가짐을 자유롭게 하는 추세이다.

상황이 이러할진대 옛 사람들이 말한 바른 몸가짐이란 게 케케묵고 시대에 맞지 않는 유교적 잔재라 여길 법도 하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 그 가운데 자칭 지식인이라는 사람들마저도 잘못된 일이 있으면 다짜고짜 유교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가령 남녀차별은 물론이요, 잘못된 관습 심지어 한국축구가 세계수준에 못 미치는 것도 유교 탓이라는 연구도 있다. 어떤 지역 어떤 문명이든 나름의 폐단이 있다. 그 폐단의 원인을 모두 전적으로 그곳의 전통문화의 탓으로만 여길 수 있을까? 과거 서양인들이 아프리카의 노예를 사냥하여 팔아먹은 것이 그리스도교의 탓이 아니듯 어떤 폐단에는 분명히 다른 요인도 있을 것이다.

자, 어쨌든 백문불여일견이라 했으니 율곡 선생이 말한 바른 몸가짐이 어떤 것인지 보자.

 

평상시에는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고, 의관을 정제하며 용모를 장중하게 하고 보고 듣는 일을 단정하게 해야 한다.

거처할 때는 공손하고 걷거나 서 있을 때는 똑바르게 하고 음식은 절제해야 한다. 또 글씨는 조심해서 쓰고 책상주변을 정리정돈하며 집과 실내는 청결하게 해야 한다.

 

우선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는 일은 요즘 청소년들도 잘 하고 있다. 비록 대학입시 때문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끝까지 그런 태도를 유지하면 배움에 좋다. 또 책상주변을 정리정돈하고 집과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 것도 지당한 말씀이다. 문제라면 입시공부를 위해서 부모가 집안청소를 안 시킨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무리 바빠도 적어도 자기방 청소는 본인이 해야 좋다. 윤리·도덕적 문제에 앞서 청소를 자주 하다보면 일하는 요령도 생기고 깨닫는 것도 있게 된다.

집안일도 마찬가지다. 또 걷거나 서 있을 때 똑바르게 하는 것도 굳이 패션모델의 워킹을 배우지 않더라도 건강이나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해 도움이 된다. 필자 또한 젊었을 때 어릴 때의 습관 탓으로 팔자걸음을 걸었는데,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부단히 노력하여 이제는 똑바로 걷게 되었다. 더구나 음식 절제는 오늘날 딱 어울리는 말이다. 율곡 선생이 신통력이 있어서 이렇게 말한 것이 아니라 탐욕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겠지만, 오늘날은 음식물 과다섭취 때문에 생기는 비만이나 그에 따른 성인병 예방을 위해서 필요한 일이다.

그리고 글씨를 조심해서 쓰라는 것은 당시는 연필이나 볼펜 또는 글자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먹물을 찍어 붓으로 써야 했으니 얼마나 조심성이 필요했겠는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단정하게 앉아서 집중해서 보고 듣는 것이 학습효과에 좋다. 또 거처할 때 곧 일상생활 속에서는 공손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보편적으로 통한다. 남에게 좋은 인상과 태도를 보여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살아가면서 남으로부터 배울 때도 크게 도움이 된다.

사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고전과 종교적 경전 내용의 공통점 가운데 하나를 말하라면 필자는 겸손 또는 공손이라고 본다. 왜 이것을 강조했을까? 대부분의 고전이나 경전의 저자들이 나이든 사람들이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겸손하거나 공손하지 않으면 남으로부터 배울 수 없어 자기발전이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공손하지 않는 자에게 가르쳐 주고 싶지도 않지만, 정작 본인이 존경 또는 공경하지 않은 사람으로부터 무엇을 제대로 배우겠는가? 특히 한창 배우는 청소년들에게 공손이 필요한 것임은 두말한 필요가 없겠다.

그렇다면 의관을 정제하라는 주장은 어떠한가?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의관정제란 복장을 단정하게 하는 일이다. 대체로 교복은 물론이요 평상복도 단정하게 입으라는 뜻이다. 그런데 요즘 청소년들 가운데서 헤어스타일이 특별하고 화장을 진하게 하거나 교복을 변형시켜 입는 모습을 지금도 종종 볼 수 있다. 사복을 입으면 성인과 구별이 안 될 때도 있다. 사실이지 필자가 청소년 시절에도 이와 유사했다. 그 때도 교복을 입었고 남학생들은 모자를 썼다. 게다가 학교규칙도 엄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규칙을 비웃듯이 모자를 짓이겨 쓰거나 단추를 풀어 헤치거나 교복을 변형시켜서 연예인의 흉내를 내는 학생들이 당시에도 있었다. 대개는 한 때의 반항심이나 호기심 또는 치기어린 마음에서 그런 경우도 있었지만, 때로는 불량배들도 섞여 있었다. 케이블 티비 덕문에 옛날 영화 속의 그런 장면을 지금도 볼 수 있다.

이렇듯 청소년들의 복장이 성인의 시각에서 삐딱하게 보이는 일은 예전에도 있었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다. 그들이 젊은 연예인을 닮고 싶어서 모방하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성인들이 볼 때 전혀 어울리지 않고 우스꽝스럽지만, 아니 청소년 자신들도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스스로 그렇다고 여길 테지만, 이 시기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성인이나 학교의 입장에서 막는다고 될 일은 아닌 것 같다. 필자 또한 단지 단정하게 입으라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단정하게 입어야 할 논리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런 청소년들에게 먹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남은 것은 용모를 장중하게 하라는 주장이다. 장중으로 옮긴 한자 원문은 장(莊)이다. 이 한자가 지닌 뜻은 상당히 넓다.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뜻에는

씩씩하다,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단정하다, 바르다, 엄격하다, 장중하다, 정중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어서, 옮긴이가 ‘장중하다’

라는 말만 편의상 대표로 삼았는데, 이렇게 뜻이 넓다. 하나하나 살펴보아도 오늘날에 적용할 수 있는 말들이다. 다만 시대적 간극을 고려한다면 이것 외에 상냥하다, 친절하다 등이 포함되면 더 좋겠다. 왜냐 하면 인간의 행동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황이나 형편 또는 자신의 내적인 감정에 따라 제각기 적절하게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율곡 선생이 말한 몸가짐을 현대적 상황에서 분석해 보았다. 그때와 지금의 시대적 차이가 꽤 있으나 오늘날 도덕적으로나 실용적인 면에서 볼 때도 대체로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들이다. 다만 그 대상이 자아가 완전히 확립되지 못한 미성숙한 청소년들이기 때문에 성인의 입장에서는 그 적용에 아량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기서 언급하지 못한 구용(九容: 원래 『예기』에 나오는 9가지 용모) 등은 『격몽요결』에도 상세히 소개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본 누리집의 “인성교육교재-『격몽요결』-초급편(하)-3.아홉가지 생각”을 참조바람). 그러나 몸가짐의 주체가 성인이라면 전적으로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 그러니 항상 조심하고 흐트러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야 사회생활을 제대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