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읽는 바보, 청장관 이덕무


책만 읽는 바보, 청장관 이덕무

 

“남산 아래 바보가 살았다. 눌변(訥辯: 더듬거리는 말씨)이라 말을 잘못했고, 성격이 졸렬하여 세상일을 알지 못했으며, 바둑이나 장기 따위는 더더욱 몰랐다. 남들이 욕을 해도 따지지 않고, 칭찬해도 뻐기지 않았으며, 오직 책보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아, 추위도 더위도 주림도 아픈 줄도 몰랐다.

글을 막 배웠을 때부터 스물한 살이 될 때까지, 하루도 손에서 옛글을 놓은 적이 없었다. 그가 지내는 방은 매우 좁았다. 하지만 사방 모두 창이 있어 햇볕이 드는 밝은 창을 따라다니며 책을 보았다. 예전에 보지 못했던 책을 보게 되면 기뻐 웃으니, 집안사람들은 그가 웃는 것을 보고는 곧 그가 기이한 책을 구하게 된 것을 알곤 했다.

그는 두보(杜甫: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의 오언율시를 특히 좋아해서 중얼거리는 것이 마치 병자의 앓는 소리와도 같았다. 그러다 심오한 뜻을 깨치면 너무 기쁜 나머지 일어나 방 안을 빙빙 돌곤 했는데, 그 소리가 마치 까마귀가 우는 것 같았다. 때로는 아무 소리도 없이 조용하게 눈을 동그랗게 뜨고 한곳을 응시하기도 하고, 꿈을 꾸고 있는 것처럼 혼잣말을 중얼거리기도 했다. 사람들이 그를 ‘간서치(看書痴: 책만 보는 바보)’라 부른데도 그냥 기쁘게 받아들일 뿐이었다.”

이덕무, 『간서치전(看書痴傳)』전문

 

 글은 정조 때의 북학파 문인 이덕무(李德懋: 1741∼1793)가 쓴 자서전 『간서치전』의 일부분이다. 간서치란 책만 보는 바보라는 뜻이다. 평생 읽은 책이 2만 권이 넘었고, 베껴 쓴 책이 수백 권에 이를 정도로 책 읽기를 좋아한 선비였다. 그래서 얻은 별명이 ‘책만 보는 바보’, 간서치였다.

이덕무는 조선의 제2대 정종의 열다섯째 아들인 무림군 이선생의 14세손이었다. 조부는 강계부사 이필익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이성호였다. 어머니는 반남 박씨로 현감 박사렴의 딸이다. 그는 1741년(영조 17) 한성 중부 관인방에서 태어났다. 자는 무관(懋官), 호는 아정(雅亭)인데 이 밖에 형암(炯庵)․청장관(靑莊觀)이라는 호도 사용했다. 특히 즐겨 사용한 청장(靑莊)이라는 호는 일명 신천옹(信天翁)으로 불린 해오라기를 뜻하는데, 청장은 맑고 깨끗한 물가에 붙박이처럼 서 있다가 다가오는 먹이만을 먹고 사는 청렴한 새라고 한다. 청장으로 호를 삼은 것은 말할 것도 없이 그의 성격을 상징한 것이라 하겠다.

그는 가난과 질병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의 재산은 쌀 십여 섬을 수확하는 천안군의 전장이 고작이었다. 그런데도 이 전장마저 소작을 주고 있었기 때문에 두 동생과 부모까지 모시고 있는 이덕무는 가난한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집안이 언제부터 무인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부 이필익과 막내동생은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통덕랑을 지낸 부친 이성호는 세 아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이덕무는 집안이 가난하고 서자였기 때문에, 스승도 없이 혼자서 학문에 전념했다.

 

“지난 경진년과 신사년 겨울의 일이다. 내가 거처하던 작은 띠집이 몹시 추웠다. 입김을 불면 성에가 되곤 해, 이불깃에서 버석버석하는 소리가 났다. 내 게으른 성품으로도 한밤중에 일어나 창졸간에 『한서(漢書)』한 질을 가지고 이불 위에 죽 늘어놓아, 조금이나마 추위의 위세를 누그러뜨렸다. 간밤에도 집 서북편 모서리로 매서운 바람이 쏘듯이 들어와 등불이 몹시 다급하게 흔들렸다. 한동안 생각하다가 『논어』한 권을 뽑아 세워 막고는 혼자서 그 경제의 수단을 뽐내었다.”

이덕무,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이덕무가 26세 지은 『이목구심서』의 일부이다. 이 책은 귀로 들은 것, 눈으로 본 것, 입으로 말한 것, 마음으로 생각한 것을 적은 것이다. 그는 초가집이 통째로 얼어붙는 엄동설한에 『한서』이불과 『논어』병풍으로 겨우 얼어 죽는 것을 면할 정도로 몹시 가난한 선비였다. 책을 사 볼 여유가 없어 남의 책을 빌려 보았고, 책을 읽은 뒤에는 반드시 그 책을 베껴 썼다. 그는 집안이 가난했을 뿐만 아니라 서얼 출신이어서 책을 읽는다 한들 벼슬길에 오를 수 없는 신분이었다. 하지만 그는 현실의 삶에 갇혀 살지 않고 책 속에서 자신의 삶을 끝없이 확장시켰다.

이런 노력 끝에 그는 학문에 비상하고 시문에 능해 젊어서부터 이름을 떨쳤다. 사후에 그의 행장을 지은 연암 박지원은 시문에 능한 이덕무를 기리며

“지금 그의 시문을 영원한 내세에 유포하려 하니, 후세에 이덕무를 알고자 하는 사람은 또한 여기에서 구하리라. 그가 죽은 후 혹시라도 그런 사람을 만나볼까 했으나 얻을 수가 없구나.”

하며 그의 죽음을 아쉬워했다.

이덕무는 청장이라는 별호에 어울리는 호리호리한 큰 키에 단아한 모습, 맑고 빼어난 외모처럼 행동거지에 일정한 법도가 있고 문장과 도학에 전념하여 이욕이나 잡기로 정신을 흩뜨리지 않았으며, 비록 신분은 서자였지만 오직 책 읽는 일을 천명으로 여겼다. 그는 26세 때 대사동으로 이사한 후, 서얼들의 문학동호회인 백탑시파(白塔詩派)의 일원으로 유득공․박제가․이서구를 비롯하여 홍대용․박지원․성대중 등과 교류하였다.

학문적 재능에 비해 신분적 한계로 천거를 받지 못하다가 1779년 그의 나이 39세에 정조에 의해 규장각 초대 검서관(檢書官)으로 기용되면서 벼슬길이 열렸다. 거기서 그는 궁중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서적들을 교정하고 서사(書寫: 글씨를 베낌)하는 일을 했다. 책을 무단히도 사모하던 그의 적성에 딱 맞는 일이었다.

그가 평생 읽은 2만 권의 책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지은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는 사실(史實)에 대한 고증부터 역사와 지리, 초목과 곤충, 물고기에 이르기까지 실로 방대한 규모의 저술로서 조선후기 대표적인 백과전서로 꼽힌다.